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上>부정선거 음모론 한미 커넥션
애니 챈 '한국보수주의연합' 회장 인터뷰
막대한 자금으로 트럼프 지지세력에 로비
尹 탄핵 막기 위해 미국 끌어들이려는 의도
'대한민국 공산화 위기'라는 세계관에 빠진 듯

편집자주

부정선거 음모론의 망령이 떠돌고 있다. 수많은 검찰 수사와 대법원 판결로 이미 검증이 끝났는데도 극우 진영은 각종 의혹을 신봉하며 시민사회와 정치권을 파고 들었다. 한국일보는 한미 양국에서 영향력을 키우며 민주주의의 근간을 뿌리째 흔드는 이들의 행태와 그 배후로 지목된 백만장자 재미동포 애니 챈의 행적을 추적했다.


애니 챈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 회장이 2023년 8월 제21기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 간부위원과 통일대화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한미동맹USA재단


"한국 대통령을 불법적으로 구속하고 있다는 것을 미국에 알릴 겁니다."

재미동포 애니 챈(김명혜)은 1일 한국일보와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19일 열리는 미국 보수 진영 최대 연례행사인 '보수정치행동회의(CPAC)'에 홍보 부스를 설치해 윤 대통령에 대한 불법수사와 탄핵의 부당함, 한국의 부정선거를 알리겠다는 것이다.
미국을 이용해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법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막으려는
속셈이 깔렸다. 보수의 신념이 왜곡된 전형적 사례다. 보수 진영이 총선에서 패배한 것은 ‘부정선거’ 때문이고 잘못을 바로잡으려 계엄이란 수단을 선택한 것뿐이라는 윤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믿음에 사로잡혀 있다.

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챈의 영향력이다. 백만장자인 그는 한미 양국을 오가며 부정선거를 확산시키는 '큰손'으로 불린다. 그가 산파 역할을 한 여러 단체가 겹겹이 둘러싸며 호위하고 있다. 챈은 부정선거 주장의 선봉에 선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의 설립자다. 이에 동조하는 예비역 단체 한미자유안보정책센터(KAFSP) 이사장을 맡았다. 아울러 한미동맹USA재단(KUAUF)과 원코리아네트워크(OKN)를 설립해 단체 이름으로 한미 정계 인사들과 접촉했다.
무엇보다 그는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미국 부정선거론자들에게 지속적으로 로비를 벌여왔다. 국내
일부 여당 의원들과 미국 보수 진영에서도 부정선거 음모론에 동조
하는 양상이 뚜렷하다.

한국일보 특별취재팀은 한국과 미국에서 부정선거 주장이 왜 기승을 부리는지, 그 배후에는 누가 있는지 추적해왔다.
그 정점에 있는 애니 챈을 서울 종로구 KCPAC 사무실에서 만날 수 있었다. 챈이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 응한 건 처음이다.
다만 본인 요청에 따라 음성만 녹음하고 얼굴 사진은 찍지 않았다.

부정선거 부인하면 공산주의 지원 세력

지난 1일 애니 챈 한국보수주의연합(KCPAC) 회장을 인터뷰하기 위해 찾은 서울 종로구 르메이에르타워에 위치한 KCPAC사무실. 애니 챈은 인터뷰에 응하면서도 사진 촬영은 극구 거부했다. 해당 사무실은 한미동맹USA재단 사무실이기도 하다. 구현모 기자


챈의 주장은 아스팔트로 뛰쳐나간 부정선거론자들의 발언과 꼭 닮았다.
보수 정당이 2020년과 2024년 총선에서 참패한 것은 부정선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정선거를 부인하는 사람은 공산주의를 서포트하는 사람이든가, 테크놀로지(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챈은 "엔지니어링 쪽에 몸을 담아본 사람이라면 금방 부정선거라는 답이 나온다"고도 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불법 정황이나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부정선거 의혹들은 2022년 대법원 판결 등을 통해 모두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챈은 부정선거론을 주장하는 이들을 모아 단체를 만들고 플랫폼을 마련해줬다. 그 중 하나가 KCPAC이다. KCPAC은 미국의 연례행사인 CPAC과 유사하게 단체의 이름을 지었고 이 행사의 파트너를 자처하고 있지만 공식 연관 관계는 불확실하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KCPAC의 가장 큰 역할은 미국 조야에 부정선거 의혹을 퍼트리는 것이다. 2021년에는 부정선거 의혹을 다룬 백서 'Election Fraud 2020'을 출간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 참여한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이 서문을 썼다. 챈이 CPAC을 통해 요청했다고 한다. 챈은 이렇게 미국 저명인사, 트럼프 대통령 추종자들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해 부정선거 의혹을 확산시켰다.

챈은 "ACU(미국 보수주의연합·CPAC 행사 주관 단체)의 맷 슐랩 의장도 선견지명을 갖고 부정선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이 책'을 홍보했다"고 주장했다. 맷 슐랩은 트럼프 1기 백악관 전략커뮤니케이션 국장을 지낸 머세이디스 슐랩 ACU 공동의장의 남편이다. 그는 지난해 12월 윤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통과되기 직전 서울 한남동 관저를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맷 슐랩을 윤 대통령에게 소개했냐는 질문에 챈은 "그건 저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창업과 부동산 사업으로 큰돈 벌어

2022년 10월 25일 윤상현 의원실 주관으로 국회에서 열린 '제6회 세계한민족회의' 내외동포정보센터 창립1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애니 챈 KAFSP 이사장이 축사를 전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


미국 시민권자인 챈은 막강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한국와 미국에서 부정선거 주장을 확산시켜왔다. 1984년 남편과 반도체 관련 회사 ESS테크놀로지를 공동 창업했고, 하와이에서 부동산 사업을 통해 큰돈을 모았다. 그는 "16세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가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며
"홍콩 출신 남편과 결혼했고 그의 집도 그렇게 부유하지 않았지만 무일푼으로 시작해 성공했다
"고 말했다.

한국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다.
챈은 "박 전 대통령이 갑자기 감옥에 가는 신문 기사를 읽고 쇼크를 받았다"며 "남한의 경제 기적을 만든 박정희 대통령의 딸인데 갑자기 감옥에 끌려가고 탄핵이 될 수 있다니..."
라고 당시 충격을 전했다.


한미 양국의 보수단체 활동에 적극적인 이유를 묻자 "한국 언론들이 계엄과 부정선거 의혹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전 대통령 탄핵을 촉발한 태블릿 PC 보도, 김건희 여사 관련 각종 의혹 보도를 왜곡으로 규정했다.

그는 특히 김 여사에 대해서는 "
딱히 친분이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
김 여사를 공격하는 것은 나를 공격하는 것과 똑같다. 나는 모국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미국에 정확하게 알릴 책임이 있다"
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 정치인들이 저에게 흥미를 갖고 접근한 것이지 저는 어떤 모임에도 나간 적이 없다"며 정치적 목적이나 커넥션과는 거리를 뒀다.

연관기사
• 국내 정치권 겨냥한 애니 챈… 국민의힘 중진들과 접촉 빈번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516340000921)• 이준석 "尹 초면부터 부정선거 주장... 음모론 키운 건 애니 챈과 여당" [인터뷰]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0413240005278)

※ 제보 기다립니다한국일보는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의 명분으로 삼은 부정선거론의 세력화 과정을 집중 취재해 보도하고 있습니다. 부정선거론과 극단적 보수신념이 확산하게 된 경위와 관련된 이들의 의심스러운 행위에 대해 아는 내용이 있는 분들은 메일([email protected])로 제보해 주십시오.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되며, 제보 내용은 공동체의 공익과 시민의 알 권리 충족을 위해서만 사용하겠습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09 이준석 “주4일제, 자영업자에게는 날벼락 같은 이야기”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8 인권위 난입 尹 지지자들, 길 막고 “이재명 욕하면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7 [단독] MS 이어 스타게이트도 타켓…LG '빅테크 칠러 전담팀' 신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6 [속보] 인권위,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5 대전 초교서 8살 여아·교사 흉기에 찔린채 발견…여아는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4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다시 꺼낸 이재명… 정치권 ‘개헌’ 논의 맞불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3 "가난하고 천한 게" 교사가 학부모에 막말 문자...교육청은 '구두경고'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2 [속보] 인권위, '尹방어권 보장' 안건 수정 의결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1 [단독] 방첩사 간부 “선관위 출동팀에 특사경 수사관 20명” 檢진술 new 랭크뉴스 2025.02.10
45200 "그거 진심입니까" 與항의에, 이재명 "품격 좀 지키시라니까"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9 한파 막바지…당분간 큰 추위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8 ‘마은혁 불임명’ 권한쟁의심판서 ‘여야 합의 기준’ ‘청구 적법성’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7 10년을 기다린 ‘시그널 2’, 내년 드디어 본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6 [단독] 진격의 기아, 글로벌 판매 6000만대 '대기록' 썼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5 ‘조기 대선’, 언제까지 금기어?... 눈치보며 몸 푸는 여권 잠룡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4 개헌 공세에 '입꾹닫' 이재명…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먼저 꺼냈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3 주택연금 '독식'…하나銀 혁신 꺾는 관치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2 6분 만에 논문 뚝딱… AI, 학계도 덮쳤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1 법원, '내란 수괴' 尹 재판 첫날에 구속 필요성도 함께 따진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5190 “대통령 방어권 지켜야” 인권위 안팎에서 극우 소란…‘윤석열 방어권’ 안건 갑론을박 이어져 new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