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작년까지만 해도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금융시장과 외환시장 대응에 집중했지요. 지금은 국방·외교까지 책임져야 하는 상황이라 대처의 무게와 범위가 달라졌습니다.”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 돌입한 기획재정부가 직면한 현실입니다.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지 한 달을 넘긴 최상목 부총리는 경제·외교·국방·행정을 총괄하는 ‘1인4역’ 체제를 이끌고 있습니다.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부처였던 기재부도 이제 안보·외교 문제까지 챙겨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7일 정부에 따르면 기재부는 최근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 지원 임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국방부·외교부·국무조정실·경찰청 등의 인력을 파견받고 있습니다. 국방부 대령이 기재부에 배치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외교부 역시 TF에 인력을 투입해 권한대행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찰청에서는 총경급 인사를 기재부로 파견하는 조치가 이뤄졌습니다.
기재부는 외교·안보·국방 분야에서는 경험이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계엄 사태 이후 외교·국방 관련 보고가 급증하면서, 이를 신속하게 소화할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방 관련 보고는 상당수가 기밀로 분류돼 기재부 내부에서 단독으로 소화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며 “국방부 대령을 컨택 포인트(Contact Point)로 두고 안보 일정과 보고를 조율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 역시 TF 체제에 합류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호·의전 업무와 관련해 외교부 의전실과 협력하며, 국제 외교와 연계된 사안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기재부는 내부적으로 기존 업무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최소한의 인력으로 TF를 운영하며, 겸임 발령을 통해 부처 간 협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을 접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 내부에서는 이번 TF 체제가 정식 조직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대통령 권한대행 업무지원단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을 행정예고 했습니다. 이 지원단이 공식화되면 최 권한대행은 보다 체계적인 지원을 받으며 국정 운영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재부는 글로벌 정세 변화에도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글로벌 금융시장과 무역 질서의 변화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기재부는 워싱턴 D.C.에 파견한 실무대표단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할 행정명령과 정책 기조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금융·물가 안정과 외환시장 대응 등 기존의 경제정책 기조도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탄핵 정국의 장기화로 인해 경제 정책에도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기재부는 기존 정책의 연속성과 경제 안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물론 기재부만 바빠진 것은 아닙니다. 현재 세종의 정부 부처들은 정국 혼란 속에서도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기재부는 복합적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길어질 경우 더 큰 도전에 직면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가 하루빨리 안정을 되찾고 경제·행정 시스템이 정상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