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연합뉴스


미·중 무역전쟁 재개는 중국에 좋은 일이 아니지만 현재가 최악은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 위협에 나서면서 중국은 상대적으로 덜 불리한 상황을 맞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10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수입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9일 밝혔다. 그러나 중국산 철강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하겠다고 한 수준보다 높은 세율을 적용받고 있다.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달 기준 중국의 대미 철강 및 알루미늄 수출관세는 약 35%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5월 평균 7.5%이던 중국산 철강 관세율을 최대 25%로 인상했다. 같은 해 7월에는 멕시코를 거쳐 우회 수출된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에도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조치를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일괄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대미 수출 비중도 미미하다. 중국의 지난해 철강 수출은 2023년 대비 20% 이상 성장했으나 대미 수출 비중은 0.8%에 불과하다. 우원원 철강협회 회장은 “관세 인상이 중국의 철강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비교적 크지 않다”고 제일재경에 말했다. 다만 그는 “자동차, 건설기계, 전자제품 등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제품의 관세가 인상되면 철강의 수출 규모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지난해 철강 수출처 1위는 베트남(11.5%)이며 한국(7.4%)과 아랍에미리트(5.0%)가 뒤를 잇는다. 미국의 전방위 관세 부과로 중국 철강업계는 부담이 상대적으로 상쇄된 반면, 한국 철강업계는 미국 시장에서 입지가 줄어드는 데다가 중국산 철강의 공세라는 이중고를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미국이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발표한 이번 조치에는 상응하는 조치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무역 긴장을 높이는 것이 중국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지만, 보편 관세가 적용되면 이미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유리해진다.

유럽연합(EU)의 대응이 관건이다. EU가 캐나다나 멕시코처럼 관세가 발효되기 전에 협상에 나설지, 중국처럼 보복 관세 부과에 나설지에 따라 중국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달라진다. EU와 미국의 대중국 공조가 느슨해지면 중국 입장에서는 성과로 볼 수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9일 CNN 인터뷰에서 “프랑스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맞설 것”이라면서 “미국은 중국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오는 4월 본격적으로 벌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의 슈퍼 301조를 적용한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반독점 조사 결과가 이 무렵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 언론 성도일보는 “중국은 ‘능히 싸울 수 있어야 전쟁을 멈출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반격 카드를 쌓아놓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자금 후원자들을 타격할 수 있는 농산물 분야 관세를 결정적 카드로 지목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76 부산 반얀트리 호텔 공사장 화재‥"PT룸 인근서 연기 목격" 진술 확보 랭크뉴스 2025.02.15
47475 [속보] 필리핀 클럽서 한인 1명, 6일 만에 납치됐다 풀려나 랭크뉴스 2025.02.15
47474 출산 후 숨진 아기 여행가방에 4년간 방치…친모 징역 4년 선고 랭크뉴스 2025.02.15
47473 부산 반얀트리 공사장 호텔 화재로 33명 사상…정부, 전국 건설현장 긴급 점검 랭크뉴스 2025.02.15
47472 “문형배 내려와야” 3만5000명 운집한 광화문 ‘탄핵 반대’ 랭크뉴스 2025.02.15
47471 "으악!" 용문역 에스컬레이터 1명 넘어지며 승객들 줄줄이 비명 랭크뉴스 2025.02.15
47470 서울 무학여고에 큰불…2시간 만에 불길 잡아 랭크뉴스 2025.02.15
47469 개인정보 개정에도 불안요소 남긴 딥시크…"개보위 적극 나서야"(종합) 랭크뉴스 2025.02.15
47468 홍준표, 김문수 향해 "김구 선생 국적 중국 답변 어이없어" 랭크뉴스 2025.02.15
47467 李 "상속세 때문에 집팔지 않도록"…與 "거짓말 스피커 누가 믿나"(종합) 랭크뉴스 2025.02.15
47466 "진짜 정 떨어져" 식탐도 이혼 사유? 도대체 얼마나 먹기에 [이혼의 세계] 랭크뉴스 2025.02.15
47465 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지 않게 할 것”…‘연일 우클릭’ 랭크뉴스 2025.02.15
47464 서울 성동구 무학여고에서 한때 대응 1단계 화재‥인명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2.15
47463 후임병에 "나는 폐급" 복창·'취침쇼' 요구한 선임, 벌금 700만 원 선고 랭크뉴스 2025.02.15
47462 광주 금남로 거리 메운 尹 탄핵 찬반 집회…전국 각지서 집결 랭크뉴스 2025.02.15
47461 민주당 “내란과 김건희 여사 연결고리 줄줄이 확인…‘명태균 특검’ 필요” 랭크뉴스 2025.02.15
47460 "가족 몰래 묵묵히 일한 아빠"…부산 호텔 화재사고 유족 '침통'(종합) 랭크뉴스 2025.02.15
47459 이번엔 버스 광고… 뿔난 푸바오 팬들 "건강상태 공개하고 처우개선하라" 랭크뉴스 2025.02.15
47458 17년 전 영화에 10대 관객도 몰렸다…재개봉 열풍의 비밀 랭크뉴스 2025.02.15
47457 한국 경제의 나아갈 길, 수출 다각화에 있다[이정희의 경제 돋보기] 랭크뉴스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