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의 ‘조기 대선’ 거리두기 속에서도 차기 대선 후보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당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강경 지지층을 의식해 공식적으로 조기 대선에 선을 긋는 분위기다. 다만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의 행보는 본격화하고 있다.
오 시장은 오는 12일 국회에서 ‘87체제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개헌토론회’를 연다. 개헌을 고리로 사실상 대권 행보를 시작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오 시장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오 시장은 지방분권도 개헌의 중요한 축으로 논의돼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어젠다 세팅 차원에서 열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두고 직접적인 메시지는 자제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탄핵 찬성 입장을 냈던 만큼 결집세를 보이는 강경 지지층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뜻으로 풀이된다. 다만 오 시장측 관계자는 “말을 바꾸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시장은 여권 대선주자 중 가장 먼저 출마를 시사했다. 홍 시장은 지난해 12월2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구시장 졸업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적었고, 송년 기자간담회에서는 “조기 대선 상황이 오면 나간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강경 지지층에 소구하는 메시지에 집중하고 있다. 홍 시장은 전날 SNS에서 “탄핵반대 집회에 참가해서 실상을 알리는 연설을 하고 싶은데 고발할테고 페북에 내 의견만 게재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며 윤 대통령 석방을 촉구했다.
한 전 대표는 최근 설 연휴를 전후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 등 정치 원로들과 잇따라 만나며 복귀 수순에 들어갔다. 한 친한계 의원은 통화에서 한 전 대표 복귀 시점에 대해 “2월말이 됐건 3월초가 됐건 탄핵 변론 기일이 끝나는 시점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최근 일부 젊은 친한계 인사들은 ‘언더73’(한 전 대표가 태어난 1973년 이전에 태어난 소장파들의 모임)을 만들며 한 전 대표 복귀 지원에 나섰다.
여권 대선 주자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보이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조기 대선 출마를) 전혀 검토한 적이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현직 국무위원인데다 탄핵에 반대하는 강경 지지층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다만 김 장관이 지난 3일 이명박 전 대통령과 회동한 것을 것을 두고 정치적 진로에 대한 논의가 오갔을 거라는 추측도 제기됐다. 이 자리에 함께한 이재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는 통화에서 “김 장관이 새해 인사를 오겠다고 해 만들어진 자리”라며 대선 출마는 거론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국민의힘은 조기 대선이 윤 대통령의 탄핵 인용을 뜻하는 만큼 강경 지지층들을 의식해 선을 긋고 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조기 대선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여권 주자들 역시 헌재의 탄핵 심판 결론이 나오기 전까지는 직접적인 조기 대선 언급을 자제하면서 개헌과 핵심 정책 어젠다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