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년 전 대선 패배에 대한 반성문 연이틀째
친문·친명 갈등 격화에 작심발언 나선 듯
李, 8년 전 경선 발언도 사과… 통합 약속
지난달 30일 오후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자택에서 문 전 대통령과 함께 지지자들을 향해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연이틀 잇따라
'반성문'을 썼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2022년 대선 패배를 둘러싼 친문재인(친문)계와 친이재명(친명)계의 해묵은 갈등이 고조되자 차단에 나섰다. 다만 탄핵 정국의 추이에 따라 양측이 다시 맞붙을 여지는 남아 있다.

이재명, 문재인 모두 "대선 패배 내가 제일 큰 책임"



이 대표는 11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유튜브 인터뷰에서
"대선에서 진 것에 대한 제일 큰 책임은 제게 있다"
고 못 박았다. 비명계 대권 주자들의 공격이 잦아지자 한껏 몸을 낮춘 것이다. 이어 "(제) 부족함이 제게 영향을 미쳤죠"라면서 "과거 이력들에서도 흠잡을 데가 있는 거죠"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 발언은
문 전 대통령이 대선 패배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한 다음 날 바로
나왔
다.
문 전 대통령은 전날 한겨레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검찰총장으로 발탁한 것과 관련 "윤 대통령이 탄생하게 된 가장 단초가 되는 일"이라며 "두고두고 후회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를 탄생시켰다는 것에 대해 내가 제일 큰 책임
이 있고 우리 정부(문재인 정부) 사람들도 자유롭지 못하다.
국민께 송구스럽다"
고 말했다.

이처럼 뒤늦은 반성문 릴레이는
당내 계파 갈등을 봉합하려는
'작심 발언'이나 마찬가지다.
문재인 정부 출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앞서 3일 페이스북에 "패배에 대한 정치적 책임은 문재인 정부에 떠넘겨졌고 지금까지도 문재인 정부 탓을 하고 있다"고 이 대표를 직격했다. 이후 유시민 작가가 유튜브 방송에 나와 "훈장질하듯이 '야 이재명. 네가 못나서 대선에서 진 거야' 이런 소리 하면 망하는 길로 가는 것"이라고 힐난하면서 친문계와 친명계의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이었다.

다만 유력 대권 주자인 이 대표를 흔들려는 시도는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 이에 이 대표는
"우리가 이길 수만 있다면 다 줄 수도 있다"
"그분들에게 가능한 역할이 무엇인지 찾아서 만들어 드리고, 경쟁이야 당연히 해야 한다.
그게 또 시너지가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8년 전 대선 경선 당시 문 전 대통령 측을 겨냥한 과격 발언도 사과했다.
이 대표는 "당시 문재인 후보와 지지율이 2%포인트로 접근하니까 '내가 제쳐볼까' 생각했다"며 "마음을 먹고 인터뷰를 (세게) 했더니 지지율이 폭락했다"고 실토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그게 계속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깊이 반성하고 있다"
고 덧붙였다.

선거법 2심 선고 "3월쯤… 빨리 정리되면 좋다"



이 대표는
공직선거법 2심 선고 예상 시점을 "3월쯤"
이라고 내다봤다. 이 대표는 "매우 빨리 진행되고 있고 우리는 불만이 없다"며 "빨리 정리되는 게 좋죠"라고 항소심 결과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진행자가 '2심 선고가 3월에 나오면 대법원 판결이 두 달 안에 나올 것 같진 않다'고 예상하자, 이 대표는 "
그건 형사소송법 절차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했다. 조기 대선이 유력시 되는 5월 내에 대법원 판결이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본 것
이다. 이 대표는 지난해 11월 1심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형을 선고받았다. 이대로 최종 확정된다면 향후 10년간 출마할 수 없다.

다만, 탄핵 정국이 조기 대선으로 바뀔 경우
출마 여부에 대해서는 "그때 가서"
라고 즉답을 피했다. 이 대표는 "지금은 그 얘기를 하면 불필요한 논란에 빠져들어서"라며 "지금은 내란 극복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13 美국방 "유럽 주둔 미군 감축 계획 없다…나토, 더 투자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12 “알바라더니 하루만에 8천만 원 넘게 뜯겨”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11 KDI, 성장률 전망 2→1.6%로…“통상분쟁 땐 더 낮아질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10 [Today’s PICK] 현금결제 유도, 탈루 의혹…스드메에 칼 빼든 국세청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9 가해 교사 “수업 못하게 해 짜증…어떤 아이든 상관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8 미국 '윤리적 AI 개발 공동 선언' 결국 불참… "중국 견제 목적" 해석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7 장성규 "故오요안나·김가영 이간질? 유족이 적극적 해명 권유"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6 트럼프, 요르단 국왕과 정상회담…'가자 구상' 수용 압박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5 "픽사 램프가 실사로?"…물잔 내미는 애플 '가정용 로봇'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4 [속보] 네타냐후 "15일 정오까지 인질 석방 안되면 교전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3 EU수장, 美부통령에 "협력 기대"…철강관세 협상 의지(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2 이수정 "스트레스 휴직 교사, 복직 때 위험 행동 평가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1 한국인 사망 원인 1위 암… ‘이 음식’이 쥐약이랍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12
45800 美재무, 조만간 우크라 방문…'지원 대신 희토류 확보'방안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9 "커피 마시면 한숨도 못 자요" 이런 사람들 많더니…커피업계 '대박' 난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8 트럼프 관세 폭탄 여파에 파월 등판까지…뉴욕증시, 보합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7 선거인 명부 놓고 “해킹 가능” “불가”…선관위 보안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6 "변기 뚜껑 꼭 닫아야겠네"…백신도 없다는 '이 바이러스' 10년 내 최고 유행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5 트럼프 “3월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한국 면세쿼터 폐기” new 랭크뉴스 2025.02.12
45794 힘들게 이겨낸 암…운동하고 '이 음식' 끊어야 사망률 낮아진다 new 랭크뉴스 2025.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