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앞서보신 것처럼 기묘한 설명으로 윤 대통령을 감싼 이상민 전 장관은 또, 자신 역시 소방청장에게 단전과 단수를 지시한 사실이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계엄 직후 이 전 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는 소방청장의 증언과는 다른 얘긴데 이에 대해 이상민 전 장관은, 통화를 한 건 맞지만, 궁금하고 마음이 쓰여서 경찰과 소방청장에게 전화를 걸었던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구나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이상민 전 장관은 계엄 선포 이후 사무실로 가는 차 안에서 '단전·단수' 쪽지가 생각났다고 했습니다.

무작정 단전·단수를 하면, 큰 안전사고가 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마음이 쓰여 소방청장에게 전화했다는 겁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큰 사건사고 접수된 건 없는지, 어떤 각종 시위나 충돌 같은 상황은 없는지, 그런 상황이 전반적으로 궁금해서 경찰청장과 소방청장에게 차례로 전화했습니다."

통화 내용은 밝힐 수 없지만, 단전·단수를 지시하려고 전화한 게 아니라는 겁니다.

[이상민/전 행정안전부 장관]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서 국민의 안전에 대해서 최우선적으로 그리고 꼼꼼히 챙겨달라는 취지의 당부를 한 거고‥"

하지만 이 전 장관 전화를 받았던 허석곤 소방청장의 기억은 다릅니다.

허 청장은 이 전 장관과 통화가 지난해 12월 3일 밤 11시 37분쯤 있었다면서 이렇게 증언했습니다.

[허석곤/소방청장 (지난 4일)]
"언론사 다섯 곳을 말씀을 하시고 경찰 이야기를 하고 요청이 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라 이런 뜻으로.."

통화 당시 구체적인 상황도 설명했습니다.

[허석곤/소방청장 (지난 4일)]
"그때 전화를 받고 옆에 있던 우리 간부들도, 제가 아마 '단전·단수가 소방업무냐, 할 수 있느냐?' 물었는데, 아니라는 이야기를 저에게 했기 때문에‥"

전화를 받은 쪽은 단전·단수가 우리 업무냐 아니냐 논의까지 했는데, 전화를 한 쪽은 그런 지시한 적 없다고 부인하고 있는 겁니다.

이 전 장관은 "소방청장과 누구 말이 옳으냐 그르냐 말할 건 아니"라며 답을 회피했습니다.

실제 단전과 단수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 전기와 수도를 끊어 언론 기능을 마비시키겠다는 건 언론 자유를 부정하는 위험한 발상입니다.

단전 단수 대상으로 적시된 곳들은 윤 대통령과 불편한 관계를 이어온 언론사들이 대부분입니다.

이 가운데 여론조사 꽃에는 실제로 계엄군이 투입됐다 돌아가기도 했습니다.

MBC뉴스 구나연입니다.

영상편집: 김재석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48 서울 '평당 2천만원대 분양' 사라지나…작년 금천·구로 2곳뿐 랭크뉴스 2025.02.12
45847 계엄 해제됐는데‥윤 '합참 지하'에서 30분 더 랭크뉴스 2025.02.12
45846 3월 FOMC 동결 시사한 파월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美경제 강해” 랭크뉴스 2025.02.12
45845 [르포] 일주일 양식 챙긴 유모차 부대는 황망히 자리를 떴다… 추방 공포에 떠는 美 이주민들 랭크뉴스 2025.02.12
45844 법안 폐기·도입 철회…한국은 72년 간 형법에 담지 못한 ‘동의 없으면 강간’[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②] 랭크뉴스 2025.02.12
45843 "어미로서 죄받아 마땅"…美 입양 한인 친모가 남긴 마지막 편지 랭크뉴스 2025.02.12
45842 동생은 사장·형은 이사회의장…코리안리, 이례적 형제경영 고수 랭크뉴스 2025.02.12
45841 "메타, 한국의 AI 칩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 인수 논의" 랭크뉴스 2025.02.12
45840 "우리 애 교사도 불안, 도청 앱 깔았다" 학교 불신, 또다른 비극 랭크뉴스 2025.02.12
45839 할매래퍼 그룹 ‘수니와 칠공주’ 새 멤버 찾는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8 결빙 우려 땐 도로 노면에 ‘눈송이 표시’ 뜬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7 ‘토허제 해제’ 기대감에 강남 꿈틀… 폭등 가능성 배제 못해 랭크뉴스 2025.02.12
45836 윤석열 김용현 등 ‘내란사건’ 재판부, 새 사건 배당 안 받는다 랭크뉴스 2025.02.12
45835 금융사에 떼인 퇴직연금 수수료 갈수록 눈덩이…작년 1조7천억원 랭크뉴스 2025.02.12
45834 일본 ‘부동의성교죄’ 도입 후 “성폭력 피해 신고·처벌 늘었다" [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②] 랭크뉴스 2025.02.12
45833 中, D램·낸드 이어 HBM까지 따라온다… 중대 기로에 선 삼성전자·SK하이닉스 랭크뉴스 2025.02.12
45832 “올해부터 새롭게 다시 시작하겠다”…스텔란티스코리아의 ‘배수진’ 랭크뉴스 2025.02.12
45831 2년 넘게 뭉개도 과태료 30만원?…‘전월세신고제’ 무력화되나 랭크뉴스 2025.02.12
45830 "오세훈∙홍준표 날릴 카드"…野, 내란 대신 '명태균 특검법' 발의 랭크뉴스 2025.02.12
45829 尹탄핵심판 '부정선거론' 공방…"보안 부실" vs "부정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