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등장 후 주가 연일 상승세
국내 IT 플랫폼 사상 첫 매출 10조
이해진 7년만에 이사회 의장 복귀
AI 패권 전쟁 속 신사업 진두지휘
국내 IT 플랫폼 사상 첫 매출 10조
이해진 7년만에 이사회 의장 복귀
AI 패권 전쟁 속 신사업 진두지휘
이해진(왼쪽)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최수연(오른쪽) 네이버 대표가 지난해 6월 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 위치한 엔비디아 본사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제공=네이버
[서울경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등장의 수혜주로 분류되던 네이버(NAVER(035420))가 연 매출 10조 원 돌파 소식에 한 번 더 기지개를 켰다. 때마침 창업주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해 직접 AI 사업의 운전대를 잡겠다고 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전날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이 전년 대비 11.0% 증가한 10조 7377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국내 인터넷 플랫폼 기업 중 매출이 10조 원을 넘어선 것은 네이버가 처음이다. 네이버는 2018년 매출 5조 원을 넘겼는데, 신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6년 만에 10조 원을 돌파했다.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32.9% 증가한 1조 9793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 희소식에 네이버의 주가는 전날 장 초반 23만 5500원까지 오르며 최근 1년 중 가장 높은 주가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앞서 지난달 31일에도 오픈소스 AI 모델 딥시크 R1의 등장에 6.13% 급등한 바 있다. 이후 네이버의 주가는 연일 강세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딥시크는 고성능의 모델을 구현하는 데 있어 압도적으로 높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함의를 던졌다”며 “오픈 소스 진영인 (국내 기업 등) 팔로워들에게 유리하다”고 짚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 역시 전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딥시크의 등장을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며 “최근 시장에 큰 반향을 일으킨 딥시크는 후발 주자가 선도 업체를 상대적으로 적은 규모의 투자로도 추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저희에게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역시 선도업체와 기술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멀티모달, 추론능력 강화에 전념하겠다”며 “다양한 비용 효율화 방안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I 사업은 창업주 이해진 GIO가 주축이 돼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지난 6일 이사회에서 이 GIO의 사내이사 선임, 최 대표의 사내이사 재선임 안건을 다음 달 26일 주주총회에 상정하기로 의결했다. 안건이 통과되면 이 GIO는 6년 만에 이사회 멤버로 복귀하게 된다. 또 이 GIO는 사내이사 선임 시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다.
‘은둔의 경영자’로 불린 이 창업자는 2017년 3월 “회사 사업에만 매진하겠다”며 이사회 의장 자리에서 내려왔고 이듬해에는 19년 만에 등기이사직도 내려놨다. 이 창업자는 의장 자리에 복귀한 이후에는 네이버가 사활을 걸고 있는 AI 사업을 진두지휘하며 신사업에서의 도약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딥시크 등 중국 AI 기술력 성장,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스타게이트(미국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추진 등 국가 간 AI 패권 다툼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서정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네이버는 AI를 활용한 자체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상용화를 통해 본업의 수익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B2B(기업 간 거래) 판매를 통한 수익화도 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