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미일 전달 대북정책 방향 일치"
"미국과 소통, 정책 조율 강화"
"미국과 소통, 정책 조율 강화"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합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미일 정상이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명시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는 8일 '한반도 문제 관련 미일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외교부 입장'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공조 중요성을 확인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 불법 사이버 활동 및 러북 군사협력 대응, 한미일 공조에 기반한 북한과의 대화 추진 등 미일이 정상회담 계기에 밝힌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은 그간 우리 측이 각급에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미일에 계속 전달한 우리의 대북정책 방향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긴밀한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 경주해 나갈 것"이라며 "미국이 구체적인 대북 정책을 검토해 나가는 과정에서, 장관 등 각급에서 미측과 소통과 정책 조율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시바 시게루(왼쪽) 일본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회담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외교부는 아울러 북한을 향해 "한미일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완전한 북한 비핵화 의지를 직시해, 불법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복귀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한미일 3국 공조 강화 등을 명시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미국 공식 외교 문서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이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함께 나선 공동 기자회견에서 "인도·태평양 전역에서 '힘을 통한 평화'를 이루겠다"며 "우리는 내가 집권 1기 때 시작한 한반도 안전과 안정 확보 노력에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과 미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협력할 것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