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00년 전 탐라 농경의례”
지난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인근 도로에서 진행된 탐라국입춘굿 '낭쉐몰이' 행진에 사용된 낭쉐(나무 소). 최충일 기자
지난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보물 제322호 관덕정 앞 도로변. 도로 한 구간 자동차 통행이 통제된 가운데 ‘낭쉐(나무 소) 몰이’ 재연이 한창이었다. 이날 아침부터 세찬 바람과 함께 눈발이 날렸지만 낭쉐의 힘찬 행진을 막을 순 없었다. 큰 북을 3번을 치고, 행진의 시작을 알린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 지사가 남색 한복을 입고 이 소의 키(흰 줄)를 잡고 끌었다.



“을사년 새해, 원하는 바 이루세요”
오영훈 제주지사사 지난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인근 도로에서 진행된 탐라국입춘굿 '낭쉐몰이' 행진의 시작을 알리는 북을 힘차게 치고 있다. 최충일 기자
‘낭쉐몰이 입춘덕담’이라 이름 붙여진 이 행진에는 제주도민·공직자 등도 힘을 보탰다. 이전에는 관덕정 옆 제주목 관아 내부를 도는 정도였으나 이번에는 행진 요소를 더해 관덕정 서쪽 공영주차장을 출발해 중앙사거리 구간(약 400m)을 왕복했다. 오 지사는 “탐라국 입춘굿은 2000년 전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제주 전통 농경의례”라며 “을사년 새해를 맞아 모든 이가 원하는 바를 이루길 기원한다”고 덕담했다.



날은 추웠지만...‘봄, 터졌소이다!’
오영훈 제주지사(남색 한복)가 제주도민, 공직자 등과 함께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인근 도로에서 진행된 탐라국입춘굿 '낭쉐몰이' 행진을 이끌고 있다. 최충일 기자
‘2025 을사년 탐라국 입춘굿’이 입춘한파 속에서도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봄, 터졌소이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입춘굿은 제주의 1만8000 신(神)에게 풍년과 풍어, 공동체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봄맞이 행사다. 입춘굿의 백미인 ‘낭쉐몰이’는 탐라국의 왕이 직접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을 재연한 것이다.

제주 지역 입춘굿에 대한 기록은, 헌종 7년(1841년) 이원조가 쓴 『탐라록(耽羅錄)』의 입춘일념운(立春日拈韻)에서 찾을 수 있다. 책에는 입춘날 나무로 만든 소가 끄는 ‘소몰이’를 했다고 적혀있다. 이것은 탐라왕이 ‘적전(籍田)’에서 농사를 지은 풍속이 이어져 내려온 것을 재현한 것이다. 적전은 임금이 몸소 농사를 짓던 논밭으로, 그 곡식으로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탐라국 왕의 풍요 기원 담긴 ‘낭쉐’
지난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인근 도로에서 진행된 탐라국입춘굿 '낭쉐몰이' 행진. 최충일 기자
올해 입춘굿의 낭쉐는 제주민예총 소속 강문석 작가와 시민이 힘을 모아 나무로 만들었다. 2일에는 이 낭쉐를 모시고 고사를 지내는 ‘낭쉐코사’를 진행했다. 도민 김모(43·제주시)씨는 “날이 춥지만, 행진의 열기가 뜨거워 추위도 잠시 잊었다”며 “매년 입춘굿을 한다는 것은 알았지만 크게 관심을 끌지 못했는데, 지켜보니 의미가 깊고 재미도 있어 내년에도 행진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



먹거리, 장터, 체험 부스도 입춘 분위기
탐라국입춘굿 진행자들이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앞에서 행사 설명을 하고 있다. 최충일 기자
앞서 지난 3일에는 공연 마당을 통해 낭쉐 이야기, 태권무 등 다채로운 공연이 펼쳐졌다. 먹거리마당·입춘장터· 소원지쓰기·입춘춘첩쓰기 등 다양한 체험 부스도 도민과 관광객 눈길을 사로잡았다. 다만 ‘큰대 세우기’는 거센 바람으로 취소돼 내년을 기약했다. 큰대 세우기는 하늘과 땅을 잇는 기둥인 ’큰대‘를 세워 제주의 신에게 공동체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로 준비됐다. 행사 첫날인 지난 2일에는 제주 읍면동 민속보존회의 새봄맞이 마을거리굿이 열렸다.



민·관·무 손잡고 26회째 봄맞이
지난 4일 오후 2시 제주시 삼도2동 관덕정 안에서 진행된 탐라국입춘굿의 프로그램. 최충일 기자
제주도 입춘은 예부터 ‘새철 드는 날’, ‘문전 맹질(명절)’ 등으로 불리며 새해를 시작하는 시점으로 여겼다. 농경사회였던 과거 풍작을 기원하는 굿을 이때 지낸 이유다. 하지만 일제시대 이후 명맥이 끊겼다가, 1999년 문무병 선생을 중심으로 제주민예총이 복원했다. 민(民)·관(官)·무(巫)가 손을 잡고 여는 봄맞이 행사는 올해로 26회째다. 지난해부턴 제주시가 개최하던 행사를 제주특별자치도 행사로 확대해 열고 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01 SNS 사진 때문에 숙박 예약 거부?…AI시대의 그림자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2.09
44500 6월 항쟁으로 태어난 헌법재판소, 존재 가치를 증명하라 랭크뉴스 2025.02.09
44499 "내는 사람 줄고, 받는 사람 늘고"...국민연금 '초비상' 랭크뉴스 2025.02.09
44498 “전자책·두루마리도 OK…텍스트힙은 유대감” 종이책 편집자의 부탁 [주말특급] 랭크뉴스 2025.02.09
44497 ‘첫 여성 비서실장’ 수지 와일스, 백악관 권력 전쟁의 중심에 서다 [박영실의 이미지 브랜딩] 랭크뉴스 2025.02.09
44496 ‘계엄사령관’ 박안수, 설 떡값에 월급까지 지난달 ‘2230만원’ 받아 랭크뉴스 2025.02.09
44495 여수 해상서 침몰 추정 제22서경호 구조자 7명 중 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2.09
44494 [똑똑한 증여] 초딩 자녀 주식계좌, 아빠가 운용해 수익냈더니 ‘세금폭탄’ 랭크뉴스 2025.02.09
44493 '70대' 송대관, 하루 5개 행사 뛰고도…'280억 빚' 극심 생활고 랭크뉴스 2025.02.09
44492 잘하고 싶은 건 공부, 타고난 건 싸움···비운의 모범생 이야기[오마주] 랭크뉴스 2025.02.09
44491 CEO여, 당신은 ‘퓨어 셀러’인가 ‘브랜더’인가 랭크뉴스 2025.02.09
44490 추경 편성, ‘대부분’ 적자국채로 충당해야… 시장 “부담 크지만 감내 가능” 랭크뉴스 2025.02.09
44489 병가 낸 직원들에 "미쳤다"…머스크 獨 극우 지지하는 이유 랭크뉴스 2025.02.09
44488 미국 입양 쌍둥이 자매 김하동씨 "부모된 후 궁금증 커졌어요" 랭크뉴스 2025.02.09
44487 [속보]여수 하백도 인근에서 어선 침몰…3명 사망, 7명 실종 랭크뉴스 2025.02.09
44486 책을 읽다가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txt] 랭크뉴스 2025.02.09
44485 "출산율 끌어올리자"...올해 혼인신고하면 100만원 준다 랭크뉴스 2025.02.09
44484 중국대사관 코앞서 "멸공! 멸공!"…길거리로 나온 반중 정서 랭크뉴스 2025.02.09
44483 머스크, 재무부 정보 접근 차단됐다…트럼프 속도전 제동 건 법원 랭크뉴스 2025.02.09
44482 [비즈톡톡] 엔씨소프트, 저작권 소송 패소에 ‘리니지 라이크’ 게임 쏟아질까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