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모든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각) 멕시코만을 미국만으로 개칭하는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에 관련 제품을 수출하는 모든 국가에 영향을 끼치는 ‘보편 관세’를 본격화한 탓에 한국도 직접적인 사정권에 들어가게 됐다. 당장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는 대미 철강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10일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발 보편 관세의 신호탄으로 이 발언을 해석한다. 정부 출범 후 중국·캐나다·멕시코 등 ‘특정 국가’를 상대로 한 관세 인상 계획만 내놨던 터다.

관세 전쟁의 범위가 넓어지자 한국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이게 됐다. 현재 우리나라는 미국에 철강을 수출할 때 연간 263만톤까지 무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한국은 미국 철강 수입 시장에서 캐나다·브라질·멕시코에 이어 네번째로 철강제품을 많이 팔고 있다. 한국의 미 철강 수입 시장 점유율은 9.7%(2024년 기준·미 철강협회 기준)다.


트럼프 발언이 현실화되면 한국 수출 철강제품 값은 순식간에 25% 뛰게 된다.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수출이 줄고 그에 따른 미국 시장 내 철강제품 공급 감소분 중 일부는 유에스(US)스틸 등 미국 현지 업체가 메울 여지가 있다. 미국 철강 소비 시장에서 수입 시장 비중은 약 30% 정도 된다. 건설·자동차 등 전방 산업의 부진과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의 공세로 감산과 공장 폐쇄에 나서고 있는 국내 철강제품 제조기업으로선 엎친 데 덮친 격이 되는 셈이다.

정부와 철강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의 속뜻을 알기 위해 분주한 분위기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철강 무관세 쿼터(연간 263만톤)가 축소 또는 폐지되는 것인지는 아직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와의 사전 논의도 전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핵심 관계자는 한겨레에 “트럼프 대통령 발언이 기존 국가 간 약속을 다 없애고 일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인지 아직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1기(2017~2021) 때도 한국 철강 산업은 큰 위기를 맞은 바 있다. 당시에도 미 정부는 국가 안보를 내세워 철강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다만 협상을 거쳐 우리나라는 무관세 쿼터(직전 3년간 평균 수출량의 70%, 연간 263만톤)를 따냈으나, 대미 철강제품 수출량은 한해 만에 24.2%(330만→250만톤)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1기 때처럼 협상을 통해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협상 지렛대 중 하나로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확대가 거론된다. 한아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최근 국내 자동차·이차전지·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등 투자를 많이 했다. 한국에서 미국에 수출한 철강이 이들 공장에도 많이 공급된다”며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을 협상 카드로 내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1기 때도 협상을 통해 쿼터제를 따냈을 뿐만 아니라 철강제품 중 쿼터 제외 면세 품목도 추가로 얻어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철강 수출액이 쿼터 물량보다 많은 281만톤인 까닭이다. 조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조처로 대미 철강 수출 물량은 한때 300만톤(2022년)까지 불어나기도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47 한국산 철강, 美수입 4위…"加·멕시코 이어 韓 등 아시아 타격" 랭크뉴스 2025.02.11
45346 [단독] 尹 뽑은 보수 분화 확인됐다…강성 뭉치고, 온건∙중도 이탈 랭크뉴스 2025.02.11
45345 우크라 피란민 살해하고 딸 빼앗은 독일 부부 종신형 랭크뉴스 2025.02.11
45344 "트럼프 우크라 특사, 20일 키이우 방문…종전안 논의" 랭크뉴스 2025.02.11
45343 미중 경쟁 속 AI 정상회의 개막…'AI 통제·개발' 모색(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11
45342 나도 모르게 정기결제 동의?…교묘한 '다크패턴' 뿌리 뽑는다 랭크뉴스 2025.02.11
45341 한국 여자 컬링, 아시안게임 홍콩 9-2로 꺾고 4연승 랭크뉴스 2025.02.11
45340 부부 욕설·성관계 노골적 방송한 '이혼숙려캠프' 법정제재 랭크뉴스 2025.02.11
45339 활짝 웃은 3위 강동훈, 스노보드 미래 빛난다 랭크뉴스 2025.02.11
45338 하마스 "인질석방 연기", 이스라엘 "합의 위반"…불안한 휴전(종합) 랭크뉴스 2025.02.11
45337 구치소 찾아간 여당 의원들…“윤, 접견정치 이젠 중단” 랭크뉴스 2025.02.11
45336 인권위 ‘윤 탄핵심판 방어권 보장’ 의결…지지자들은 한때 로비 점거 랭크뉴스 2025.02.11
45335 "천사가 나타났다"…'3만분의 1' 알비노 사슴 전격 포착 '마법 같은 순간' 랭크뉴스 2025.02.11
45334 "다른 남자랑 왜 연락해" 여친 내동댕이…CCTV 담긴 끔찍 폭행 랭크뉴스 2025.02.11
45333 하마스 “15일 예정된 이스라엘 인질 석방 연기” 랭크뉴스 2025.02.11
45332 AG 대회 사흘째에는 은 1·동 2…남녀 컬링 예선 순항 랭크뉴스 2025.02.11
45331 "트럼프가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사실상 중국 겨냥" 랭크뉴스 2025.02.11
45330 글로벌 IT기업·학계, 'AI 안전시대' 목표 비영리재단 출범(종합) 랭크뉴스 2025.02.11
45329 中영화감독 "구준엽, 위선적" 욕하자…中 네티즌들이 화났다 랭크뉴스 2025.02.11
45328 눈물 흘린 김준호 “노력한 만큼 결과 온다 생각…후련하고 아쉬워”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