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배우자 출산휴가 10→20일…출산일로부터 120일 내 3회 분할 가능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자녀 연령 8→12세…육아휴직 미사용기간 2배 가산


개정된 육아지원 3법 주요 내용. [노동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맞벌이 부부가 부부 합산 최대 3년의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법안이 이달 23일부터 시행된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개정된 육아지원 3법의 후속 조치로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 대통령령안을 11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육아지원 3법 개정안에는 육아휴직 및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연장 등에 관한 내용을 담겼고, 이번 국무회의에서는 법 개정에 따른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사항 등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23일부터는 육아휴직 기간이 현행 총 2년에서 부모별 1년 6개월씩 총 3년으로 확대된다. 연장된 기간의 육아휴직 급여 또한 최대 160만원이 지원된다.

사용 기간 분할은 2회에서 3회로 늘어난다.

부모가 육아휴직을 각 3개월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 1년 6개월씩으로 늘어나며, 한부모 가정이나 중증 장애아동의 부모는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육아휴직을 1년 6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배우자 출산휴가 역시 총 20일로 늘어나고, 출산일로부터 120일 내 3회 분할 사용이 가능해진다.

현재는 출산 후 90일 내 1회 분할로 10일을 쓸 수 있다.

난임치료 휴가는 현행 3일(유급 1일)에서 6일(유급 2일)로 늘어난다.

난임치료 휴가는 1일 단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소기업 근로자는 유급인 최초 2일에 대해 정부가 급여를 지원해 휴가 사용에 따른 부담을 덜어준다.

임신 초기(11주 이내) 유산·사산휴가는 5일에서 10일로 늘어나고, 고용보험에 가입한 예술인과 노무제공자도 미숙아 출산 시 근로자와 동일하게 100일간(기존 90일) 출산전후급여를 받게 된다.

이밖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자녀의 연령이 현행 8세에서 12세로 확대된다.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은 2배 가산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쓸 수 있다.

가령 1년의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을 기본 1년에 육아휴직 미사용 1년의 2배를 더해 최대 3년까지 쓸 수 있는 셈이다.

현행 3개월인 최소 사용 단위는 1개월로 단축한다.

아울러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을 현행 '12주 이내 36주 이후'에서 '12주 이내 32주 이후'로 확대하고, 조기 진통·다태아 임신 등 고위험 임신부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임신 전체 기간에 근로시간 단축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전에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한 근로자도 아직 육아휴직 대상 연령의 자녀가 있을 경우 늘어난 기간을 적용받을 수 있다.

올해 달라지는 일·육아 양립 지원제도의 자세한 내용은 고용노동부(www.moel.go.kr)와 일생활균형 누리집(www.worklife.kr) '25년 확 달라지는 육아지원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52 전광훈, 6년 전에도 “청와대 진입”…유죄 판결문엔 “선동” 23번 랭크뉴스 2025.02.11
45451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도 정장 차림 출석 랭크뉴스 2025.02.11
45450 초등생 살해 교사, 나흘 전에도 학교서 난동…동료 팔 꺾었다 랭크뉴스 2025.02.11
45449 ‘내란 가해자’ 윤석열 편…인권위, 존재 이유 있나 [2월11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2.11
45448 [속보] 권성동 "대통령·의회 권력 분산 개헌해야…선거제 개편도 필요" 랭크뉴스 2025.02.11
45447 崔대행 "연금개혁 시급…국회서 하루속히 합의안 도출해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2.11
45446 [속보] 백악관 "美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내달 4일부터"< 로이터 > 랭크뉴스 2025.02.11
45445 미국 법원, 트럼프 백악관에 "사법부 결정 제대로 이행하라" 경고 랭크뉴스 2025.02.11
45444 '헌재 폭동 모의' 포착 후 첫 尹탄핵심판…삼엄한 경비 랭크뉴스 2025.02.11
45443 이재명, 비명계 비판에 "당연한 지적‥제 부족함으로 대선 패배" 랭크뉴스 2025.02.11
45442 개식용종식법 통과 반년… 식약처 단속 채비에 프랜차이즈, 흑염소 시장 확대 무게 랭크뉴스 2025.02.11
45441 [속보] 백악관 "미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다음 달 4일부터" 랭크뉴스 2025.02.11
45440 이재명 “선거법 2심, 3월 나올 듯… 아무 걱정 안 해” 랭크뉴스 2025.02.11
45439 中이어 동맹도 때린 트럼프…글로벌 관세전쟁 확대에 韓도 비상 랭크뉴스 2025.02.11
45438 경기 가평서 불탄 차량 속 모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2.11
45437 대전 초교 사망 8살 학생 아버지 “앱으로 현장 소리 들어” 랭크뉴스 2025.02.11
45436 [속보]윤석열 헌법재판소 도착···오늘 이상민 등 증인신문 랭크뉴스 2025.02.11
45435 '95년 역사' 여고에 '남학생 소변기' 생겼다…32개교 공학 전환, 왜 [사라지는 남학교·여학교] 랭크뉴스 2025.02.11
45434 트럼프,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표‥"반도체·車도 검토" 랭크뉴스 2025.02.11
45433 피살 초등생父 "휴대폰 앱으로 소리 다 들었다, 100% 계획범죄"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