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금계좌 납입금 직접운용 관심 커져
시중금리 수준 원한다면 원금보장 상품
적극 운용 원하면 ETF·TDF 등 펀드 활용 가능

일러스트=챗GPT 달리3

직장인 김민주(가명·37)씨는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대비해 가입해 둔 연금계좌를 직접 운용할 수 있다는 정보를 최근 접했다. 기존에는 세액공제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납입 금액 600만원(총급여 5000만원 이하)을 연금계좌에 넣어둔 후 돈을 그대로 방치해뒀다. 김씨는 “원금손실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아직 30대인 만큼 은퇴 후를 대비해 젊었을 때 좀 더 공격적인 연금투자를 하고 싶었다”면서 “ETF 등 상품을 직접 살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매우 반가웠지만 구체적으로 뭘 사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민주씨는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연금계좌를 운용할 수 있을까.


연말정산 시기에 직장인들은 절세 혜택을 누리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대비를 한다. 그중에서도 연금계좌에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것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세액공제 혜택뿐만 아니라 납입금을 직접 운용해 은퇴 대비 자금을 불리려는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연금계좌 적립금은 내가 불려야 할 노후자금이라는 인식이 생겨난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형퇴직연금(IRP) 같은 연금계좌가 세액공제를 받거나 퇴직급여 수령에 필요한 계좌라는 인식이 강해 세금 혜택을 받고 나면 납입된 돈이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 추세가 바뀐 것이다.

이 같은 영향으로 NH투자증권 등 증권가에 따르면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되면서 지난해 12월 기준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 및 IRP의 적립금 증가액이 약 1조원을 넘었다. 지난해 10월 31일부터 시행된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는 가입자가 기존에 운용하던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도 다른 금융사로 이전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퇴직연금 DC 및 IRP 적립금은 현재 4조1248억원으로, 지난 2023년 말 3조115억원과 비교해 1조233억원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가율은 약 33%다.

그래픽=정서희

연금계좌를 직접 운용해 보겠다는 마음을 먹었다면 자신의 투자 유형을 파악해야 한다. 시중 금리에 만족할 것인지, 공격적인 투자를 할 것인지, 투자는 하고 싶지만 시간과 경험이 부족해 위탁을 하고 싶은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투자 유형에 따라 3가지 운용 방법을 알아봤다.

① 원리금 보장형

먼저 시중 금리에 만족하는 유형이라면 예금이나 보험사가 고정이자율을 만기까지 적용해 주는 이율보증형보험 같은 원리금 보장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단 이 경우 원리금 보장상품 투자가 가능한 IRP 계좌가 있거나 원리금이 보장되는 연금저축보험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물론 연금저축펀드도 비교적 변동성이 적은 머니마켓펀드(MMF)나 위험도가 낮은 양도성예금증서 금리(CD)금리 및 한국 무위험 지표금리(KORF)금리를 추종하는 금리형 상품들을 선택할 수는 있다. 하지만 원금이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니니 유의해야 한다.

② 직접 투자형

직접 상품을 고르고 투자를 해 보고 싶다면 각자의 투자 성향에 맞게 펀드나 상장지수펀드(ETF) 등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최근에는 연금계좌 내에서 ETF 투자가 활발하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개인연금 및 퇴직연금 계좌 내 ETF 투자 규모가 총 30조원이 넘는다. IRP 계좌의 경우 개별 채권투자에도 투자할 수 있다. 단 연금계좌 내에서 개별 주식투자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증권사와 은행, 일부 보험사에서도 연금계좌 내 ETF 투자가 가능하게 됐다. 다만 은행이나 보험사의 경우 특정 시간에 매매를 하거나 매수 신청 다음 날 매수되는 등 시차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간 매매를 원하는 투자자라면 증권사 계좌를 활용하면 된다. 또 최근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연금계좌에서 ETF를 펀드처럼 정기 매수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어 적립식 매수 전략을 세워도 된다.

③ 위탁 운용형

시중 금리 이상의 수익률을 원하지만 시간과 경험이 부족하다면 생애주기형펀드(TDF) 등 상품을 고려해 볼만하다. TDF는 은퇴(목표)시점에 맞춰 주식 등 투자형 위험자산의 비중을 스스로 낮춰가며 운용해 주는 펀드다. TDF의 상품명 뒤에는 네 자리 숫자가 붙어 있는데, 이 숫자가 목표시점이다. 예를 들어 TDF 2045라고 하면 2045년에 은퇴한다는 전제하에 운용하는 펀드다. 이 외에도 전문가들이 자산을 운용, 관리해 주는 랩어카운트나 로보 어드바이저 같은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61 박찬대 “어떤 잘못 있길래 내란까지… 명태균 특검 불가피” 랭크뉴스 2025.02.11
45460 “벌어간 만큼 내놔” 더 강력해진 트럼프의 ‘기브 앤드 테이크’ 외교, 다음 타깃은?[트럼프 관세①] 랭크뉴스 2025.02.11
45459 [속보] 권성동 "제왕적 대통령·의회 권력 분산 개헌해야…헌정질서 파괴자는 민주당 이재명 세력" 랭크뉴스 2025.02.11
45458 '영업익 1조 시대' 한화에어로, 트럼프 스톰 속 한화오션 지분 1.3조에 인수 랭크뉴스 2025.02.11
45457 시장이 위험하다…4년간 이어질 관세 협박[트럼프 관세②] 랭크뉴스 2025.02.11
45456 권성동 "대통령·의회 권력분산 개헌해야…민생 추경 필요" 랭크뉴스 2025.02.11
45455 “트럼프 관세 압박” 전문가들 금값 4000달러까지 전망 랭크뉴스 2025.02.11
45454 “인당 평균 9만원 결제” 알리·테무 한국에서 4조원 벌어 랭크뉴스 2025.02.11
45453 권성동 "12.3 계엄 납득할 수 없어‥민주당이 국정혼란" 랭크뉴스 2025.02.11
45452 전광훈, 6년 전에도 “청와대 진입”…유죄 판결문엔 “선동” 23번 랭크뉴스 2025.02.11
45451 [속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도 정장 차림 출석 랭크뉴스 2025.02.11
45450 초등생 살해 교사, 나흘 전에도 학교서 난동…동료 팔 꺾었다 랭크뉴스 2025.02.11
45449 ‘내란 가해자’ 윤석열 편…인권위, 존재 이유 있나 [2월11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5.02.11
45448 [속보] 권성동 "대통령·의회 권력 분산 개헌해야…선거제 개편도 필요" 랭크뉴스 2025.02.11
45447 崔대행 "연금개혁 시급…국회서 하루속히 합의안 도출해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2.11
45446 [속보] 백악관 "美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시행 내달 4일부터"< 로이터 > 랭크뉴스 2025.02.11
45445 미국 법원, 트럼프 백악관에 "사법부 결정 제대로 이행하라" 경고 랭크뉴스 2025.02.11
45444 '헌재 폭동 모의' 포착 후 첫 尹탄핵심판…삼엄한 경비 랭크뉴스 2025.02.11
45443 이재명, 비명계 비판에 "당연한 지적‥제 부족함으로 대선 패배" 랭크뉴스 2025.02.11
45442 개식용종식법 통과 반년… 식약처 단속 채비에 프랜차이즈, 흑염소 시장 확대 무게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