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일 제주 해상 이어 9일 여수 해상서 어선 침몰
4명 사망·6명 실종…‘정부 안전대책 무색’ 지적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에서 승선원 14명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이 침몰해 여수해경이 구명 뗏목에 대기 중인 승선원을 구조하고 있다. (여수해양경찰서 제공) 연합뉴스

9일 전남 여수 해상에서 14명이 승선한 139톤급 대형 선박 제22서경호가 침몰해 4명이 사망했고, 6명은 실종 상태다. 지난 1일 제주 인근 해상 어선사고가 발생한 지 열흘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어선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내놓았던 어선사고 안전대책이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선적 어선 침몰

여수해경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새벽 1시40분께 전남 여수시 하백도 동쪽 약 17㎞ 해상에서 139톤급 저인망 어선인 트롤 선박 제22서경호가 연락이 끊겼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당국은 해상·수중 수색에 나섰다.

사고 당시 배에는 한국인 선원 8명과 외국인 선원 6명 등 모두 14명이 타고 있었다. 승선원 14명 중 8명이 구조됐는데, 이 가운데 4명은 생존했고, 4명은 사망했다. 6명은 실종됐다.

구조된 외국인 선원은 “항해 중 바람과 파도에 선체가 전복됐다”고 해경에 진술했다. 해경은 경비함정 19척과 항공기 13대, 유관기관 선박 7척, 민간어선 15척 등을 동원해 수색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가용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최우선으로 인명을 구조하고 실종자 파악에도 최선을 다해 달라”고 지시했다.

어선 사고 증가

여수 해상 어선 전복 사고는 지난 1일 제주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어선 사고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지 열흘도 되지 않아 발생했다.

해양수산부 조사를 보면, 어선 전복·침몰·충돌·안전사고 등으로 인한 사망·실종자 수는 2023년 78명에서 지난해 119명으로 41명(52%)이나 증가했다. 이는 2014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이자, 2017년 이후 7년 만의 세자릿수 사망·실종자 기록이다. 어선 사고는 해마다 2천건 정도 발생한다. 어선 사고 사망·실종자는 2020년 9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지난해 3월에는 어선 사고 5건이 발생하면서 18명의 인명피해(사망 11·실종 7)가 발생했다. 이에 해수부는 맞춤형 어선 안전 관리로 전복·침몰 사고를 예방하겠다면서 지난해 5월 ‘어선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강도형 장관은 당시 “어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생업에 임할 수 있도록 이번 대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8일 제주 해상에서 135금성호 승선원 27명 중 5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되는 등 어선 사고가 가파르고 늘었다.

9일 새벽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139톤 대형 트롤 어선 제22서경호 모습. 연합뉴스

이상기온 등 영향

어선 사고 증가의 원인으로 이상기후와 인적 과실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풍랑 특보 발표 현황을 보면, 2022년 734건에서 2023년 804건, 2024년 10월 기준 734건으로 2022년 전체 건수를 넘었다. 박재화 해양경찰청 구조안전국장은 “일단 갑작스러운 돌풍 등 이상 기온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위험물 적재 불량과 무리한 조업, 인적 과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풍랑주의보 발효에도 선단을 구성할 경우 출항과 조업이 가능해 사고 예방 한계가 있다는 점도 문제다. 선단은 15톤 이상(2척 이상), 어선 간 9.66㎞(6마일) 이내 거리를 유지하며 운항하는 경우를 말한다. 포항해양경찰서 한 관계자는 “어민들의 생계가 걸려있는 부분이다 보니, 기름을 들여 조업 장소까지 간 어선이 조업을 포기하고 돌아오지 않는다. 해경에서도 법을 위반한 사항이 아니면, 어선을 강제로 입항하도록 할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외국인 선원이 급격하게 증가한 점도 주목하고 있다. 선박사고 원인을 분석한 국승기 한국해양대 교수(재난원인조사반장)는 “선주와 외국인 선원 간의 원활한 소통 부재에서 비롯되는 사고 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외국인 선원에 대한 관련 교육 강화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외국인 선원은 2021년 1만1160명에서 지난해 1만6145명으로 40% 이상 급증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56 독일서 테슬라 2대 잇따라 화재…방화 의심 랭크뉴스 2025.02.10
44855 "딥시크에 건물내 인원 물으니…층수·면적 추론해 답 내더라" [최준호의 직격인터뷰] 랭크뉴스 2025.02.10
44854 [사설] 트럼프 이번엔 “상호 관세”…윈윈전략 등 정교한 대비책 마련하라 랭크뉴스 2025.02.10
44853 소행성 2024 YR4, 충돌 확률 2.2%… 전문가 “결국 0%에 가까워질 것” 랭크뉴스 2025.02.10
44852 [사설] ‘내란 음모론’ 힘 싣는 국힘, 그러면 계엄이 없던 일 되나 랭크뉴스 2025.02.10
44851 방미 이시바 ‘아부의 예술’… 車관세·방위비 방어 랭크뉴스 2025.02.10
44850 트럼프 방위비·관세 압박에…이시바 ‘선물 보따리’ 퍼주기 랭크뉴스 2025.02.10
44849 계엄 ‘반대’ 탄핵 ‘이견’ 개헌 ‘동조’… 결 달리하는 與 잠룡들 랭크뉴스 2025.02.10
44848 [사설] 尹과 극우 도 넘는 '혐중 몰이'에 중국 "연계 말라" 첫 언급 랭크뉴스 2025.02.10
44847 독일 패트리엇 기지에 러 스파이 의심 드론 랭크뉴스 2025.02.10
44846 빼빼로·돼지바로 14억 인도인 입맛 공략…롯데, 현지 신공장 준공 랭크뉴스 2025.02.10
44845 종반 접어든 ‘윤석열 탄핵심판’…헌재, 내달 중순 결론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10
44844 한파 6일 만에 얼어붙은 한강…역대 2번째 지각 결빙, 왜 랭크뉴스 2025.02.10
44843 ‘사실상 무관세’ 한국도 안심 일러…미 의존 높은 자동차 ‘긴장’ 랭크뉴스 2025.02.10
44842 트럼프 “英 해리왕자 추방 안해…아내로도 충분히 골치아플 것” 랭크뉴스 2025.02.10
44841 마크롱 대통령, AI정상회의 홍보 위해 AI로 만든 패러디 영상 게시 랭크뉴스 2025.02.10
44840 아파트 화재, 버스 사고 잇따라…층간소음 갈등 ‘참극’ 랭크뉴스 2025.02.09
44839 철원이 북극보다 추웠다…기류 정체 탓 랭크뉴스 2025.02.09
44838 강남 엄마 교복이라는 '이 패딩'…"이젠 못 입겠다" 한숨 랭크뉴스 2025.02.09
44837 김정은 “미국이 한반도 격돌 구도 근본 원인…핵역량 가속적 강화”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