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NASA, ‘주노’ 탐사선으로 이오 촬영
열 감지기 가동해 초대형 화산 확인
분화로 ‘80조W’ 막대한 에너지 방출
태양계 5번째 행성 목성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인 ‘이오’의 모습. 화산이 약 400개나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 제공


무인 탐사선 ‘주노’가 지난해 10월22일(왼쪽 사진)과 10월27일(오른쪽 사진) 각각 찍은 목성 위성 ‘이오’ 모습. 10월27일 사진의 화살표 끝 부위에서 이전에 없던 검은 연기가 보인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태양계 5번째 행성인 목성에 딸린 위성에서 엄청난 규모의 화산 폭발이 관측됐다. 폭발력이 지구에 있는 전체 발전소에서 나오는 에너지의 무려 6배로 측정됐다.

지난달 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목성 위성 ‘이오’에서 강력한 화산 폭발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오는 지름이 3642㎞로, 달(3474㎞)보다 약간 큰 천체다.

NASA는 지난해 10월 무인 탐사선 ‘주노’를 통해 이오 표면 사진을 찍었다. 그런데 사진 판독 과정에서 이상한 현상이 확인됐다. 10월22일까지는 별일 없던 이오 표면에서 돌연 10월27일 길게 뻗은 검은 연기 같은 모습이 관찰됐다. 일주일도 안 되는 사이 이오에 심상치 않은 변화가 생긴 것이다.

연기의 정체를 파악하기로 한 NASA는 같은 해 주노에 “12월27일 적외선(열) 감지 장비를 켠 채 이오에 접근해 비행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관측 결과는 놀라웠다. NASA는 “이오 관측 역사상 가장 강력한 화산 폭발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폭발은 이오 남극 근처에서 발생했다.

특히 주목할 것은 폭발력이었다. 전기 에너지로 환산했더니 무려 80조W(와트)였다. NASA는 “지구에 존재하는 모든 발전소 전기 생산용량의 6배에 이르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이런 엄청난 폭발의 원천은 이오가 공전하는 목성의 강한 중력(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이다. 이오는 목성에서 멀어졌다가 가까워지는 일을 반복하는 타원형 궤도를 42.5시간마다 한 바퀴 도는데, 목성이 바짝 다가오면 이오의 땅은 무려 100m나 부풀어 오른다. 목성 중력 때문에 이오의 평평한 들판이 산으로 바뀌는 셈이다.

목성의 쥐락펴락하는 힘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이오의 지하에서는 높은 마찰열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이오 땅속에서 화산의 ‘연료’인 뜨거운 마그마가 다량 생성되는 이유다. 실제로 이오에는 활동 중인 화산이 400개나 있다.

NASA는 “다음달 3일 주노를 통해 이오를 재차 관측할 계획”이라며 “화산 분출이 있는 지역에서 경관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오의 다른 화산은 분화구에서 각종 암석과 마그마를 내뿜으며 지표면을 변화시킨다. 특히 화산에서 분출되는 화학 물질인 황과 이산화황으로 인해 퇴적물이 생긴다. 이오의 표면 사진이 피자처럼 알록달록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NASA는 “이오에서 이번에 폭발이 확인된 화산을 지구 표면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활동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76 與, ‘李 재판 신속 종결’ 탄원서 제출… “위헌심판제청으로 재판 지연” 랭크뉴스 2025.02.09
44575 트럼프와 더불어 돌아온 ‘미치광이 전략’…관세 전쟁의 빛과 그늘 랭크뉴스 2025.02.09
44574 139t 대형선박 제22서경호, 조난신호 없이 연락두절·침몰 랭크뉴스 2025.02.09
44573 여수 해상서 어선 침몰…3명 사망·6명 실종 랭크뉴스 2025.02.09
44572 여수 어선 전복사고, 최상목 "장비, 인력 총동원해 구조하라" 랭크뉴스 2025.02.09
44571 100년전 753mm 대홍수 재앙…오늘날 서울, 이후 만들어졌다 랭크뉴스 2025.02.09
44570 전남 여수 어선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랭크뉴스 2025.02.09
44569 법원 폭동날 경찰 뇌진탕, 자동차에 발 깔려 골절…5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09
44568 트럼프 ‘정부 비판’ 기자에 “즉시 해고돼야”···주류 언론 때리기 노골화 랭크뉴스 2025.02.09
44567 연대서 일찍 나눠 준 논술 문제지 유출 안 돼… 챗GPT로 먼저 푼 1명 낙방 랭크뉴스 2025.02.09
44566 작년 12월 철도노조 파업 피해액 하루 26억원꼴 랭크뉴스 2025.02.09
44565 ‘연 9% 금리 잡아라’ 청년도약계좌 신청, 5배 이상 폭증 랭크뉴스 2025.02.09
44564 14명 탄 서경호, 여수 해상서 침몰…4명 사망· 6명 실종 랭크뉴스 2025.02.09
44563 유리병에 머리 찢기고 뇌진탕…서부지법 폭동 때 경찰 5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09
44562 박용진 “친문·친명 싸울 때냐…국힘과는 다른 리더십 보여야” 랭크뉴스 2025.02.09
44561 ‘연 9%대’ 청년도약계좌 신청, 올해 들어 5배 이상 급증 랭크뉴스 2025.02.09
44560 이번 겨울 한강 첫 결빙, 평년보다 ‘한 달’ 늦었다 랭크뉴스 2025.02.09
44559 [르포] 광명 단지 내 상가 ‘썰렁’… 부동산 중개업소 입점만 수두룩 랭크뉴스 2025.02.09
44558 [아시안게임] 쇼트트랙 김길리, 1,000m 첫 경기서 넘어져…어드밴스 기사회생 랭크뉴스 2025.02.09
44557 대한민국 1호 헌법연구관 “윤석열, 헌재 전원일치로 파면될 것”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