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PC에 \\\'딥시크\\\' 사이트가 차단된 화면. 정부 부처들이 6일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섰다. 연합뉴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7일 중국에서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를 이용할 때 어떤 사용자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지 전문기관과 기술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딥시크를 통한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제기 중인 다른 나라와도 협조 체계를 꾸려가기로 했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딥시크의 개인정보 처리 방침과 이용약관 등 주요 문서에 대해 면밀한 비교분석을 하고 있으며, 실제 이용환경을 구성해 서비스 사용 시 구체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및 트래픽 등에 대한 기술 분석을 전문기관 등과 함께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1일 개인정보위는 딥시크가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등으로 논란을 빚자, 딥시크 본사에 해당 서비스의 데이터 수집·처리 방식 등에 관한 공식 질의를 보냈으나 아직 답변을 받지 못한 상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남석 조사조정국장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딥시크 관련 추진상황 및 향후 대응방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적으로 딥시크와 관련해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딥시크가 가져간 입력 정보를 중국 정부가 자국 법상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들여다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걱정 때문이다. 심지어 딥시크는 챗지피티(GPT)는 요구하지 않는 키보드 입력 패턴까지 수집하는데, 자판을 두드리는 속도 등을 파악하면 기기 사용자가 누구인지 특정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인 ‘옵트 아웃’ 조항도 빠져 있다.

딥시크 자체가 보안 설계가 부실해 해킹 공격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 딥시크에선 최근 보안 설정이 되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노출해 사용자의 채팅 기록, 암호 등 100만건 이상의 민감 데이터가 공개된 사고가 보고됐다.

학습 과정에서 오픈 에이아이(AI)등 다른 기업의 데이터를 무단으로 대량 수집해 모델을 훈련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학습 과정에서 다른 나라의 데이터가 이미 무단으로 사용됐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가 학습 단계에서 어떤 데이터를 학습했는지에 대해서도 공식 질의를 보내 둔 상태”라고 말했다.

다만 개보위는 현 단계에서는 사실관계 확인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개보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실제 이용 환경에서 어떤 데이터가 가는지 정합성을 따져줘야 되기 때문에 약관 분석과 기술적인 분석을 같이 진행한다”며 “결과에 따라서 당연히 위법성이 발견된다고 하면 그 보호법에 따른 조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개인정보를 수집해서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위법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과도한 정보 수집 자체가 문제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엔 “단정적으로 엘엘엠(LLM·인공지능의 대량언어모델)에 (키보드 입력 패턴 등) 행태정보가 들어가서는 된다, 안 된다 이렇게 말씀드리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며 “개인정보의 국외 이전 그 자체가 문제가 된다기보다는 이 이전이 합법 처리 근거를 갖췄는지, 그리고 중국 국내법상 중국 정부의 개입 가능성이나 이런 점 때문에 언론과 각국이 우려하고 있다고 본다”고 개보위는 설명했다.

개보위는 국제적으로 비슷한 우려가 광범위하게 제기되는 데 따라, 소통 채널을 구축하고 있는 영국·프랑스·아일랜드 등 다른 나라의 개인정보 규제·감독기구들과 앞으로의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 북경에 있는 한-중 개인정보보호 협력 센터를 통해 중국 현지에서도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딥시크 본사의 답변이 언제 올지는 미지수다. 개보위 쪽은 “보통 답변을 보내는 데 2주 정도 걸리며 상대 쪽 요청 시 기한이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현대차그룹도 직원들의 ‘딥시크’ 사용을 전면 제한했다. 현대차·기아는 서울 서초구 양재사옥 임직원들에게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다는 공문을 보냈다. 현대차 쪽은 사내에서 딥시크에 접속하면 입력패턴 등의 노출 우려가 있고 개인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중요 정보 유출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91 홍준표 “탄핵 반대 집회 연설하고 싶은데…” 랭크뉴스 2025.02.08
44390 홍준표 "탄핵 반대 집회 연설하고 싶다…尹 석방되었으면" 랭크뉴스 2025.02.08
44389 하마스, 5차 인질 석방 마쳐…이스라엘 남성 3명 풀려나(종합) 랭크뉴스 2025.02.08
44388 텔레그램 '목사방' 총책은 33살 김녹완‥234명 성착취 랭크뉴스 2025.02.08
44387 [단독] 방첩사 간부 "'14명 구금' 지시 1분 뒤 국방부·경찰에 전파" 랭크뉴스 2025.02.08
44386 다시 뚫린 하늘길…“드디어 집으로” 랭크뉴스 2025.02.08
44385 건물도면 올리고 “척살” 선동…‘헌재 난동’ 모의 커뮤니티 수사 랭크뉴스 2025.02.08
44384 온난화에도 ‘기습한파’ 여전…한랭질환 위험↑ 랭크뉴스 2025.02.08
44383 건달과 결혼 3년 뒤 암에 죽은 딸…“얼마나 다행” 부모의 속뜻 랭크뉴스 2025.02.08
44382 저탄고지, 다이어트에만 효과? 갑자기 몸 떨리는 이 병에도 좋다 [건강한 가족] 랭크뉴스 2025.02.08
44381 전국 곳곳서 尹 탄핵 찬반 집회… 동대구 5만2000명 집결 랭크뉴스 2025.02.08
44380 한국, 하얼빈 동계AG 첫날 金 7개… ‘슈퍼 골든데이’ 랭크뉴스 2025.02.08
44379 이진우 "김용현, 경호처 비화폰으로만 전화"‥'계엄폰' 수사 시급 랭크뉴스 2025.02.08
44378 미일, ‘완전한 비핵화’ 원칙 재확인…북한 “핵은 흥정물 아닌 실전용” 랭크뉴스 2025.02.08
44377 "헌재, 탄핵하면 을사오적"…전한길, 대구서 尹탄핵 반대 집회 참석 랭크뉴스 2025.02.08
44376 태국 여성들 갇힌 채 ‘난자 채취’ 당해… 中 조직 연루 의혹 랭크뉴스 2025.02.08
44375 북극 기온 평년보다 20도 뛰었다...한국 맹추위 원인도 '이것' 랭크뉴스 2025.02.08
44374 집회에선 "헌재 파괴하자! 을사오적!"‥국민의힘 의원들도 참여 랭크뉴스 2025.02.08
44373 "65세부터 노인이라고요?"…44년 만 노인연령 조정 본격화 랭크뉴스 2025.02.08
44372 美법원 "재무부 결제시스템에 DOGE 접근 안돼" 머스크에 제동(종합) 랭크뉴스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