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의 한 보신탕 집에 시민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개 식용 종식법’ 시행 반년 만에 개 사육 농장 10곳 중 4곳이 문을 닫았다. 농장 폐업이 늘며 개 식용 종식 추진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갈 곳 없는 잔여견들의 보호·관리를 위한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8월7일 ‘개의 식용 목적 사육·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개 식용 종식법)’ 시행 이후 지난 6일까지 6개월 간 전국 개 사육 농장(1537개)의 40%인 623개가 폐업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5월 농장주들이 지방자치단체에 운영 현황 등을 신고할 당시엔 약 200개 농장이 폐업하겠다고 밝혔는데, 실제 폐업한 수는 그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폐업 농장 중에선 300마리 미만 사육 농장이 449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00~1000마리 미만 사육 농장 153개, 1000마리 이상 사육 농장 21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 식용 종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하면서 폐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소농뿐 아니라 중대농에서도 조기 폐업에 적극 참여했다”며 “올해까지 폐업 농장은 전체의 60%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개 식용 종식이 큰 차질 없이 이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개 식용 목적 사육·도살·유통·판매 등을 전면 금지한 개 식용 종식법은 지난해 2월6일 법 제정·공포 후 8월 시행됐으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7년 2월7일부터 적용된다. 폐업하는 개 사육 농장에는 폐업 시기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폐업이행촉진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지난 6일까지 폐업한 농장은 1구간에 해당하며, 지자체의 현장 실사 등을 거쳐 마리당 60만원을 받는다.

폐업 농장 수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늘었지만, 잔여견의 보호관리 부실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농장주들이 지난해 5월 신고한 사육 견은 총 46만6000마리다. 이 중 이번에 폐업한 농장에서 사육 중인 개는 10만마리 안팎으로 추정된다. 농장 폐업으로 발생한 잔여견은 지자체가 소유권을 인수해 보호·관리하도록 돼 있지만,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도 이미 포화상태여서 수용 규모는 제한적이다. “잔여견의 안락사는 없다”고 정부도 밝힌터라, 유일한 해법은 잔여견이 분양되거나 시장에 유통·판매되는 것이다.

하지만 잔여견은 주로 몸집이 큰 대형견이어서 반려인 수요가 적고, 국민들의 인식 변화와 겨울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시장의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폐업 농장의 잔여견 대부분이 유통상인을 통해 기존의 대형 개 사육 농장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육견협회 관계자는 “지원금이라도 받으려고 조기 폐업하는 농장이 많지만, 시장의 수요가 없어 다른 대형 농장으로 사는 곳만 이동하는 실정”이라며 “기존 농장의 좁은 케이지 안에 많은 개들을 암수 구분없이 모아놓게 되면 자연 출산율이 증가해 개체 수가 오히려 늘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농장 수 감소와 별개로 부작용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기존 개들의 유통·판매 소요 기간을 고려해 개 식용 종식법의 유예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 식용 종식, ‘예산 재검토·농장주 반발’ 등 곳곳 암초2027년까지 개 식용을 종식하겠다는 정부 구상이 곳곳에서 제동이 걸리고 있다. 야당은 3500억원 규모의 관련 예산에 대한 삭감을 벼르고 있고, 개 사육 농장주들은 ‘개 식용 종식법 폐기’를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6일 국회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개 식용 종식법의 추진 과정에서 제도 미비로 인한 부작용 발생과 예산 낭비 우려가 있다며 관련 예...https://www.khan.co.kr/article/202411061541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0 국힘, ‘헌재 휩쓸 것’ 전한길 고발건 종결 촉구···“내란선동 아냐” 랭크뉴스 2025.02.10
44999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45%는 ‘하락거래’…거래량 3개월 연속 감소 랭크뉴스 2025.02.10
44998 ‘성장’ 24번 외친 李… “주4일 근무, 30조 추경” 랭크뉴스 2025.02.10
44997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랭크뉴스 2025.02.10
44996 국민의힘 이상휘 “홍장원·곽종근은 탄핵 내란의 기획자···확실하게 조사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995 세계문화유산 ‘병산서원’ 훼손 혐의 KBS 드라마팀 관계자 3명 송치 랭크뉴스 2025.02.10
44994 올릭스, 일라이릴리에 9천억 신약 기술수출 소식에 폭등 [Why 바이오] 랭크뉴스 2025.02.10
44993 이재명 "주4일 근무국가로 나아가야…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랭크뉴스 2025.02.10
44992 트럼프가 원하고 젤렌스키도 주겠다는 희토류…문제는 러시아 점령지에 매장 랭크뉴스 2025.02.10
44991 이번에는 '잘사니즘' 띄운 이재명  "진보, 보수 유용한 처방 총동원" 랭크뉴스 2025.02.10
44990 봉준호 “비상계엄, SF보다 초현실적…해외 제작진 ‘괜찮냐’며 연락” 랭크뉴스 2025.02.10
44989 충암고 졸업식서 “여러분 잘못 없다” 사과한 민주당 의원 랭크뉴스 2025.02.10
44988 [속보]이재명 “잘사니즘 위해 어떤 정책도 수용”···의원 소환제·30조 추경 제안 랭크뉴스 2025.02.10
44987 이재명 "주4.5일제 거쳐 주4일 근무 국가로‥총노동시간 연장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
44986 이재명이 찾던 ‘군용차 차단 청년’도···“반도체 52시간 예외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
44985 [속보] 이재명 “먹사니즘 넘어 잘사니즘…주4일제도 논의하자” 랭크뉴스 2025.02.10
44984 김경수 "복당 후 이재명과 통화…李 '당의 다양성 아쉽다' 말해" 랭크뉴스 2025.02.10
44983 이재명 대선 청사진 ‘잘사니즘’… ‘주4일제’ ‘정년 연장’ 제시 랭크뉴스 2025.02.10
44982 '배우자 생일 축하금' 200만원에 車할부금 대납…뇌물 받는 법도 갖가지 랭크뉴스 2025.02.10
44981 '15세女 강간' 前대통령 은신에…"현상금 14억" 꺼낸 갑부, 뭔일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