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일 계속된 한파로 한강 결빙이 공식 관측된 9일 오전 서울 동작구 한강대교 주변에 얼음이 얼어 있다. 기상청은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 100m 지점에 설정한 직사각형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으면 한강이 결빙됐다고 발표한다. 김현동 기자

뒤늦게 찾아온 입춘 한파에 한강이 드디어 얼어 붙었다. 기상청은 9일 올겨울 처음 한강이 결빙됐다고 밝혔다. 1906년 관측을 시작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늦은 기록이다.

한강 결빙은 서울 최저기온이 -10도 이하인 상태가 3일 이상 지속할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평년 기준으로는 1월 10일 즈음에 이런 날씨와 함께 한강 결빙이 관측됐다.

올 겨울에는 결빙 관측 기록으로는 드문 2월에 나타났다. 지난 4일부터 서울 최저기온이 -10도가량인 상태가 6일 연속 지속하면서다. 기상청은 지난 12~1월 서울에서는 이런 수준의 한파가 이틀가량 나타나다 사라지는 등 짧게 나타나 한강이 얼 새가 없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연일 계속된 한파로 한강 결빙이 공식 관측된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강 결빙 관측 지점에 얼음이 얼어 있다. 김현동 기자

8일까지 이어지던 바람이 9일 아침 잦아든 것도 결빙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강풍으로 유속이 빨라지면, 기온이 낮아도 한강이 얼기 어렵다. 이날 오전 9시 서울 대부분 지역 풍속은 초속 0~1m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한강 결빙은 기온 외에도 유속·유량 등 여러 조건이 맞아야 일어나는데, 이번에는 2월 들어 조건이 맞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동작구 노량진동 앞 한강대교 상류 100m 부근에서 한강 결빙을 관측한다. 설정된 감시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일 때 결빙으로 판단한다. 1906년 주요 나루터였던 노량진에서 시작된 관측이 이어지고 있는데, 이런 기준으로 2월에 결빙이 나타난 건 올해를 포함해 4번밖에 없었다.



북극 온난화로 제트기류 내려와 한파 발생
올해의 2월 한파는 북극 찬 공기를 가두는 제트기류가 사행(뱀처럼 구불구불해짐)하며 중위도까지 내려와서 나타난 현상이다. 반기성 케이클라이밋(기후 분석 업체) 대표는 "북극이 빠르게 따뜻해면서 제트기류가 약화하면서 북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까지 밀려내려온 상태인데, 지난 1월 미국 쪽으로 내려가 한파를 일으켰고 2월 들어서는 한반도 쪽으로 심하게 굽은 제트기류가 내려왔다"고 분석했다.
북극한파는 왜 발생할까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기상청]

기상청은 이번 추위가 11일까지 나타날 것으로 예보했다. 9일 전국 아침 최저기온은 -16.7~-2도로 관측된 가운데, 10일은 -15~-2도, 11일 -13~-1도로 예상된다. 이후 12일에는 전국 최저기온이 -4~6도로 크게 오를 전망이다. 서울은 10일 -8도, 11일 -5도로 춥다가 12일 0도를 시작으로 최저기온도 영상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한다.

당분간 대설 소식은 없다. 9~10일 충청과 전라권에 1㎝ 내외, 제주도에는 1~5㎝의 눈이 내려 쌓일 전망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86 “교통카드 깜빡…아 맞다, 버스비 공짜지?” 랭크뉴스 2025.02.10
44885 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하면… 이재용 상속세 부담 던다 랭크뉴스 2025.02.10
44884 중국, 대미 보복관세 개시‥막오른 2차 무역전쟁 랭크뉴스 2025.02.10
44883 듣기평가 이어 이번엔 문법시험?…윤 측 “‘인원’, 지시대명사로 쓰지 않아” 랭크뉴스 2025.02.10
44882 ‘동의 없는 강간’ 벌하지 못하는 법…피해자는 ‘가짜’가 됐다[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랭크뉴스 2025.02.10
44881 'K2가 수출 효자'…현대로템, 18조 중동시장 공략 박차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2.10
44880 인권위, 오늘 '尹방어권 보장 안건' 재상정해 논의 랭크뉴스 2025.02.10
44879 어머니께 받은 16억 아파트… 상속세 한 푼도 안낸다?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랭크뉴스 2025.02.10
44878 '마은혁 권한쟁의' 두번째 변론…청구 적법성·여야 합의 쟁점 랭크뉴스 2025.02.10
44877 "부평·창원선 1만명 잘릴 판"…미·중에 치여, 韓공장 짐싼다[다시, 공장이 떠나다] 랭크뉴스 2025.02.10
44876 “관세 피하자” 韓 몰려드는 中기업…美 제재 전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875 딥시크에 '김치 원산지' 묻자...한국어엔 "한국" 중국어엔 "중국" 랭크뉴스 2025.02.10
44874 상호관세로 수위 올리는 트럼프... 무협 "보편관세 오면 한국 132억 달러 손해" 랭크뉴스 2025.02.10
44873 개헌 침묵 이재명, 의원 국민소환제 검토...학계선 "개헌 사안" 랭크뉴스 2025.02.10
44872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쓰는 SNS, 카톡·유튜브…2030 픽은 '이것' 랭크뉴스 2025.02.10
44871 尹의 힘 커질라 VS 탄핵 힘 꺼질라…여야 '5만 대구집회' 딜레마[view] 랭크뉴스 2025.02.10
44870 [단독] "尹 구속은 불법, 美에 알리겠다"... 부정선거 음모론의 '큰손' 국내 최초 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0
44869 앤디 김 "USAID는 국가안보에 중요…해체 시 더 많은 분쟁 야기" 랭크뉴스 2025.02.10
44868 [Today’s PICK] 고려대(SK)>연세대(삼성)…반도체학과 경쟁률도 희비 랭크뉴스 2025.02.10
44867 자취 감추는 3%대 예금…두달새 26조원 빠져나갔다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