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구온난화에 시베리아 등 탄저병 전파
선진국 대비 韓백신 비축량 턱없이 부족
與김용태 "기후보건 적응 정책 발굴해야"
러시아에서도 가장 극동에 위치한 땅, 캄차카 반도의 한 지역에 순록의 사체가 놓여 있다. ITAR-TASS=연합뉴스

[서울경제]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로 영구동토 지역의 얼음이 녹으면서, 땅 속에 묻혀있던 동물사체가 노출돼 수백 년간 잠자고 있던 탄저균이 퍼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질병 확산에 대비해 정부 주도로 탄저백신 비축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7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탄저균은 기후변화에 따라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활성화될 수 있고, 최근 오물풍선도발 상황에서 생화학테러 가능성도 제기됐던 만큼, 정부는 국내 탄저백신 상용화를 포함한 감염병 대응체계 마련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베리아 서부 극지방에서는 최근 지구온난화 여파로 5만년 동안 얼어있던 얼음층이 녹으면서 매머드, 순록 등과 같은 동물들의 사체들이 발견되고 있다. 문제는 탄저병으로 죽은 사체가 노출되면서 동물은 물론, 인간으로 병원체가 전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 의료·보건계에서는 영구동토층에 갇힌 바이러스가 동물과 사람 등으로 퍼져나갈 시 코로나 19처럼 새로운 팬데믹 상황에 직면해 지구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험성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미국, 영국, 중국 등의 주요 국가는 자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자체 탄저백신을 개발해 비축량을 늘려가고 있다. 미국은 1972년 탄저백신 허가에 성공해 성인 인구의 최대 7.5%를 공급하고 있으며, 영국은 1979년 허가 취득 이후 성인 인구의 3.7%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내 토종 백신 개발의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본격적인 상용화와 비축까지는 불분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질병청과 녹십자가 2002년 국립보건원 정부 용역과제로 세계 최초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개발에 성공했고, 위기대응 의약품으로 상용화하기 위해 2023년 10월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했지만 승인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탄저백신 비축 등 대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2대 국회에서 기후환경 전문가로 꼽히는 김 의원은 “기후보건이라고 할 만큼 기후위기 적응 정책에서 보건 영역이 매우 중요해졌다”라며 “기후보건 어젠다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국민들의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지 않도록 한국형 기후보건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 연합뉴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73 애플 연구진, 탁상형 램프 같은 가정용 로봇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72 눈길 미끄러질 때…차 핸들, 반대 방향으로 틀면 '쾅~'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71 '美 관세 부과땐 보복?' 이시바 답변 어땠길래…트럼프 "와우"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70 소시지 잘못 삼켰다 식물인간 된 아이…기적적으로 생환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9 한국 기업들 비상...트럼프 ‘관세 폭탄’ 예고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8 파병 100일, 러시아 전선의 북한군은 정비 중? [뒷北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7 [샷!] 축의금 키오스크·신부 홀로입장…결혼식 新문화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6 북한 "우리 핵은 흥정물 아닌 실전용"‥비핵화 협상에 선 그어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5 북한 “우리 핵은 흥정물 아닌 실전용”…비핵화 협상에 선 그어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4 "르망 몰고 일본 가요"…대우차 유산 보존에 시동 건 MZ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3 [위클리 건강] "암 생존자가 '이 음식' 끊었더니 사망률 낮아졌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2 딥시크 ‘의외의 수혜’ 네이버, 이해진 컴백으로 노 젓나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1 주말에도 이어진 맹추위…전국 대부분 영하 10도 아래로 '뚝'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60 미일 정상회담 “일본 방위비, 2027년까지 2배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9 2만여 명 발 묶인 제주공항…하늘길 운항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8 檢, '부당합병' 이재용 1·2심 무죄에도 불복... "기계적 상고"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7 주말 한파 절정, 서울 체감 -17도…호남·제주 많은 눈 [주말 날씨]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6 [시승기] 고급 세단 못지않은 승차감… 캐딜락 전기 SUV ‘리릭’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5 ​결혼정보회사 가입비 지원... ‘저출산 대책의 새방향을 열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54 '대왕고래 실패' 후폭풍‥"대국민 사기" 맹공 new 랭크뉴스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