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딥시크와 챗GPT 스마트폰 앱 이미지. EPA연합뉴스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를 향한 관심이 빠르게 식고 있다. 광범위한 이용자 개인정보를 수집해 자국 서버로 전송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정보 유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웹 서버가 아닌 개인용 PC에 딥시크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퍼지고 있다. 한편 개인정보위원회는 딥시크의 보안 우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9일 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 데이터 집계에 따르면, 딥시크 어플리케이션(앱) 일간 사용자수는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급감했다. 같은달 29일 13만2781명으로 줄었고, 30일에는 9만6751명으로 추락했다.지난 4일 일간 사용자는 7만4688명에 불과했다.

딥시크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던 지난달 28일 17만1257건으로 최다를 기록했으나 29일에는 6만7664건으로 3분의 1 수준까지 쪼그라들었다. 지난 4일에는 2만452건에 그쳤다.

지난달 공개된 딥시크의 추론형 AI 모델 ‘R1’은 챗GPT에 맞먹는 성능을 내면서도 비용은 훨씬 저렴해 업계에 충격을 줬다. 이에 대한 호기심으로 국내 이용자들의 수요도 단기간에 걸쳐 급증했으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불거지면서 점차 관심이 식고 있는 추세로 분석된다.

딥시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을 보면, 이 앱은 이용자의 성별·생년월일 등 기본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접속한 장치의 모델, 운영체제, 키 입력 패턴 또는 리듬, IP 주소 및 시스템 언어까지 광범위하게 수집한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비교해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다. 챗GPT의 경우 설정에서 챗봇에 입력한 정보를 다음 대화에 기억하게 할지, 오픈AI 모델 훈련을 위해 보낼지 등을 이용자 선택에 맡기고 있다. 반면 딥시크는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거부하는 이른바 ‘옵트 아웃(opt-out)’ 선택지를 아예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에 정부기관 및 기업들은 딥시크 차단령에 나서고 있다. 지난 5일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통일부·농림축산식품부·보건복지부·환경부 등도 합류했다. KB국민은행·하나은행 등 시중 은행을 비롯해 현대·기아차, 대한항공 등 기업들도 임직원들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일부 개발자와 연구원들은 로컬(개인용 PC) 환경에서 딥시크를 실행하고 있다. PC에 직접 딥시크의 AI 모델을 내려받아 오프라인 환경에 챗봇을 구현하면 중국 서버로 내 정보가 흘러들어갈 우려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매개변수가 15억개인 딥시크 R1 모델은 2.3기가바이트(GB) 정도의 여유 공간이면 충분히 설치 가능하다. 매개변수 6710억개를 모두 이용하려면 404GB가 필요하다. 유튜브 등지에는 “내 PC에서 로컬로 딥시크 구동하기” “PC에 R1 설치하기” 등의 소개 영상이 다수 올라와 있다.

다만 로컬에서 구동되는 딥시크도 ‘검열’은 피해갈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술매체 테크크런치는 “로컬로 실행되는 딥시크 버전을 확인해 본 결과, 미국에서 일어난 켄트 주립대 총기난사 사건에 관한 질문은 기꺼이 답했지만 1989년 천안문 광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는 여전히 ‘대답할 수 없습니다’라고 답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개인정보위원회는 지난 7일 딥시크의 개인정보 침해 논란과 관련해 기술 분석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지속 제기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한 이용을 당부드린다”고 당부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58 [속보] 정권연장 45.2%·정권교체 49.2%…국민의힘 42.8%·민주 40.8%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2.10
44957 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56 딥시크에 ‘김치 원산지’ 물었더니…언어별로 달랐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0
44955 ‘전동 킥보드’ 면허 신설에…“필기 보면 누가 따겠냐”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2.10
44954 딥시크 쇼크, 드러난 IT 강국 한국의 수준 [EDITOR's LETTER] 랭크뉴스 2025.02.10
44953 [속보]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관세 25% 부과하겠다” 랭크뉴스 2025.02.10
44952 “살인마 소리 들어” 장성규, 오요안나 관련 ‘가세연’에 항의 랭크뉴스 2025.02.10
44951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 25% 관세…11~12일 상호관세 발표" 랭크뉴스 2025.02.10
44950 출퇴근길 ‘칼바람’ 강추위 지속…아침 최저 -15도 랭크뉴스 2025.02.10
44949 “소프트웨어 패배주의 만연”...한국, 빅테크 '간택'만 기다린다[딥시크, 딥쇼크②] 랭크뉴스 2025.02.10
44948 이재명, 오늘 교섭단체 대표연설…주제는 ‘회복과 성장’ 랭크뉴스 2025.02.10
44947 ‘여수 선박 침몰’ 수색 이틀째…실종 5명·사망 5명 랭크뉴스 2025.02.10
44946 봉준호 "비상계엄 후 해외배우들 연락 빗발쳐…그 어떤 SF보다 초현실적" 랭크뉴스 2025.02.10
44945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② “민주당 포용·확장할 때…이재명 대표도 공감” 랭크뉴스 2025.02.10
44944 [Why] 삼다수가 제주·칭다오 직항로 개설에 특히 간절한 이유 랭크뉴스 2025.02.10
44943 "과격 집회·혐오... 尹 올 때마다 겁나요" 한옥마을 멀리하는 외국인 여행자들 랭크뉴스 2025.02.10
44942 이장직 물러난 이재명…재명이네마을 “개딸 동원령” 무슨일 랭크뉴스 2025.02.10
44941 설민석 오류 잡아낸 고고학자, 유현준에 “문제 여지 상당” 랭크뉴스 2025.02.10
44940 아직 선원 5명이 차가운 바다에…여수 침몰 어선 수색 이틀째 랭크뉴스 2025.02.10
44939 지난해 항공기 4대 중 1대는 늦게 출발·도착···지연율 1위 항공사는?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