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삼성화재 자사주 소각하면 생명 지분율 16.93%로
밸류업 목적과 지배구조상 자회사 편입 필요성 커
지분법 적용하면 삼성생명 순이익 年 3500억 증가
주주환원율 50%로 높이면 ‘오너 일가’ 반사이익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 /뉴스1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자회사 편입이 현실화되면 삼성생명의 연간 순이익이 3500억원 늘어 배당 규모가 확대되고, 이는 삼성생명 지분 18%를 보유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오너 일가’의 상속세 우회 지원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 오너 일가는 주식담보대출 등을 통해 12조원의 상속세를 분할 납부하고 있어 이자비용 등 현금이 부족한 상황이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는 지난달 31일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의 하나로 자사주 비중을 2028년까지 5% 미만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삼성화재가 자사주를 소각하면 최대주주인 삼성생명의 지분율은 현재 14.98%에서 16.93%까지 높아진다. 보험업법상 보험사는 다른 회사 지분을 15% 초과해 보유할 수 없어,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편입하거나 초과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받아들일 필요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삼성화재가 밸류업을 위해 자사주를 소각했는데, 삼성생명이 초과지분을 매각하면 오버행(잠재적 매도물량)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재용 회장의 지배구조를 보더라도 초과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재용 회장은 자신의 삼성전자 지분 1.63%와 함께 삼성물산(지분 17.97%)·삼성생명(지분 10.44%) 두 회사를 중심으로 삼성전자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이 총 10%에 달하는데, 삼성생명이 삼성화재 지분을 매각하면 지배구조의 축 하나가 흔들릴 수 있는 것이다.

그래픽=정서희

반면 삼성생명이 삼성화재를 자회사로 품으면 순이익이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자회사의 실적을 모회사에 반영하는 방법은 연결재무제표 또는 지분법인데, 업계는 지분법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 지분법을 적용하면 자회사(삼성화재)의 순이익을 모회사(삼성생명)에 지분율만큼 반영한다. 지난해 삼성화재 순이익 2조767억원에서 자사주 소각 후 삼성생명 지분율(16.93%)을 곱한 약 3500억원이 삼성생명 순이익에 더해지는 셈이다.

삼성생명이 지분법을 인식하려면 삼성화재 실질 지분율이 20% 이상이거나, 삼성화재에 대한 경영권을 실질적으로 행사한다고 판단돼야 한다. 일각에선 삼성생명이 지분법 인식을 위해 삼성화재 지분을 추가 매입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지난 1일 종가(38만1500원) 기준 삼성화재 실질 지분 2.18%를 매입하기 위해선 348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한투자증권은 삼성생명 지분율을 20%, 주주환원율(배당성향)을 50%로 가정했을 때 2028년 배당금을 주당 8282원으로 추산했다. 올해 배당금(주당 4500원)보다 1.8배 높은 수준이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8월 “3~4년 내 주주환원율을 5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삼성생명이 배당 규모를 확대하면 삼성 오너 일가의 상속세 납부를 간접 지원할 수 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이재용 회장은 삼성생명 지분 10.44%를 보유해 2대 주주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은 5.76%,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은 1.73%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삼성 오너 일가는 2021년부터 12조원의 상속세를 계열사 지분 매각과 주식담보대출 등을 통해 5년 동안 분할 납부하고 있다. 이들이 받은 주식담보대출은 2조9000억원으로, 매년 부담하는 이자만 1400억원으로 알려졌다.

다만 보험업계 1위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규모를 고려하면 자회사 편입에 대한 금융위원회의 승인과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를 모두 받아야 한다. 통상 금융회사가 금융 당국에 자회사 편입 신청을 하면, 금융 당국이 공정위에 경쟁제한 가능성 등 의견을 물어보면서 심사가 진행된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자회사 편입과 관련한 공식적인 신청이 접수되지 않았다”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53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랭크뉴스 2025.02.10
44952 “살인마 소리 들어” 장성규, 오요안나 관련 ‘가세연’에 항의 랭크뉴스 2025.02.10
44951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 25% 관세…11~12일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50 출퇴근길 ‘칼바람’ 강추위 지속…아침 최저 -15도 랭크뉴스 2025.02.10
44949 “소프트웨어 패배주의 만연”...한국, 빅테크 '간택'만 기다린다[딥시크, 딥쇼크②] 랭크뉴스 2025.02.10
44948 이재명, 오늘 교섭단체 대표연설…주제는 ‘회복과 성장’ 랭크뉴스 2025.02.10
44947 ‘여수 선박 침몰’ 수색 이틀째…실종 5명·사망 5명 랭크뉴스 2025.02.10
44946 봉준호 "비상계엄 후 해외배우들 연락 빗발쳐…그 어떤 SF보다 초현실적" 랭크뉴스 2025.02.10
44945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② “민주당 포용·확장할 때…이재명 대표도 공감” 랭크뉴스 2025.02.10
44944 [Why] 삼다수가 제주·칭다오 직항로 개설에 특히 간절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0
44943 "과격 집회·혐오... 尹 올 때마다 겁나요" 한옥마을 멀리하는 외국인 여행자들 랭크뉴스 2025.02.10
44942 이장직 물러난 이재명…재명이네마을 “개딸 동원령” 무슨일 랭크뉴스 2025.02.10
44941 설민석 오류 잡아낸 고고학자, 유현준에 “문제 여지 상당” 랭크뉴스 2025.02.10
44940 아직 선원 5명이 차가운 바다에…여수 침몰 어선 수색 이틀째 랭크뉴스 2025.02.10
44939 지난해 항공기 4대 중 1대는 늦게 출발·도착···지연율 1위 항공사는? 랭크뉴스 2025.02.10
44938 트럼프 “중동 국가에 가자지구 땅 일부 줄 수도” 랭크뉴스 2025.02.10
44937 정권연장 45.2%·정권교체 49.2%…국민의힘 42.8%·민주 40.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36 "북유럽 안전 해치는 스웨덴 갱단"… 스웨덴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2.10
44935 "성폭행 신고한대" 15억 원 뜯은 공무원 랭크뉴스 2025.02.10
44934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중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