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현실화하면 혜택 받을 수 있어"
지난달에도 "미국 산업에 경종 울려야"
미 의회선 정부 내 딥시크 사용금지 추진
지난달에도 "미국 산업에 경종 울려야"
미 의회선 정부 내 딥시크 사용금지 추진
딥시크 접속 화면. 로이터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전세계 국가 정부 기관이 안보 위험을 이유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나선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재차 딥시크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미일 정상회담 후 백악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딥시크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아니다. 나쁜 발전이 아니라 매우 좋은 발전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AI) 기술이 현실화하고 있다고 생각하며, 그렇다면 우리는 그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며 "AI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해진다면 그건 좋은 일"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의 위험성보다는 경제성과 효율성 등에 초점을 맞춰 보고 있다는 의미다.
지난달 말 딥시크는 오픈AI나 구글 등 미국 빅테크 기업에 비해 10분의 1도 안 되는 비용으로 성능이 훨씬 뛰어난 AI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히며 전세계 기술업계를 뒤흔들었다. 당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돈을 많이 쓰지 않고도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다"며 "미국 산업에 경종을 울려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다만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 정부 기관들은 안보상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고 있다. 미국 의회에서도 미국 정부기관 내에서 딥시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산업부와 외교부, 국방부 등 대부분 부처가 개인정보 보안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