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대표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OECD 장시간노동 5위···국제경쟁서 생존 어려워”
“특정영역서 유연화해도 총노동시간 연장 안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 소통 플랫폼 ‘모두의 질문Q’ 출범식에서 격려사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첨단기술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주4일 근무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창의와 자율이 핵심인 첨단과학기술 시대에 장시간의 억지노동은 어울리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공지능(AI)로 상징되는 첨단기술 시대는 전통적인 노동 개념과 복지 시스템을 근본에서 뒤바꿀 것”이라며 “AI와 신기술로 생산성이 높아지는 대신 노동의 역할과 몫의 축소는 필연”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I와 첨단기술에 의한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간 단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표는 “양으로 승부하는 시대는 갔다”며 ‘주 4.5일제’를 거쳐 ‘주4일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시간 연장과 노동착취로는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생존조차 어렵다”며 “우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장시간 노동 5위로 OECD 평균보다 한 달 이상 더 일한다”고 지적했다.

또 “특별한 필요 때문에 불가피하게 특정영역의 노동시간을 유연화해도 그것이 총노동시간 연장이나 노동 대가 회피수단이 되면 안된다”고 밝혔다. 최근 ‘반도체 특별법’ 중 연구개발(R&D) 분야에 한해 주52시간 노동의 예외 조항을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 논란이 불거진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는 주4일제 도입을 주장했지만 국가정책으로 시행하기 이르다는 비판에 따라 공약으로 내세우진 않았다. 이후 지난해에도 주4일제 추진 의지를 다시 밝혔지만 적극적인 조치가 이뤄지진 않았다. 하지만 이 대표가 이날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주4일제를 다시 거론하면서 향후 조기대선에서 주요 공약으로 내세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날 이 대표는 12·3 계엄사태로 ‘눈 떠보니 후진국’으로 전락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권력욕에 의한 친위군사쿠데타는 온 국민이 피로 쟁취한 민주주의와 헌법질서를 송두리째 파괴 중”이라며 “‘군의 정치적 중립 보장’, ‘헌정질서 파괴와 기본권 제한 금지’라는 1987년의 역사적 합의를 한 줌 티끌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 헌법재판소, 선거관리위원회까지 헌법 기관에 대한 근거 없는 불신과 폭력이 난무한다”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헌법원리를 부정하는 ‘반헌법, 헌정파괴 세력’이 현실의 전면에 등장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삶과 국가의 미래를 망치며 비루한 사익과 권력을 좇던 ‘헌정 파괴 세력’이 여전히 반란과 퇴행을 계속 중이지만 우리의 강한 민주주의는 이 어둠과 혼란을 걷어내고 더 밝은 미래와 더 활기찬 희망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다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76 尹탄핵 반대 집회 간 홍준표 부인, 전한길과 ‘인증샷’ 랭크뉴스 2025.02.10
45075 홍준표 "尹 탄핵 인용도, 기각도 걱정…대한민국 더 큰 혼란 빠질 수도" 랭크뉴스 2025.02.10
45074 “종이 뭉치로 머리 때려” 감독 겸 배우 양익준, 후배 폭행 혐의 랭크뉴스 2025.02.10
45073 울산 온산공단 유류탱크 폭발‥2명 중상 랭크뉴스 2025.02.10
45072 빙속 김준호, 남자 500m 동메달…100m 이어 두번째 메달 따냈다 랭크뉴스 2025.02.10
45071 "한국 공산화 막아야"... 애니 챈, 유튜버와 보수 네트워크 이용해 부정선거 전파 랭크뉴스 2025.02.10
45070 ‘이재명 제명’ ‘이미선·정계선 재판관 탄핵’ 청원 5만↑ 랭크뉴스 2025.02.10
45069 "양익준, 종이 뭉치로 후배 때렸다"…그날 주점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2.10
45068 시진핑, 우원식 40분 극진한 환대…‘울타리 고치기’ 시작됐다 랭크뉴스 2025.02.10
45067 한약 먹고 간 나빠졌다고? 67만 명 대규모 연구 결과 보니[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2.10
45066 입학 선물 사러 갔다가 "어머나"…새롭게 떠오른 '등골 브레이커' 뭐길래? 랭크뉴스 2025.02.10
45065 울산 온산공단서 유류탱크 폭발…1명 의식 불명·1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0
45064 울산 온산공단서 유류 저장탱크 폭발…1명 의식불명·1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0
45063 울산 온산공단서 유류탱크 폭발…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62 복당 후 이재명과 통화한 김경수 “당내 다양성 구현되지 못해 아쉽다고” 랭크뉴스 2025.02.10
45061 뜬눈으로 지샌 밤…제22서경호 실종자 가족, 기약없는 기다림 랭크뉴스 2025.02.10
45060 尹 "나라 위기라는 판단에 따라 계엄…헌법 범위내 이행" 랭크뉴스 2025.02.10
45059 이재명 “회복하고 성장해야…30조 원 규모 추경 필요” 랭크뉴스 2025.02.10
45058 “MBC 보도국 위치 형광펜으로”… ‘폭동 모의’ 정황들? 랭크뉴스 2025.02.10
45057 울산 온산공단 유류탱크 폭발로 1명 의식 불명ㆍ1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