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10일이나 11일에 발표” 한국도 대상 가능성
수입 상품에 따라 관세율 천차만별
기존 보편관세보다 완화된 관세라는 해석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공화당 상원의원 대상으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세 전쟁을 시작한 데 이어 이번 주 불특정 다수 국가에 대한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를 예고했다. 시점은 10~11일로 예정돼 있다. 보편 관세에 이어 상호 관세까지 거론한 트럼프가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 키우면서 글로벌 무역 체제에 다시 한번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뒤 상호 관세 관련 발표가 10일이나 11일 회의 후 이뤄질 것이라고 특정하면서 “아마도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트럼프는 앞서 회담 전에도 취재진이 “상호 교역(reciprocal trade)에 대한 행정명령에 오늘 서명할 것이냐”라고 묻자 “상호 교역에 대해 다음 주에 발표할 것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들이 우리를 동등하게 대우하도록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더 많이도 더 적게도 바라지 않는다”며 상호 관세를 시사했다. 미국으로 들어오는 수입품에 대해 수출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세금을 매기겠다는 의미다.

트럼프는 이미 중국산 상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보편 관세를 예고한 뒤 한 달간 유예한 상태다. 보편 관세와 추가 관세에 이어 상호 관세까지 꺼내든 셈이다.

트럼프는 상호 관세 대상 국가와 품목에 대해 따로 명시하진 않았다. 현재 미국 관세율은 상품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승용차는 2.5% 수준으로 낮은 반면, 의류나 신발들은 관세가 높다. 이에 따라 트럼프식 ‘상호 관세’ 방식이 적용되면 수천 개의 개별 품목마다 관세율이 다양해질 수 있다. 트럼프는 동안 구리, 철강, 반도체 등 다양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가 그동안 관세를 미국의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언급해온 만큼, 미국에 무역 흑자를 내고 있는 국가들이 상호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유럽연합(EU)이 1차 표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는 그동안 EU가 미국산 자동차에 대해 미국이 유럽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것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해 무역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한국도 지난해 557억 달러(약 81조원)의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과 미국은 현재 자유무역협정(FTA)으로 99% 이상의 관세가 철폐돼 사실상 무관세 국가지만, 트럼프가 무역 흑자를 근거로 관세를 휘두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CNN은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추진한다면 영향을 받는 국가들은 일련의 보복 관세를 발동할 수 있다”며 “이는 무역 전쟁을 촉발할 수 있고, 결국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트럼프의 발언이 이전 보편 관세 발언보다 다소 완화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폴리티코는 “수입품에 일률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이전의 위협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과거에 10~20%의 보편 관세를 언급했지만, 이번엔 ‘더 많지도 적지도 않은’ 상호 관세를 언급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지난 7일 중국에서 수입되는 소액 상품에 대해서도 면세조치를 일단 유지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그동안의 강경한 관세 정책에서 다소 물러선 것이다. 미국은 ‘최소 기준 면제(de minimis)’ 정책에 따라 개인이 사용하기 위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제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의도한 효과만큼이나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 트럼프가 재임 1기 관세 정책 성공 사례로 한국산 세탁기를 거론하고 있지만, 일자리 창출 못지않게 소비자들의 부담이 크게 늘었다고 이날 보도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삼성전자는 2017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뉴베리 카운티에 세탁기 공장을 설립해 15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지만 동시에 세탁기 가격도 약 12% 상승했다. WSJ는 “관세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한 마을을 도왔지만, 미국 소비자들을 더 힘들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93 “한국 감리교, 전체주의처럼 동성애 배척 안타까워”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92 백악관 "트럼프, 이번 주 우크라 종전 논의…비용 회수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91 ‘1.1% 성장’ 전망까지 나왔다… 계엄 후폭풍에 저성장 늪 빠진 한국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90 오요안나 비극 뒤엔…"방송사 66%가 비정규직, 을끼리 싸운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9 살아남았지만, 살 곳 없는 사육견 10만마리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8 국민연금만으로 그럭저럭 살 수 있는 사람, 48만명 넘었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7 매출로만 공모가 산출했더니 상장 후 내리꽂아… PSR 평가 방식이 최악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6 “교통카드 깜빡…아 맞다, 버스비 공짜지?”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5 삼성생명, 삼성화재 자회사 편입하면… 이재용 상속세 부담 던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4 중국, 대미 보복관세 개시‥막오른 2차 무역전쟁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3 듣기평가 이어 이번엔 문법시험?…윤 측 “‘인원’, 지시대명사로 쓰지 않아”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2 ‘동의 없는 강간’ 벌하지 못하는 법…피해자는 ‘가짜’가 됐다[비동의강간죄, 다시 국회로①]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1 'K2가 수출 효자'…현대로템, 18조 중동시장 공략 박차 [biz-플러스]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80 인권위, 오늘 '尹방어권 보장 안건' 재상정해 논의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9 어머니께 받은 16억 아파트… 상속세 한 푼도 안낸다?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8 '마은혁 권한쟁의' 두번째 변론…청구 적법성·여야 합의 쟁점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7 "부평·창원선 1만명 잘릴 판"…미·중에 치여, 韓공장 짐싼다[다시, 공장이 떠나다]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6 “관세 피하자” 韓 몰려드는 中기업…美 제재 전 대비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5 딥시크에 '김치 원산지' 묻자...한국어엔 "한국" 중국어엔 "중국" new 랭크뉴스 2025.02.10
44874 상호관세로 수위 올리는 트럼프... 무협 "보편관세 오면 한국 132억 달러 손해" new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