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입품에 美수출품 상대국 부과 세율
감세 따른 세수 부족분 충당 활용 취지
‘FTA 무관세’ 韓, 흑자 꼬투리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 미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미일 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 확전을 예고했다. 앞으로 미국의 수출품에 붙는 관세와 똑같은 세율을 교역 상대국에서 자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적용한다는 게 그의 구상이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한국은 대부분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매기지 않는다. 하지만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크기 때문에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동등하게 대우받을 것”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백악관 미일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 자리에서 나라를 가리지 않고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를 부과할 계획을 갖고 있다며 “10일이나 11일 회의 뒤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품에 부과되는 관세 수준에, 수입품 대상 관세도 맞춘다는 발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표적은 미국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는 국가다. 미일 회담 직전 그는 취재진에게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할 것”이라며 “더 많이도, 더 적게도 바라지 않는다”고 말했다.

예상된 확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이웃나라인 멕시코·캐나다, 패권 경쟁국인 중국에서 들어오는 수입품에 각각 25%, 10%의 보편 관세를 물린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글로벌 관세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세 나라는 미국이 수입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들이다. 신호탄이었던 셈이다.

다음 타깃은 유럽연합(EU)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일인 지난달 20일 “우리는 EU에서 약 3,000억 달러(약 437조 원)의 적자를 보고 있다. 그들이 우리 석유를 구매하게 하거나, 아니면 관세를 통해 바로잡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특히 EU의 수입 자동차 대상 관세(10%)가 미국 세율(2.5%)보다 훨씬 높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불평이었다. 최근 인사청문회에서 상무장관 후보자 하워드 러트닉은 인도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후보자 제이미슨 그리어는 베트남·브라질을 관세 장벽이 높은 나라로 각각 지목했다.

무력화한 북미 3국 FTA

5일 중국 동부 장쑤성 난징항 부두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 난징=AFP 연합뉴스


상호 관세는 고육책일 수 있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일 백악관에서 연방의회 공화당 의원들에게 감세에 따른 세수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관세 인상이 필요하다며 해당 계획을 소개했다. 그러나 원래 트럼프 대통령 구상은 10~20% 보편 관세였다. 미국 폴리티코는 “모든 수입품에 일률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이 완화됐다”고 분석했다.

보복전도 불사할 정도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무기화 의지는 강하다. 미국이 4일 관세 부과를 강행한 중국의 경우, 10일 대미 보복 관세 부과가 시행된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 선택은 전선 확대였다.

한국이 상호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한미 FTA 발효 10년째인 2022년 3월 품목 수 기준으로 양국 모두 98% 이상의 상대국 상품에 대해 관세 철폐를 완료했다는 게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당시 분석이었다.

문제는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다. 미국 상무부 무역 통계에 따르면 작년 상품수지 대미 흑자 규모가 가장 큰 나라는 중국으로 2,954억 달러(약 430조 원)였고, 한국도 660억 달러(약 96조 원)로 9위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FTA 일종인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으로 묶여 있던 멕시코·캐나다를 상대로도 마약·불법 이민의 미국 유입 방치를 핑계로 고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한국에도 맞춤형 구실을 찾을 수 있다. 비관세 장벽 완화,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등을 압박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51 방미 이시바 ‘아부의 예술’… 車관세·방위비 방어 랭크뉴스 2025.02.10
44850 트럼프 방위비·관세 압박에…이시바 ‘선물 보따리’ 퍼주기 랭크뉴스 2025.02.10
44849 계엄 ‘반대’ 탄핵 ‘이견’ 개헌 ‘동조’… 결 달리하는 與 잠룡들 랭크뉴스 2025.02.10
44848 [사설] 尹과 극우 도 넘는 '혐중 몰이'에 중국 "연계 말라" 첫 언급 랭크뉴스 2025.02.10
44847 독일 패트리엇 기지에 러 스파이 의심 드론 랭크뉴스 2025.02.10
44846 빼빼로·돼지바로 14억 인도인 입맛 공략…롯데, 현지 신공장 준공 랭크뉴스 2025.02.10
44845 종반 접어든 ‘윤석열 탄핵심판’…헌재, 내달 중순 결론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10
44844 한파 6일 만에 얼어붙은 한강…역대 2번째 지각 결빙, 왜 랭크뉴스 2025.02.10
44843 ‘사실상 무관세’ 한국도 안심 일러…미 의존 높은 자동차 ‘긴장’ 랭크뉴스 2025.02.10
44842 트럼프 “英 해리왕자 추방 안해…아내로도 충분히 골치아플 것” 랭크뉴스 2025.02.10
44841 마크롱 대통령, AI정상회의 홍보 위해 AI로 만든 패러디 영상 게시 랭크뉴스 2025.02.10
44840 아파트 화재, 버스 사고 잇따라…층간소음 갈등 ‘참극’ 랭크뉴스 2025.02.09
44839 철원이 북극보다 추웠다…기류 정체 탓 랭크뉴스 2025.02.09
44838 강남 엄마 교복이라는 '이 패딩'…"이젠 못 입겠다" 한숨 랭크뉴스 2025.02.09
44837 김정은 “미국이 한반도 격돌 구도 근본 원인…핵역량 가속적 강화” 랭크뉴스 2025.02.09
44836 에콰도르 대선 투표 시작…최연소 재선 대통령? 첫 여성 대통령? 랭크뉴스 2025.02.09
44835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랭크뉴스 2025.02.09
44834 여수 해역 어선 침몰…5명 사망·5명 실종 랭크뉴스 2025.02.09
44833 네타냐후, 트럼프 가자 구상에 “신선한 아이디어···우리가 하겠다” 랭크뉴스 2025.02.09
44832 인도 사람도 돼지바·죠스바 먹는다…롯데, 인도 신공장 준공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