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서
먹사니즘 이어 '잘사니즘' 비전 제시
국회의원 소환제·30조 규모 추경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고영권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창의와 자율의 첨단기술사회로 가려면 노동시간을 줄이고 '주 4일 근무 국가'로 나아가야 한다"며 노동시간 단축 의지를 표명했다. 다만 "기업 발전과 노동권 권익 보호는 상충되지 않는다"며 반도체특별법으로 촉발된 연구개발(R&D) 인력의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방안에 무게를 실었던 기존의 입장도 철회하진 않았다. 이 대표는 "성장해야 격차도 줄일 수 있다"며 자신의 대표 정책인 기본사회도 다시 꺼내들었다. 보수의 어젠다를 선점하면서도 진보 지지층을 달래기 위한 고육책이다. 집토끼 산토끼 모두 잡아보겠다는 승부수이기도 하다.

자신의 대권 구상으로 띄웠던 성장 중심의 '먹사니즘(먹고사는 문제)'도 모두 공존하는 '잘사니즘(잘 사는 문제)'으로 새롭게 진화시켰다. 그러면서 "'함께 잘 사는 세상을 위해 유용하다면 진보 정책이든 보수정책이든 수용하겠다"고 했다. "이념과 진영이 밥 먹여주지 않는다"는 이재명표 실용주의의 연장선상이다.

정치개혁 방안으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언급했고 민생 경제를 살리기 위한 최소 30조 원 규모의 추경 편성도 촉구했다. 좌우 깜빡이를 모두 켠 이 대표의 광폭 행보에 국민의힘은 "뻥사니즘"이라고 비판하며 "말뿐이 아닌 행동으로 실천하라"(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고 촉구했다.

"경제 살리는 데 색깔이 무슨 의미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치고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이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진행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경제를 살리는 데 이념이 무슨 소용이고, 민생을 살리는 데 색깔이 무슨 의미냐"고 실용주의 노선을 견지했다. 조기 대선이 유력한 상황에서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민생을 우선 챙기며 중도층을 공략하는 동시에, 최근 급격한 우클릭 행보로 이탈 조짐을 보이는 지지층을 의식해 모두 함께 '잘사니즘'으로 치고 나온 것이다.

이 대표는 '함께 잘 사는 세상'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회복과 성장’을 제시했다. "성장해야 나눌 수 있고 더 성장해야 격차를 더 줄일 수 있다"며 지난달 23일 신년회견에서 꺼냈던 '성장 우선주의'를 재차 강조한 이 대표는 '기본사회를 위한 회복과 성장 위원회'를 설치해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선(先) 성장, 후(後) 분배 논리로, '성장 우선주의' 우클릭 행보로 버려지는 듯했던 이 대표의 트레이드마크인 '기본사회'를 재등장시킨 것이다.

'사회 대타협'도 강조했다. 그는 "정치가 앞장서 합리적 균형점을 찾아내고 모두가 행복한 삶을 꿈꿀 수 있는 진정한 사회대개혁의 완성이 잘사니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주 52시간제 및 노동개혁, 연금개혁과 정년연장 등 산적해 있는 난제를 풀기 위해 사회적 대타협을 이뤄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의 반면교사에서 나온 구상"이라며 "의대 정원 늘리는 문제와 관련해 초기 방향성에는 국민들이 공감을 많이 했지만 그 과정에서 대화와 타협이 실종되면서 의료 현장에 해악이 되지 않았느냐"고 설명했다.

국민의힘 야유에도 여유 있게 대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친 뒤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그러나 여당의 반응은 싸늘했다. 이날 연설 도중 이 대표가 노동시간 단축을 언급하자 국민의힘 의석에서 "그래서 진심이 뭡니까?" "주 52시간 제외는 처리할 것이냐"는 반박이 터져 나왔다. 또 직접민주주의 강화조치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를 도입하겠다"고 발언하자 "이 대표부터 법인카드 쓴 거 토해내라", "불체포특권 포기하라"는 야유가 쏟아졌다.

이에 야당 의원들이 거세게 항의하며 한때 소란이 일자, 이 대표는 "무슨 말씀하는지 마저 들어주자", "내일 국민의힘 대표연설 때는 우리가 조용히 해드리겠다"며 자제와 양보를 당부했다. 또 주 52시간 제외 관련 논란에 대해서도 "노동시간을 유연화하더라도 총노동시간을 늘리자는 소리를 누가 하겠느냐. 삼성도 그렇게 하지 않는다"고 정책에 대해 부연설명을 하는 등 여유 있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74 “트럼프, 가자 주민을 사람으로 보지 않는 것”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73 [샷!] 딥시크 "고구려·발해, 中역사 속해"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72 "박살 내자 불 지르자"‥헌재 조준하는 '폭도'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71 한국에 들이닥친 '철강 관세' 파도...가장 험난한 '쿼터 무력화'도 올지 모른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70 노숙인이 준 꼬깃한 세뱃돈, 또 기부한 꼬마 봉사자 [아살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9 [연금의 고수] 방치된 ‘연금계좌’, 잘 굴리면 은퇴자금 벌 수 있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8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우려' 뒤로하고 상승…나스닥 1%↑(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7 홀로서기 실패한 ‘현대차 王집사’ 김동진... 코스닥사 인수 15년만에 원금만 건져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6 빌라임대인 '전세 찾아 삼만리'…역전세 반환대출 이용 저조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5 美서 잘나간 한국 대기업들…관세 부과땐 반도체·IT·자동차 타격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4 윤석열 탄핵심판 7차 변론‥이상민·신원식 등 출석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3 "잡으면 14억"…美 억만장자, '볼리비아 前 대통령'에 현상금 건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2 후반 접어든 尹탄핵심판…계엄 적법성·부정선거 의혹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1 트럼프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오늘 구체적 방안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60 봉사하러 왔다 집사 간택 당했다, 요즘 커플 데이트 성지 된 곳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59 연세대 등 대학가 ‘극우’ 고개…“이한열 열사 뜻 잊었나”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58 주민이 나섰더니 농촌이 일어섰다 [남태령을 넘어⑧]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57 [속보] 北 "美, 안전우려 노골적 무시…격돌구도서 물러서지 않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56 “지지기반 다져놔야 방향 틀 수 있다”… 尹 못 놓는 여당 new 랭크뉴스 2025.02.11
45355 파나마 운하 쥐고 흔드는 트럼프… 韓 해운업계 불똥 튈까 new 랭크뉴스 2025.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