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력 주자들… 토론회·정치원로 접촉 등 활발

계엄 관련, 홍준표만 법적 판단엔 부정적 시각
한동훈·오세훈, 尹 탄핵엔 사실상 찬성 입장

여권의 잠재적 대선 주자들이 최근 토론회나 언론 인터뷰, 정치 원로 접촉 등을 늘리며 대외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당 차원에서는 여전히 ‘조기 대선’이 금기어로 취급되지만 현실화 가능성에 대비한 예열에 들어간 셈이다. 이를 통해 12·3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개헌론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주자들 간 입장도 선명해지고 있다.

현시점에서 여권 ‘잠룡’으로 불리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은 모두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부적절했다는 입장을 보인다. 다만 뉘앙스 차이는 있다. 한 전 대표는 계엄 선포 직후 “위헌·위법적 계엄을 막아내겠다”고 밝혔고,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 표결을 이끌었다. 오 시장도 당시 “계엄에 반대한다. 철회돼야 한다”는 의사를 밝혔다.

홍 시장은 최근 방송토론회에서 “계엄은 부적절했다”면서도 “적절했냐 부적절했냐 문제이지, 불법이냐 아니냐 문제는 아니다”며 법적 판단에 대해선 거리를 뒀다. 김 장관은 지난 4일 “계엄의 정당 여부를 떠나 대통령은 모든 것을 다 잃어버렸다”며 “국무회의에 참석했으면 강력하게 반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 탄핵 문제를 두고는 첨예한 인식차가 드러난다. 김 장관은 “대한민국 대통령이 계속 탄핵당하고 불행한 역사를 계속 겪어나가는 것은 국민 누구도 원하지 않을 것”이라며 확고한 탄핵 기각 의견을 밝혔다. 홍 시장 역시 일관되게 탄핵 반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한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12일 “대통령의 조기 퇴진 의사가 없음이 확인된 이상 즉각적인 직무정지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고 단언했다. 오 시장도 ‘대통령의 침묵’을 이유로 들며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찬성 의사를 밝혔다.

개헌에 대한 입장도 주요 관전 요소로 꼽힌다. 가장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는 인물은 오 시장이다. 그는 오는 12일 국회에서 ‘지방분권 개헌 토론회’를 개최한다. 홍 시장도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제6공화국의 40여년은 민주화와 평화적 정권교체로 그 수명을 다했다”며 개헌론을 제기했다. 한 전 대표는 개헌 관련 입장을 밝힌 적은 없으나 개헌 필요성에 대해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정치권의 대표적 개헌론자인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과 설 연휴 기간 만나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핵심 쟁점에 대한 여권 잠룡들의 메시지는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본선행을 결정지을 변수가 될 전망이다. 현재는 여권이 탄핵을 반대하는 강성 지지층 위주로 결집한 상황이어서 이들과 결을 같이하는 주자들의 지지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김 장관과 홍 시장이 이들 그룹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향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경우 민심과 당심이 어떻게 출렁일지 예단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돼 대선 국면이 펼쳐지면 중도 확장성이 큰 인물로 지지가 몰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9 여수 먼바다 침몰 어선…밤샘 실종자 수색 랭크뉴스 2025.02.10
44908 이수만 떠난 SM, 첫 5세대 걸그룹으로 매출 1조 승부수 랭크뉴스 2025.02.10
44907 [2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0
44906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 수입에 25% 관세…10일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05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04 "의원·요원·인원? 뭣이 중한데"‥"핵심은 둘" 보수원로의 '콕' 랭크뉴스 2025.02.10
44903 홋카이도서 스키 타던 韓 여성, 나무와 충돌 사망 랭크뉴스 2025.02.10
44902 트럼프·머스크의 ‘연방정부 축소’ 광폭 행보, 법원서 줄줄이 제동 랭크뉴스 2025.02.10
44901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로이터> 랭크뉴스 2025.02.10
44900 트럼프 대통령 "10일부터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랭크뉴스 2025.02.10
44899 [속보]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898 “성관계 동의 여부를 헷갈릴 정도면 친밀한 관계일 리가”[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97 [단독] ”4900억 더 달라” GS건설, 입주 넉 달 앞둔 ‘메이플자이’ 조합에 소송 랭크뉴스 2025.02.10
44896 중국, 오늘부터 대미 보복관세…퇴로 없는 무역전쟁 랭크뉴스 2025.02.10
44895 성폭력 피해자, 경찰·검찰·법원 앞에서 무너졌다[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94 SK는 간판만 바꾸는데 1000억 들었다…대한항공 CI 교체, 실속은? 랭크뉴스 2025.02.10
44893 “한국 감리교, 전체주의처럼 동성애 배척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2.10
44892 백악관 "트럼프, 이번 주 우크라 종전 논의…비용 회수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891 ‘1.1% 성장’ 전망까지 나왔다… 계엄 후폭풍에 저성장 늪 빠진 한국 랭크뉴스 2025.02.10
44890 오요안나 비극 뒤엔…"방송사 66%가 비정규직, 을끼리 싸운다"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