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곽종근 "인원 끄집어내라고 했다" vs 윤 대통령 "'인원'이라는 단어 안 써"

지난 6일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6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은 윤 대통령의 지시를 이렇게 증언했습니다.

"의결 정족수가 안 채워진 것 같으니,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주장하고 있는 윤 대통령의 지시

헌법재판관들의 여러 차례 확인에 최종적으로 정리한 진술입니다.

윤 대통령은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을 전면 부인하며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그냥 사람이라는 이런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을 저는 써본 적이 없습니다."
-윤 대통령(지난 6일, 헌법재판소 변론기일)

때 아닌 '인원' 논쟁이 불붙은 이유입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이 말을 한 직후에도 불과 몇 분 만에 '인원'이라는 표현을 세 차례 사용했고, 과거에도 '인원'이라는 표현을 여러 차례 사용한 사실이 밝혀졌죠.

그러자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해명을 내놨습니다.

"윤 대통령의 발언 취지는 '이 사람·저 사람 등 지시 대명사'로 이 인원, 또는 저 인원이란 표현을 안 쓴다는 뜻이었다"
-석동현 변호사(오늘(9일), 페이스북)

석 변호사는 이어 "윤 대통령도 예컨대 '인원수가 얼마냐' '불필요한 인원은 줄여라' '인원만큼 주문해' 이런 표현에서 당연히 인원이란 단어를 쓴다"며 "헌재 변론에서도 바로 윤 대통령이 인원이라는 표현을 이렇게 썼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해석은?…"단체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 또는 그 수효"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봤습니다.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캡처

우선 '인원'이라는 단어는 명사입니다. 석 변호사의 주장과 달리 '지시 대명사'가 아닙니다.
본래 '단체인 사람들, 혹은 그 수효'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석 변호사의 해명은 어떤 이유에서 나왔을까?

조심스레 짐작해 보자면 석 변호사는 "윤 대통령은 '인원'이라는 단어를 '단체인 사람들' 보다는 '단체인 사람들의 수'를 표현하기 위해서만 썼다"라고 주장하고 싶은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석 변호사가 제시한 예문에서도 혼용돼 있습니다.

'인원(단체인 사람들의)수가 얼마냐'
'불필요한 인원(단체인 사람들)은 줄여라'
'인원(단체인 사람들의 수효)만큼 주문해'

-석동현 변호사가 같은 날 언급한 예문

■여러분은 '사람'과 '인원'을 구분할 수 있으십니까?

다시 윤 대통령의 말과 글들을 몇 가지 발췌해 봤습니다.

"국회 본관을 거점으로 확보해서 불필요한 인원을 통제한다는 목적으로 들어갔는데…" (2월 6일, 헌법재판소 변론기일)

"들어갈 사람은 들어갈 것이다. 국회가 개회 중이고 또 의원회관에도 많은 사람이 있고 소통관에도 또 인원들이 있기 때문에…" (2월 4일, 헌법재판소 변론기일)

"지금 의사를 증원하더라도, 증원된 인원이 배출되지 못하는 향후 10년 동안 우리 국민들께서 얼마나 큰 어려움을 겪으실지 그게 더 걱정입니다."(24년 4월, 대통령 업무글)

"지금 일단 인원을 좀 보강해 가지고 하여튼 좀 돈의 흐름을 따라서 광범위하게 조사를 하려고…" (20년 10월, 대검찰청 국정감사)

"조사받은 것을 공개하고 싶지 않은 사람들도 많고, 조사받은 분들 인원을 공개할 때 나중에 사건 처리할 때 애로 사항이 있습니다."(18년 10월, 서울중앙지검 국정감사)

'인원'이라는 단어를 '단체인 사람·의사·검사' 등으로 대체했을 때 어색한가요?

앞서 곽 전 사령관이 주장한 윤 대통령의 지시와 문맥상 의미상 다른 뜻으로 느껴지시나요?

■탄핵심판 영향은 제한적…그러나 검증해야만 하는 '대통령의 말'

사실 윤 대통령이 '인원'이라는 표현을 썼느냐 안 썼느냐는 이번 탄핵심판에서 중요한 부분이 아닙니다.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헌법재판관들이 다양한 정황과 진술을 종합해 판단을 내릴 예정입니다. 윤 대통령의 말버릇은 그중에서도 간접적인 한 가지 정황일 뿐입니다. 설사 윤 대통령이 의식하지 못한 채 '인원'이라는 표현을 사용해 왔더라도 곽 전 사령관의 주장이 사실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의 한마디 한마디가 논란이 되고 언론이 검증에 나서는 것은 그것이 '현직 대통령의 말이나 주장'이기 때문입니다.

윤 대통령 취임 초기 논란을 불렀던 '바이든' · '날리면' 사례가 떠오릅니다.
다만, 이번 과목은 듣기평가가 아닌 문법시험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16 ‘조기 대선’ 말은 못해도…‘몸 푸는’ 국민의힘 주자들 랭크뉴스 2025.02.10
44915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추가 관세 부과 발표"(종합) 랭크뉴스 2025.02.10
44914 "분명히 얼굴만한 대게살이었는데?"…中 과장 광고에 속은 소비자들 '분통' 랭크뉴스 2025.02.10
44913 방산업계 오너 ‘병역 이행’은…구본상 LIG·정의선 현대차 ‘군면제’·김동관 한화·정기선 HD현대 ‘장교전역’[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2.10
44912 작년 항공기 4대중 1대는 늦게 출발·도착…국제선 지연율 1위 에어서울 랭크뉴스 2025.02.10
44911 삼성家 유전병 치료 신약 만드는 이엔셀 “환자 맞춤 다품종 소량 생산 노하우가 1등 비결” 랭크뉴스 2025.02.10
44910 코로나때 軍연가비 깎여 퇴역연금 삭감…"평등위배 아닌 재량" 랭크뉴스 2025.02.10
44909 여수 먼바다 침몰 어선…밤샘 실종자 수색 랭크뉴스 2025.02.10
44908 이수만 떠난 SM, 첫 5세대 걸그룹으로 매출 1조 승부수 랭크뉴스 2025.02.10
44907 [2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0
44906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 수입에 25% 관세…10일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05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04 "의원·요원·인원? 뭣이 중한데"‥"핵심은 둘" 보수원로의 '콕' 랭크뉴스 2025.02.10
44903 홋카이도서 스키 타던 韓 여성, 나무와 충돌 사망 랭크뉴스 2025.02.10
44902 트럼프·머스크의 ‘연방정부 축소’ 광폭 행보, 법원서 줄줄이 제동 랭크뉴스 2025.02.10
44901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0
44900 트럼프 대통령 "10일부터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랭크뉴스 2025.02.10
44899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898 “성관계 동의 여부를 헷갈릴 정도면 친밀한 관계일 리가”[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97 [단독] ”4900억 더 달라” GS건설, 입주 넉 달 앞둔 ‘메이플자이’ 조합에 소송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