메뉴 건너뛰기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 합의"
중국·EU 등만 서명… "갈등 구도 드러나"
미 부통령 "AI 선두 유지할 것" 연설도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왼쪽)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하고 있다. 파리=AP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인공지능(AI)의 윤리적인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는 글로벌 공동선언문에 끝내 서명하지 않았다. "AI 기술 개발과 위험성 견제를 병행하자"는 유럽연합(EU) 및 중국 측 요청을 미국이 사실상 거절한 셈이다. 독보적인 글로벌 AI 선두 지위를 부각하고 중국의 영향력 성장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적 독자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참여국들 "AI, 안전해야"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 참석자들이 11일 파리 회의장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 연설을 듣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1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프랑스 대통령실은 전날부터 이틀간 파리에서 열린 제3회 AI 정상회의에서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AI에 관한 선언문'이 채택됐다고 이날 밝혔다. 회의 공동 주최국이었던 프랑스·인도를 포함 58개국 정부와 EU, 아프리카연합 집행위원회 등이 참여했다. 최근 AI 모델 '딥시크'를 출시하며 일대 파장을 불러왔던 중국도 서명했다.

해당 공동선언문에는 '윤리적·민주적·친(親)환경적 AI 개발을 추구하겠다'는 합의가 담겼다. 참여국들은 선언문을 통해 "AI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안전, 지속가능 개발, 혁신, 국제법 존중, 인권 보호, 성평등, 언어적 다양성, 소비자 보호, 지식재산권 문제에 대한 글로벌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밝혔다. 무분별한 AI 개발이 심각한 범죄 및 불평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고려하겠다는 얘기다.

그러나 글로벌 AI 개발의 절대 강자인 미국은 해당 선언에 참여하지 않았다. AI를 '미래 산업 패권 경쟁' 관점 위주로 접근하는 미국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자 독자 행보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정부 내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을 폐기하는 등 진보적 의제를 적대시해 온 트럼프 행정부의 성향이 AI의 윤리적 사용을 강조한 공동선언문 취지와 대립되는 점도 불참 배경으로 거론된다.

"밴스 연설 듣는 관중들 표정 굳어"

JD밴스(가운데) 미국 부통령이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3회 인공지능(AI) 정상회의' 폐막 연설을 하고 있다. 파리=EPA 연합뉴스


트럼프 행정부도 이러한 의중을 숨기지 않았다. JD밴스 미국 부통령은 이날 회의 폐막 행사 연설에서 "미국은 AI 분야 선두주자 위치를 유지하고 미국의 AI 기술이 세계 최고의 표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디지털서비스법(DSA) 등 EU의 '빅테크'(주요 기술 기업) 규제를 거론하며 "혁신적인 산업을 죽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 BBC방송은 "밴스의 연설은 틀림없는 '힘의 과시'였다"며 "이를 듣는 참여국 고위 인사들 표정이 점점 굳어갔다"고 전했다.

영국도 공동선언문에 서명하지 않았다. 표면적으로는 '국익 관련 요구 사항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불참 이유를 댔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 '눈치'를 보며 보조를 맞춘 것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진다고 영국 가디언은 설명했다.

한편 EU는 이날 2,000억 유로(약 300조 원) 규모 AI 투자 프로젝트인 '인베스트AI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500억 유로(약 75조 원)는 EU 기금으로, 나머지 1,500억 유로(약 125조 원)는 민간 투자로 조달한다. 이를 통해 초대형 AI모델 훈련 인프라 프로젝트인 'AI 기가 팩토리' 최소 네 곳을 구축하겠다는 게 EU 구상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유럽이 미국과 중국에 뒤쳐졌다는 말을 자주 듣지만 동의하지 않는다"며 "AI 경쟁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87 인스타 ‘고해성사’방이라더니… “19금 비밀 얘기해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6 기자 위협하고 경찰 짓눌렀다…극우 집회마다 등장한 유튜버,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5 네타냐후 “15일까지 인질 석방 안 되면 휴전 끝날 것”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4 트럼프 옆 머스크, 백악관 집무실서 "관료주의는 민주주의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3 ‘윤석열 옹호’ 앞장서는 극우 인권위…안창호 지명이 ‘퇴행’ 정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2 신지호 “한동훈 서울시장 출마설, 오세훈 측이 퍼뜨린 가짜 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1 유승민 "나라 두쪽 낸 윤석열·이재명 두 빌런, 동시 정리해야" [안혜리의 직격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80 트럼프, 요르단 국왕 면전서 “미국이 가자지구 가지겠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9 논란의 ‘대통령 행정 명령’, 트럼프가 남발하는 걸까?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8 트럼프발 관세 폭격, 자동차도 사정권..."한국서 미국 가는 140여 만대 어쩌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7 부부싸움에 총격전까지…'러 최고 여성갑부' 고려인 결국 이혼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6 ‘버터핑거 폐점·에그슬럿 철수’... 뉴욕 간판 단 美 브런치 브랜드, ‘우울한 퇴장’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5 “러시아, 군용차량 부족하자 당나귀까지 동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4 이재명이 띄운 '주4일제'…스웨덴, 재정부담에 중도 포기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3 [단독] 박선원과 문자∙이병기와 통화…홍장원, 계엄 직후 여야 다 접촉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2 티메프 여행·숙박·항공 집단 분쟁조정 일부 성립… 16억원 보상 예상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1 [샷!] "웃돈 주고 대학 장학금 지원서 첨삭까지"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70 미 연준 의장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69 뉴욕증시, 파월 신중론에도 보합권…테슬라는 6.34% 급락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68 무주택자만 '줍줍' 청약 자격… 거주 요건도 부과한다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