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대병원서 영결식 엄수
태진아 "형님은 영원한 제 멘토...아직도 믿기지 않아"
설운도 "늘 우러러봤던 형님... 함께 활동하며 많이 배웠다"
태진아 "형님은 영원한 제 멘토...아직도 믿기지 않아"
설운도 "늘 우러러봤던 형님... 함께 활동하며 많이 배웠다"
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가수 송대관의 영결식에서 유가족이 영정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공동취재
"형님은 항상 저한테 멘토였습니다. '형 가는 길만 따라오면 너는 다 잘 되는 것이여, 알았지 동생?'이라고 하셨죠. (송)대관이 형이 돌아가셨다고 하니까 치매 걸린 아내가 '아이고, 어떡해. 왜'라며 묻더군요. 형이 우리랑 얼마나 가까웠으면 기억을 못하는 아내가 형을 기억해주나 싶어 아내를 끌어안고 울었습니다. 아직도 믿기지 않습니다."
가수 태진아는 지난 7일 별세한 선배 송대관을 떠나보내는 추도사를 낭독하며 마지막으로 "대관이 형 잘 가, 영원한 나의 라이벌이여"라고 외쳤다. 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된 영결식에서 울려 퍼진 그의 작별 인사에 참석자들은 눈시울을 붉혔다.
대한가수협회장으로 치러진 이날 영결식에는 유족과 동료 음악가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배우 겸 가수 김성환의 약력 소개로 시작한 영결식에서 이자연 대한가수협회장은 조사를 낭독하며 "(고인의 히트곡인) '네 박자'가 방송에 나올 때마다 저도 노래에 한몫했다고 생각해 행복했다"며 "우리 후배들은 선배님의 유머 있는 모습과 따뜻한 미소와 주옥 같은 노래들을 잊지 않고 오래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가수 송대관의 영결식에서 태진아가 추도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설운도는 추도사에서 "데뷔했을 때 정말 우러러봤던 선배님이었고 같이 활동하면서 참 많이 배웠다"면서 "가수는 결국 무대에서 시작해 무대에서 생을 마감하는데 마지막까지 무대에서 하고 싶은 일을 웃으면서 하시다 가셨기에 마음은 아프지만 위안이 된다. 형님 빈자리를 사랑으로 채워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태진아와 설운도, 이자연을 비롯해 배일호, 강진, 박상철, 김수찬, 양지원, 문희옥, DJ DOC 김창열 등 후배 가수들은 조가로 고인의 대표곡인 '해뜰날'을 불렀다. 생전 고인이 아꼈다는 후배 김수찬은 '해뜰날' 모창과 성대모사로 고인에 대한 애정과 존경을 표했다. 유족과 동료 음악가들이 관을 운구하고 식장을 떠나며 영결식은 마무리됐다.
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가수 송대관의 영결식에서 태진아, 강진, 설운도 등 후배 가수들이 고인의 대표곡인 '해뜰날'을 합창하고 있다. 공동취재
79세를 일기로 별세한 송대관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해 1975년 '해뜰날'로 MBC '10대가수 가요제'에서 '가수왕'에 오르는 등 폭넓은 인기를 누렸다. 1980년 처가가 있는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며 잠시 음악 활동을 멈췄으나 1988년 귀국해 '정 때문에' '차표 한 장' '네 박자' '유행가' 등 여러 히트곡을 내며 제2의 전성기를 누렸다. 1990년대에는 태진아, 설운도, 지난해 7월 세상을 떠난 현철과 함께 '트로트 사대천왕'으로도 불렸다. 2008년 2대 대한가수협회장을 맡아 동료 가수들의 권익 신장에 앞장섰다.
고인은 경기도 안성 유토피아추모관에서 영면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