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경제]

중국 스타트업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개발에 성공하자 기술 격차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사이버 안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딥시크 이용자 정보 및 기술 유출 우려가 확산되면서 접속을 차단하는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업, 금융기관 등이 잇따르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와 경기도 등 지자체는 이달 5~6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금융 업계는 딥시크 접속을 막았고 주요 대기업들도 제한 조치에 나섰다. 호주·일본·대만 등도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고 이탈리아는 앱 마켓에서 딥시크를 금지했다.

딥시크 공포가 커지는 이유는 중국 당국이 자국 기업 활동과 정보를 무차별적으로 들여다보고 수집할 수 있다는 데 있다. 중국 정부는 2021년부터 시행한 데이터보안법에 따라 기업 수집 정보에 무제한 접근권을 갖는다. 딥시크를 사용하는 외국의 기관이나 기업·개인의 정보가 중국 당국과 공산당에 공유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글로벌 기술 패권 전쟁 속에서 정보·기술 유출 및 해킹 방지 등 정보 대응력은 산업 경쟁력 및 국가 안보와 직결된다. 해외 선진국들은 사이버 안보 관련 법을 이미 제정해 기술 및 정보 지키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은 2014년 소니픽처스 해킹 사태 이후 2015년 사이버안보법을 제정했고 일본도 이 일을 계기로 사이버기본법을 만들어 대응하고 있다.

이런데도 우리나라에서는 사이버 안보와 디지털 기술 정보 국외 유출 문제 등에 통합 대응하기 위한 국가사이버안보기본법이 처리되지 않고 있다. 국가정보원이 2022년 입법 예고한 이 법은 민간 사찰 우려 등의 이유로 21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첨단산업 경쟁에서 낙오되지 않으면서 AI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정부와 국회가 사이버 안보 종합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 실천해야 할 것이다. 사이버 안보와 AI 데이터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한 국가사이버안보위원회 설치에 속도를 내는 한편 국회 내에 상설감독위원회를 두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AI에 의한 정보·기술 유출 우려를 막기 위한 근본 대책은 미국 수준의 고효율 AI 초격차 기술을 자체 개발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37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발표"…韓도 포함되나(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6 제주에 발 묶인 체류객 2만여 명…“오늘 430여 편 운항”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5 공원 운동기구 사용법 제대로 알아야 효과 업[수피의 헬스 가이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4 친환경 칵테일 한잔 어때요? 외식업계에 부는 ‘제로웨이스트’ 바람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3 '금빛 윙크'에 미니홈피 다운... 배드민턴 신드롬 일으킨 이용대 [K스포츠 레전드 열전]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2 대왕고래 vs 사기고래…與 "시추 더 필요" 野 "국정조사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1 “지나친 경쟁이 불안 키워 사소한 좌절도 못 견뎌요”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30 "나만 아는 그 인생 한 장면"… '이야기 조각보'를 기다립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9 45층 아파트에서 미모의 여성이 살해됐다... 주민 1200명의 들춰진 삶 [책과 세상]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8 [속보]북한 "우리 핵, 흥정물 아닌 실전용"…비핵화협상 거부 재확인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7 "여왕벌 왜 없어" 양봉업자 살해 후 암매장 70대…범행 도구 확보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6 “회사가 다른데 같은 약이라고?” 말많은 ‘대체조제’ 뭐길래[약 읽어주는 안경진 기자]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5 [단독] 검찰, 군 중간 간부까지 '내란 중요임무종사' 적용... 김용현과 같은 혐의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4 트럼프 "북한과 관계 가질 것…김정은과 잘 지내면 모두에게 큰 자산"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3 [세상만사] 관타나모 수용소의 부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2 기후위기가 부른 '탄저병 공포'…"정부 주도로 백신 비축해야"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1 [단독] "尹 지지율 51%" 여조업체 '공정', 선관위 실태조사서 '부실 운영' 지적 당했다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20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주의적 관세 부과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2.08
48619 "오늘도 AI 천재들은 딥시크 문을 두드렸다"... 딥시크 베이징 거점 가 보니 랭크뉴스 2025.02.08
48618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랭크뉴스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