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세부 종목서 금메달 6개·은메달 4개·동메달 3개 최대 성과
돌아온 최민정, 3관왕으로 건재 과시…남자 선수들은 병역 혜택
돌아온 최민정, 3관왕으로 건재 과시…남자 선수들은 병역 혜택
3관왕 달성하고 환히 웃는 최민정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최민정이 태극기를 두르고 세리머니를 하며 밝게 웃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최민정이 태극기를 두르고 세리머니를 하며 밝게 웃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하얼빈=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역대 최고의 성적을 내고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전망을 밝혔다.
한국은 8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쇼트트랙 혼성 2,000m 계주에서 첫 금메달을 딴 뒤 박지원(서울시청)과 김길리(성남시청)가 남녀 1,500m, 최민정(성남시청)이 여자 500m에서 우승하며 금메달 4개를 휩쓸었다.
9일엔 남자 1,000m에서 장성우(화성시청)가, 여자 1,000m에선 최민정이 우승했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 걸린 9개 금메달 중 6개를 따면서 역대 동계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최다 금메달 획득 타이기록을 썼다.
한국은 1999 강원 대회와 2003 아오모리 대회에서도 6개 금메달을 획득했다.
6개 금메달은 당초 대표팀이 내건 목표치와 같다.
한국은 또 은메달 4개와 동메달 3개도 추가했다.
쇼트트랙 전성시대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 우승한 장성우와 은메달 박지원이 태극기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에서 열린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 우승한 장성우와 은메달 박지원이 태극기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은 아시아 최대 경쟁국인 중국에서 열렸기에 더 의미가 있다.
중국은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편파 판정으로 이득을 봤고, 한국은 희생양이 됐다.
이번 대회에서도 불리한 상황이 펼쳐졌다.
하얼빈 대회 쇼트트랙은 모두 오전에 열렸으나 한국 대표팀의 공식 훈련은 모두 오후로 배정됐다.
아울러 훈련할 때 영상 기기 반입을 저지당해 훈련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특히 경기장 트랙이 좁아서 아웃코스 추월을 잘하는 한국 대표팀에게 불리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한국은 메달 레이스 첫날부터 5개 금메달 중 4개를 싹쓸이하며 기선을 완전히 제압했다.
중국은 남자 500m에 출전한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 금메달 1개를 따는 데 그쳤다.
린샤오쥔의 금메달은 중국 대표팀 동료 쑨룽이 뒤에서 손으로 엉덩이를 밀어준 '반칙 플레이'를 한 덕분이라는 의혹에 휩싸였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 규정에 따르면, 쇼트트랙 선수들은 경기 중 동료들로부터 '밀어주기' 도움을 받을 수 없고, 이 경우 페널티를 받는 등 제재가 이뤄진다.
동력을 얻은 린샤오쥔은 앞서 달리던 박지원을 제치고 금메달을 땄다.
심판진은 이 플레이에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았다.
태극기 두른 최민정과 김길리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최민정(왼쪽)과 은메달을 차지한 김길리가 태극기를 두르고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하얼빈=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9일 중국 하얼빈 헤이룽장 빙상훈련센터 다목적홀에서 열린 하얼빈 동계아시안게임 쇼트트랙 여자 1000m 결승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최민정(왼쪽)과 은메달을 차지한 김길리가 태극기를 두르고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2025.2.9 [email protected]
아쉬운 결과였지만, 한국은 흔들리지 않았다.
이튿날 경기에서도 한국은 2개의 금메달을 추가했다.
여자 1,000m에 나선 최민정은 아시안게임 기록을 두 차례나 깨며 우승해 대회 3관왕에 올랐고, 장성우는 남자 1,000m에서 통산 첫 번째 시니어 국제종합대회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길리와 박지원은 각각 은메달을 획득했다.
남녀 계주에선 다소 아쉬웠다. 남녀 대표팀 모두 결승선을 앞두고 중국 선수들과 충돌하면서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특히 남자 대표팀은 중국 린샤오쥔의 거친 플레이에 휘말린 뒤 페널티 판정을 받았다.
남녀 계주에선 메달 획득에 실패했지만, 하얼빈 대회 성과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준비 과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혼성 계주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박지원, 장성우, 김태성(화성시청), 김건우(스포츠토토)는 병역 혜택을 받아 부담을 덜고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올림픽에 나설 수 있게 됐다.
2023-2024시즌 휴식을 취한 최민정도 복귀 후 첫 국제종합대회에서 녹슬지 않은 기량을 과시하며 자신감을 끌어올렸다.
2023-2024시즌 세계 랭킹 1위로 메이저 국제종합대회에 처음 출전한 신흥 에이스 김길리도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