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등 대미수출 1위도 관세 예고
‘트럼프스톰’ 한국 타격 현실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다음달 12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 확대 방침도 재확인했다. 미국 제조업 보호를 이유로 동맹국에까지 관세 ‘융단 폭격’을 본격화하는 행보다.

이번 조치로 한국산 철강 제품도 집권 1기 때 적용된 수출 물량 제한 쿼터제에 따른 면세 조치가 전면 무효화되고 3월12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된다. 캐나다·멕시코·브라질에 이어 네 번째로 미국에 많은 철강을 수출하는 한국은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1위인 자동차 관세까지 예고되면서 통상 여건 전반에 적신호가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집무실)에서 철강 25%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이같은 조치를 취한다는 내용의 포고문에 서명하면서 “예외나 면제 없이 모든 알루미늄과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말했다.

그는 첫 재임기인 2018년 같은 법률의 국가안보 관련 조항을 이유로 철강에 25% 관세, 알루미늄에 10% 관세를 부과했는데, 한국은 당시 협상을 통해 수출 물량 제한 쿼터(연 263만t)에 한해 무관세를 인정받아왔다. 하지만 이번 조치로 3월12일부터 기존 예외조치는 종료되고 한국 등에 일괄 25% 관세가 적용된다. 포고문에 따르면 한국 외에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회원국, 일본, 영국도 같은 조치가 적용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부과가 외국 수출업체들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관련 예외조항 ‘남용’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포고문은 트럼프 집권 1기 때 한국 등과 철강 관세 예외·면제를 합의한 것이 국가안보 우려 해소를 위한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대안을 제공하는 데 실패했다”고 적시했다. 한국 등 쿼터제를 채택한 국가로부터의 수입 물량이 미국 내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늘었다고도 밝혔다.

관세 부과 대상인 철강·알루미늄 제품 범위도 전방위로 확대된다. 특히 1기 때는 주로 원자재가 초점이었다면 이번에는 자동차나 창틀, 고층빌딩 등 모든 분야의 고부가가치 제품에 쓰이는 압출재나 슬래브 등에도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의 관세 회피 감독 권한도 강화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많은 기업들이 미국의 문을 열고 일자리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관세 카드로 해외 기업의 미국 투자를 압박하려는 전술도 재확인했다. 상대국들의 보복 가능성에는 “상호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해 글로벌 관세전쟁이 고조되고 보호무역주의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철강에 더해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자동차와 반도체 등까지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경우 대미 수출은 직격탄을 맞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관세를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고 미국 제조업 회복을 유도할 수단으로 여기는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 치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개별 품목이나 사안별 대응을 넘어서 미국과의 전반적인 무역·통상 이슈를 종합적으로 점검해 다각도의 협상 전략을 마련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63 “협박이냐, 협상이냐”···트럼프식 대화의 방법[일타쌍피 스토리노믹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62 빚 못 갚는 中企·자영업자 속출… 신보, 올해 대신 갚을 돈 3조3900억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61 극우에 잠식당한 인권위…안창호 위원장 지명이 ’퇴행’ 정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60 “최소한의 합의마저 깨진 헌정질서 위기…진보·보수의 문제가 아니다” [논설위원의 단도직입]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9 "지켜줘야 할 선생님이"‥'우울증' 교사에 8살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8 빌라·다세대, 전세금반환보증 보증료 최대 30% 더 낸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7 트럼프, 이르면 오늘 상호 관세 발표…한국도 타깃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6 상폐 요건 강화했다지만 영업이익 기준은 빠져... “구멍 숭숭”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5 피부과서 수면마취 시술받던 30대 남성 사망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4 美여객기 사고로 희생된 한인 변호사, 가족·동료 애도 속 영면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3 '주 7일' 쪽잠 자며 일해도 생활고 겪고, 4단계 배차 착취까지 부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2 윤석열 최측근 이상민 “계엄 전 국무회의 실질 있어”···회의록 미작성은 “비상계엄 동조 분위기 탓”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1 계엄 직후 여야 두루 만났다...홍장원 '탄핵 폭탄' 된 결정적 순간 [3박4일 행적 추적]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50 "'독박육아'라며 이혼한 아내, 아이 양육비 줬는데 친자가 아니었습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9 “육군 전역 부사관 신규 임관자 2배 넘어”…軍 허리인 부사관 ‘이탈 러시’[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8 서울 '평당 2천만원대 분양' 사라지나…작년 금천·구로 2곳뿐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7 계엄 해제됐는데‥윤 '합참 지하'에서 30분 더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6 3월 FOMC 동결 시사한 파월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美경제 강해”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5 [르포] 일주일 양식 챙긴 유모차 부대는 황망히 자리를 떴다… 추방 공포에 떠는 美 이주민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44 법안 폐기·도입 철회…한국은 72년 간 형법에 담지 못한 ‘동의 없으면 강간’[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②]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