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예테크족 ‘머니 무브’
연 3% 금리 예금이 사라지고 있다. 시중은행은 물론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은 인터넷전문은행과 저축은행에서도 3% 이자를 주는 예금이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6개월 만기 저축은행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는 2%대로 내려앉았다. 낮은 금리 탓에 예금에서 탈출한 돈은 투자 대기 자금으로 쌓이고 있다. 최대 연 9%대 이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등 정책상품에도 돈이 쏠렸다.

9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이날 저축은행의 6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2.88%로, 1달 전(3.01%)보다 0.13%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까진 연 3%대 밑으로 한 차례도 떨어진 적 없었다. 그러다 지난달 중순 2%대로 주저앉았고 이달 들어서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정근영 디자이너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예금금리는 연 3.3%에서 3.15%로 0.15%포인트 떨어졌다. 매달 1일을 기준으로 저축은행 12개월 만기 예금금리를 비교했을 때 기준금리가 1%대였던 2022년 7월(3.09%) 이후 2년6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부터 예금금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어 12개월 만기를 기준으로 3%대 금리 선마저 깨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축은행 예금은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로 ‘예테크(예금+재테크)족’의 주요 투자처로 꼽혔지만, 최근 사정이 달라졌다. 시중은행과 비슷한 수준으로 금리가 떨어지면서다.

저축은행 입장에선 예금금리를 높여서까지 자금을 끌어올 유인이 줄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대출 규모를 크게 늘리기 어려운 상황이라 고금리 예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예금금리도 하락세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의 최고 금리는 연 3%로 동일하다. 우대금리 혜택을 제외한 기본금리는 2.4% 수준까지 내려갔다.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는 지난 1일 코드K 정기예금의 12개월 만기 금리를 연 3%에서 2.9%로 0.1%포인트 낮췄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 예금 금리도 3~3.1% 수준이다.

낮은 이자 때문에 예금의 매력이 떨어지면서 예테크족의 ‘머니 무브’가 본격화하고 있다. 직장인 정준수(33)씨는 지난달 예금 만기 이후 다른 투자처를 찾아보고 있다. 정씨는 “예금 보호 한도인 5000만원까진 저축은행 고금리 예금에 가입해왔는데 지금은 가장 높은 게 3%대라 다시 가입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며 “주식 등 다른 투자처를 찾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수신액은 연 5~6%대 고금리 상품이 있었던 2022년 말엔 120조2384억원에 달했지만, 지난해 11월 말엔 103조3649억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해 12월 한 달에만 21조1285억원이 감소했고, 올해 1월엔 4조7918억원이 또 줄었다. 2%대 예금에 실망한 예테크족이 돈을 빼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반면 주식 투자 대기 자금인 투자예탁금은 지난 6일 기준 54조6734억원으로, 3개월 전(49조8900억원)보다 9.6% 증가했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예금의 매력이 떨어지면서 최대 연 9%대 이자를 받는 효과가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인기는 급증했다. 올 1월 청년도약계좌 신규 신청자는 일평균 2만4300명으로, 전월(일평균 4400명)의 5배가 넘는다. 이달에도 6일까지 일평균 신청 인원이 2만9000명을 기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50 출퇴근길 ‘칼바람’ 강추위 지속…아침 최저 -15도 랭크뉴스 2025.02.10
44949 “소프트웨어 패배주의 만연”...한국, 빅테크 '간택'만 기다린다[딥시크, 딥쇼크②] 랭크뉴스 2025.02.10
44948 이재명, 오늘 교섭단체 대표연설…주제는 ‘회복과 성장’ 랭크뉴스 2025.02.10
44947 ‘여수 선박 침몰’ 수색 이틀째…실종 5명·사망 5명 랭크뉴스 2025.02.10
44946 봉준호 "비상계엄 후 해외배우들 연락 빗발쳐…그 어떤 SF보다 초현실적" 랭크뉴스 2025.02.10
44945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② “민주당 포용·확장할 때…이재명 대표도 공감” 랭크뉴스 2025.02.10
44944 [Why] 삼다수가 제주·칭다오 직항로 개설에 특히 간절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0
44943 "과격 집회·혐오... 尹 올 때마다 겁나요" 한옥마을 멀리하는 외국인 여행자들 랭크뉴스 2025.02.10
44942 이장직 물러난 이재명…재명이네마을 “개딸 동원령” 무슨일 랭크뉴스 2025.02.10
44941 설민석 오류 잡아낸 고고학자, 유현준에 “문제 여지 상당” 랭크뉴스 2025.02.10
44940 아직 선원 5명이 차가운 바다에…여수 침몰 어선 수색 이틀째 랭크뉴스 2025.02.10
44939 지난해 항공기 4대 중 1대는 늦게 출발·도착···지연율 1위 항공사는? 랭크뉴스 2025.02.10
44938 트럼프 “중동 국가에 가자지구 땅 일부 줄 수도” 랭크뉴스 2025.02.10
44937 정권연장 45.2%·정권교체 49.2%…국민의힘 42.8%·민주 40.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36 "북유럽 안전 해치는 스웨덴 갱단"… 스웨덴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2.10
44935 "성폭행 신고한대" 15억 원 뜯은 공무원 랭크뉴스 2025.02.10
44934 백악관 “트럼프, 이번주 중 우크라 종전 논의할 것” 랭크뉴스 2025.02.10
44933 [이하경 칼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가 심상치 않다 랭크뉴스 2025.02.10
44932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① “검찰 개혁하겠다던 윤석열 발탁, 두고두고 후회한다” 랭크뉴스 2025.02.10
44931 추가 배송비 99만 원?‥소비자 우롱하나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