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탄핵심판 출석일 더 격화되는 집회
북촌 한옥마을 등 외국인 관광객 급감
현상 오래갈 경우 관광업 타격 불가피
윤석열 대통령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인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도로에 차량통행이 제한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일 아침 서울 종로구 북촌 한옥마을을 찾은 프랑스인 데이비드(38)는 "서울 방문 때마다 찾던 북촌 한옥마을에 앞으론 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매일 열리는 탄핵 찬반 집회로 피해를 입지 않을까 두려워서다. 한옥마을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진행되고 있는 헌법재판소에서 불과 300m 떨어져 있다. 데이비드는 "서부지법에서 벌어진 일에 충격받았지만 한국을 너무 사랑해 여행을 취소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안전을 위해 여의도와 광화문을 피했는데, 헌법재판소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북촌은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였는데, 집회로 방문할 수 없는 곳이 점점 늘어나 아쉽다"며 이내 성수동으로 발길을 돌렸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이 시작된 뒤 외국인 관광객들이 헌재 주변 관광지를 기피하고 있다. 특히 윤 대통령이 헌재에 직접 출석하는 날엔 더 그렇다. 찬반 집회가 훨씬 더 과격하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9일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에 따르면, 한옥마을이 있는 가회동의 단기체류(90일 미만 체류 목적) 외국인 주간별 평균 일일최대 생활인구는 1월 셋째 주(13~17일) 1,521명이었으나 윤 대통령이 헌재에 직접 출석한 넷째 주(20~24일)엔 998명으로 34% 이상 감소했다. 설 연휴 등으로 변론기일이 없었던 다섯째 주(27~31일)엔 다시 1,496명으로 증가했다. 생활인구란 서울시와 KT가 공공 빅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를 통해 실제로 생활하는 인구를 추정한 수치다. 일일최대 생활인구는 특정 시점, 특정 장소에 존재하는 가장 많은 인구 수다. 가령 어느 장소에 오후 2시에 사람이 가장 많았다면 최대로 집계된다.

1월 넷째 주의 날짜별 수치를 비교하면 이런 경향은 더욱 뚜렷하다. 윤 대통령이 헌재에 직접 나온 21일과 23일에는 각각 832명, 837명으로 1월 중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변론기일이 열리지 않은 20일(1,183명) 22일(1,057명), 24일(1,082명)은 평소 수준을 유지했다.

가회동(북촌 한옥마을) 단기체류 외국인 일일최대 생활인구 현황. 그래픽=강준구 기자


한옥마을에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은 집회와 경찰 통제로 인한 여러 불편과 불안을 호소했다. 일본인 사쿠라(18)는 "경찰이 많길래 범죄자가 있는 줄 알고 두려웠다"며 "비행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도로가 통제돼 공항버스 운행이 걱정된다"며 서둘러 근처 지하철역으로 향했다. 서울특별시관광협회 소속 안내원은 "관광객들이 주로 경찰 배치 이유와 도로 통제 구역 및 우회 경로를 문의한다"고 설명했다.

극단적 성향을 지닌 집회 참가자들의 외국인 혐오를 걱정하는 반응도 적잖다. 대만인 카이닝(37)은 "중국어를 쓰니 집회 참가자들이 오해할까 불안하다"며 "일일이 설명할 수도 없어 고민"이라고 토로했다. 지난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일부 탄핵 반대 참가자가 "왜 중국인이 여길 와"라며 중국인 관광객을 밀치는 영상이 퍼지기도 했다. 헌재 인근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5번 출구 앞 탄핵 반대 집회에서는 "중국인 꺼져라" 등의 고성과 함께 'NO CHINA', 'CCP(중국공산당) OUT' 같은 문구가 적힌 손팻말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①정치적 불안정성 ②서부지법 난입·폭력사태로 인한 안전 우려 ③외국인 혐오 이미지가 고착되면 한국 관광업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거라 경고한다. 김남조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외국인들이 소요, 위협 등의 이유로 방문을 자제할 것"이라며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한국 관광 이미지에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꼬집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47 [현장] 이재명, 국힘 연설 방해에 “들어줄 테니 계속 말해 보세요” 랭크뉴스 2025.02.10
45046 장교에 항공수당 주고 부사관엔 안 준 공군…인권위 "차별" 랭크뉴스 2025.02.10
45045 울산 온산공단서 탱크로리 폭발 …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44 "이준석은 제2의 윤석열"‥뉴스공장' 나온 허은아 '울분' 랭크뉴스 2025.02.10
45043 [속보] 울산서 유류 저장탱크 폭발…1명 의식불명·1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0
45042 "눈에는 눈, 관세엔 관세"…트럼프 상호관세 타깃은 랭크뉴스 2025.02.10
45041 "채식주의 외치며 치킨 뜯는 격"…이재명 '우클릭' 때리는 與 랭크뉴스 2025.02.10
45040 '文 대변인' 선·후배 간 충돌‥"망하는 길" 발언에 후폭풍 랭크뉴스 2025.02.10
45039 "나도 집회 나가고 싶은데!"‥'저렇게 될라' 걱정한 홍준표? 랭크뉴스 2025.02.10
45038 울산 온산읍 공장 유류탱크 폭발…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37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취임 “계엄 연루 논란 국회서 말씀드릴 것” 랭크뉴스 2025.02.10
45036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랭크뉴스 2025.02.10
45035 [속보] 온산공단서 탱크로리 폭발…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34 '서부지법 폭동' 피의자들 "서울중앙지법이 맡아달라" 신청했지만 기각 랭크뉴스 2025.02.10
45033 [속보] 당정 "방산 분야 우수 중기 지원…업체당 2년간 최대 50억 원" 랭크뉴스 2025.02.10
45032 중국은 왜 우원식 국회의장을 ‘눈에 띄게’ 환대했나 랭크뉴스 2025.02.10
45031 전광훈 향하는 ‘서부지법 사태’ 배후 수사···경찰, 특임전도사 2명 조사 랭크뉴스 2025.02.10
45030 단 하루만에 78명 숨졌다…시퍼렇게 질린 대만,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2.10
45029 문재인 "尹 발탁 두고두고 후회, 조국에겐 한없이 미안...국민께 송구" 랭크뉴스 2025.02.10
45028 트럼프, 현직 美대통령으로 첫 슈퍼볼 관람…"국가 영혼에 좋아"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