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앞)이 10일(현지시각)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뒤)가 지켜보는 가운데 미국으로의 철강 수입 관세를 조정하는 포고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미국으로 수출하는 한국산 철강 제품의 ‘관세 폭탄’이 현실이 되며 국내 철강 업계를 비롯해 자동차와 반도체 업계 등에도 일제히 비상이 걸렸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에 예외는 없다”며 철강의 다음 표적으로 자동차·반도체·의약품 등을 콕 집어 거론해서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한국 수출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수출 1·2위 품목이다. 당장 관세 폭탄을 피할 수 있는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기엔 현실적인 제약이 큰 터라, 주력 수출 기업들이 수익에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현지시각) 발표한 미국 대통령의 포고령에 따라 다음달 12일부터 국내 기업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철강 제품엔 관세 25%가 부과된다. 지금은 트럼프 1기 때의 협상에 따라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하지만 앞으론 예외 없이 관세가 붙는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철강 대비 한국산의 가격 상승이 불가피해진 셈이다.

장상식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미국 내 철강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높아 대미 수출 제품의 수익성도 좋았지만 앞으로 철강 기업들의 판매 물량 감소, 수익성 악화 등이 우려된다”며 “철강과 마찬가지로 미국이 자체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는 자동차 업종도 (트럼프가) 수입 관세를 매길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한국의 연간 철강 수출액 중 대미 수출 비중은 13.1%(이하 지난해 기준)로 주요 나라들 가운데 1위다. 포스코·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 기업들이 미국의 관세 부과 뒤에도 현지 기업 대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관세 인상분만큼 수익을 줄일 수밖에 없다. 11일 포스코홀딩스 주가는 전날보다 2천원 하락한 23만5천원에 장을 마감했다. 석달 전(2024년 11월11일)과 견줘 24.6%(7만6500원) 떨어졌다.

트럼프 관세 폭탄의 다음 목표로 꼽힌 자동차 업계도 전전긍긍하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자동차 수출액 중 대미 수출 비중이 49.1%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까닭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이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의 상당수는 국내 공장에서 만들어 미국으로 수출하는 물량이다. 현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대미 수출 차량에 관세가 붙지 않는다. 그러나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차에 일괄 관세를 매길 경우 지엠(GM)·포드 등 미국 자동차 회사에 견줘 ‘가성비’를 앞세운 현대차의 기존 판매 전략도 차질을 빚게 된다.


국내 반도체 업계도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특히 파운드리(시스템반도체 수탁생산)의 경우, 삼성전자가 미국의 투자 확대 요구를 들어주기 어려운 상황이라 향후 관세를 지렛대로 한 압박이 강해질 경우 난관이 예상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는 최근 계속된 적자로 투자 여력이 넉넉하지 않은 상황이다. 인건비가 비싼 미국 내 생산 비중을 늘리면 수익성이 더욱 나빠질 가능성도 높다. 파운드리 업계에서 독주 체제를 다져놓은 대만 티에스엠시(TSMC)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미국에서 이사회를 열고 현지 투자 확대를 논의한 것과 대비되는 현실이다.

아울러 최근 수출액이 큰 폭으로 늘어난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도 대부분 미국이 아닌 대만 티에스엠시로 수출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워낙 커 예단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한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되지 않아 상황을 지켜보며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발 관세 폭탄이 국내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때보다 2기에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기업 분석 연구소인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액 상위 500개 기업 가운데 북미 지역 매출을 별도로 공개하는 기업 100개의 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 기업들의 전체 매출액(1∼3분기 누적 기준)은 2023년 약 262조원에서 지난해 약 314조원으로 20%가량 늘었다. 삼성전자·에스케이(SK)하이닉스·현대차·기아 등 대기업을 중심으로 미국 등 북미 시장 의존도가 대폭 확대됐기 때문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67 [단독] “윤, 자승 스님 입적에 ‘대공용의점’”…신원식 검찰서 진술 랭크뉴스 2025.02.12
45766 "3년 꽉 채운 전쟁에 장비부족 러시아, 당나귀까지 전선 동원" 랭크뉴스 2025.02.12
45765 '지속가능·포용적 AI' 파리공동선언 美英 불참에 퇴색 랭크뉴스 2025.02.11
45764 사고 걱정돼 전화?‥소방청장 기억은 달랐다 랭크뉴스 2025.02.11
45763 윤석열 측 ‘진술조서, 증거원칙 위반’ 반발…헌재 “문제없다” 랭크뉴스 2025.02.11
45762 "다들 얼마나 샀길래"…조폐공사, 사재기 우려에 골드바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2.11
45761 “집 있으면 ‘줍줍’ 못해”…부양가족도 ‘깐깐’ 확인 랭크뉴스 2025.02.11
45760 사과는 짧게 남탓은 길게…집권 여당이 ‘국정 위기’를 대하는 자세 랭크뉴스 2025.02.11
45759 시리아, 트럼프 팔레스타인인 강제 이주 제안에 “심각한 범죄” 랭크뉴스 2025.02.11
45758 尹 탄핵 심판 '부정선거' 공방…"보안 부실" vs "정치 선동" 랭크뉴스 2025.02.11
45757 범행 3시간 전 16cm 흉기 샀다…'초등생 살해' 교사 CCTV에 찍힌 행적 랭크뉴스 2025.02.11
45756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풍전등화’… 트럼프 “지옥 펼쳐질 것” 위협 랭크뉴스 2025.02.11
45755 [아시안게임] 피겨 차준환, 쇼트 94.09점 2위…1위 가기야마와 9.72점 차(종합) 랭크뉴스 2025.02.11
45754 “남자가 머리 기른다고 핀잔 들었지만 소아암 아이들에게 용기 주고 싶었죠” 랭크뉴스 2025.02.11
45753 "어떤 아이든 상관없었다" 지켜줘야 할 교사가 아이를 랭크뉴스 2025.02.11
45752 "이러다 젊은이들 다 떠난다"…'멸종 위기' 경고받은 한국 제2 도시 랭크뉴스 2025.02.11
45751 "선생이 아기를 죽이는 나라"…울분 토한 하늘이 아버지[르포] 랭크뉴스 2025.02.11
45750 금값 급등에 사재기 우려까지…조폐공사, '골드바' 판매 중단 랭크뉴스 2025.02.11
45749 '정월 대보름' 전국 흐리고 눈·비…낮부터 추위 풀려 랭크뉴스 2025.02.11
45748 野 ‘명태균 특검’으로 대여 공세 재시동…與 “개 버릇 남 못 준다”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