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차 자동 분석 후 지진 발생 7초 만 문자 발송
진앙과 관측지점 가까워 실제보다 크게 진단
결과적으로 기준 안 맞는 지역까지 문자 발송
기상청 "시민보호 위해 자동 분석 문자 필요"
7일 오전 2시 35분쯤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기상청 홈페이지 캡처


7일 오전 2시 35분,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흔들림 등 유감신고는 강원 13건, 충북 8건, 경기 2건 등으로 집계됐다.

별다른 지진 피해는 없었지만 충주와 140km가량 떨어진 서울은 물론 경상도까지
여러 지역 시민들도 밤잠을 설쳐야 했다
. 이날 새벽 '삐삐' 소리와 함께 날아온 '지진 긴급재난문자' 때문이다. 온라인상에선 "재난문자 소리에 깜짝 놀라 잠을 깼다", "새벽 2시 문자로 온 국민을 다 깨우나", "긴급 대피가 필요한 지역만 문자를 보내라"등 시민들의 볼멘소리가 나왔다.

긴급재난문자가 지진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날아온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기술적인 이유로 자동 규모 예측이 실제 규모보다 크게 분석
됐기 때문이다.

통상 지진조기경보시스템과 지진분석관 분석은 0.3 정도의 분석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이번 지진은 1.1 규모 차이가 났다. 1.1 규모 차이는 이론적으로 40배 가까운 에너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충주 지진은 진앙지와 기상 관측 지점이 가까워 규모 차이가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정해진 매뉴얼이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P파'와 'S파'가 파동을 일으키는데, 기상청 시스템은 더 빨리 도착하는 P파를 자동으로 분석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곧장 재난문자를 보낸다. 이후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S파를 기상청 소속 지진분석관이 정밀 분석한다.
이번 지진은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서 규모 4.2로 분석됐지만, 지진분석관의 정밀 분석을 거쳐 3분 뒤 규모 3.1로 수정됐다.


그래픽= 박구원 기자


기상청은 P파 분석으로 규모에 따라 재난문자를 보낼 지역(
표 참조
)을 정해놓고 있다. 육지 발생 지진 규모 3.5 이상은 예상진도를 기준으로 발송하는데, 이는 지진 피해를 막기 위해 지진 발생 지점과의 거리 등을 고려해서 즉각적으로 분석한 예상 지표다. 반면 규모가 더 작은 지진은 실제 지진 장비에 측정된 계기진도를 기준으로 문자가 발송된다.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처음 규모 4.2 지진을 측정, '예상진도' Ⅱ 이상인 서울·강원·경기·경남·경북·대구·대전·세종·인천·전북·충남·충북에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충주 앙성 지진관측소에서 지진 발생 2초 후인 2시 35분 36초 최초 관측했고, 5초 만인 2시 35분 41초에
재난문자가 곧장 송출
됐다.
지진 발생 후 7초 만
이다.

하지만
정밀분석 결과인 규모 3.1을 기준
으로 살펴보면, 재난문자 수신 지역은 줄어든다. 충북과 강원, 경기 계기진도는 각각 5, 4, 3으로 측정돼 재난문자 송출기준을 충족했다.
하지만 서울은 계기진도가 1로 측정돼 문자 발송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즉
서울 시민은 받지 않아도 될 문자를 받은 셈
이다.

다만
기상청은 자동 분석과 정밀 분석 간 차이는 일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정밀분석이 나오기 전 발송되는 재난문자 발송은 시민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
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 관측은 피해 예측을 통한 시민 보호와 정확한 수치 예측이 모두 중요하다"며 "시민을 더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동으로 분석된 정보를 신속하게 안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59 ICC "美제재, 법치주의 심각한 공격"…79개국 규탄 성명(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08
44058 [속보] 트럼프 "자동차 관세도 검토 대상…매우 큰 문제" 랭크뉴스 2025.02.08
44057 여성 100명 가둬놓고 난자 ‘불법’ 적출…조지아 농장에서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5.02.08
44056 [속보]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주의적 관세 부과 발표" 랭크뉴스 2025.02.08
44055 트럼프 "내주 다수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발표"…韓도 포함되나 랭크뉴스 2025.02.08
44054 "기적에 가깝다" 밤길 산비탈 '블랙아이스'에 40m 아래로 추락한 차…운전자 생존 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8
44053 민주당 최고위, 윤석열 ‘인원’ 발언 영상에 웃음바다···“입만 열면 거짓말” 랭크뉴스 2025.02.08
44052 트럼프, 이시바 마중 나와 악수…백악관서 단독 정상회담 시작 랭크뉴스 2025.02.08
44051 현대차도 딥시크 차단…개보위 “무슨 데이터 가져가나 확인 중” 랭크뉴스 2025.02.08
44050 그리스 총리, 산토리니섬 지진 현장 방문…"즉각적 위험 없어" 랭크뉴스 2025.02.08
44049 [속보] 트럼프·이시바, 정상회담 시작…한미일협력·북핵 논의 주목 랭크뉴스 2025.02.08
44048 [속보] 트럼프·이시바, 미일정상회담 시작…한미일협력·북핵 논의 주목 랭크뉴스 2025.02.08
44047 전한길 "내란선동 고발? 민주당, 지지율 떨어지니 다급한 모양" 랭크뉴스 2025.02.08
44046 대만 자이시 남동쪽서 규모 5.2 지진 발생 랭크뉴스 2025.02.08
44045 에콰도르 오는 9일 대선…중도우파 30대 대통령 결선 없이 재선? 랭크뉴스 2025.02.08
44044 IMF “한국경제 하방 리스크 우세”…성장률 전망치 2%서 내리나 랭크뉴스 2025.02.08
44043 배성재 "김다영, 골때녀하다 엮였다…어떤 면에서든 저보다 나아" 랭크뉴스 2025.02.08
44042 딥시크 첫 공식 입장 “가짜 계정·거짓 정보 조심” 랭크뉴스 2025.02.08
44041 ‘2월 평화회담’ 설까지… 우크라·러시아 종전 논의 급물살? 랭크뉴스 2025.02.08
44040 남자 아이스하키, 한일전 5-2 완승… 3연승 질주 랭크뉴스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