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상현(오른쪽),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오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수감 중인 윤석열 대통령을 접견한 후 취재진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은 7일 국민의힘 윤상현·김민전 의원과의 접견에서 “더불어민주당이나 좌파는 강력하게 카르텔을 형성하고 집요하게 싸우는데 우리도 모래알이 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진실공방 양상으로 흐르면서 여권에 강경 대응을 주문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윤 의원과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를 찾아 지난달 19일 구속된 윤 대통령을 교도관 입회 아래 30분가량 접견했다. 국민의힘 인사의 공개 접견은 지난 3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나경원 의원에 이어 두 번째다. 탄핵 반대를 줄곧 주장해온 윤 의원은 윤 대통령 체포 직전에도 관저 안에 들어가는 등 ‘호위무사’를 자처해왔다. 김 의원 역시 탄핵 기각을 강하게 주장하며 윤 대통령 지지층과 교류해왔다.

윤 의원은 접견을 마친 뒤 기자들에게 “(윤 대통령이) 우리 당에 대해 기대감을 갖고 있다”며 “‘지금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위기가 아니냐. (민주당·좌파 카르텔에 대응하는) 강력한 자세의 견지가 중요하다’는 말을 우회적으로 했다”고 밝혔다. 3일 지도부 접견 때 ‘사법 카르텔’을 언급했던 윤 대통령이 이날 한 발 더 나아가 우파 진영의 단합을 강조한 것이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 방어에 적극 나서지 않는 여당 지도부를 우회적으로 압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윤 대통령은 ‘당당한 모습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다’는 의원들의 말에 “국민의 자존심이 대통령 아니냐. 그런 자세를 견지하려고 한다”고 화답했다고 윤 의원은 전했다.

윤 의원은 “(윤 대통령이) 헌재 (심판정)에 직접 나간 건 잘한 결정”이란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도 전했다. 윤 대통령이 “헌재에 나가보니까, 이제서야 좀 알겠다. 이런 식으로 너무 곡해가 돼 있구나”라고 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이 언급한 ‘곡해’는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 봉쇄 및 정치인 체포 지시와 관련한 진실이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의 ‘내란죄’ 공세에 의해 왜곡됐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여권에선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계엄 사태 초기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를 받았다고 말했다가 전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기일에선 ‘의원’을 ‘인원’으로 말을 바꿨다고 지적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앞줄 왼쪽)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6차 변론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의 피청구인 측 답변을 듣다 손으로 변호인을 부르고 있다. 연합뉴스

실제 윤 대통령은 6차 변론에서 곽 전 사령관 발언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싹 다 잡아들이라’는 발언 이후 야권의 “탄핵 공작이 시작됐다”는 취지의 주장을 폈다. 접견을 마친 윤 의원도 “예를 들어서 홍장원, 곽종근의 여러 진술이 오락가락하지 않느냐”고 했다.

여당 지도부에 이어 개별 의원들이 접견에 나서면서 윤 대통령의 ‘옥중 정치’ 논란 또한 커지고 있다. 접견을 계획한 국민의힘 의원만 30~40명에 달한다고 한다. 그간 윤 대통령 접견을 ‘개인 자격’이라던 지도부의 기류도 미묘하게 바뀌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이날 SBS 라디오에서 “개인 자격은 내가 한 말 아니다”라고 했고, 전날 기자간담회에선 “인위적인 (윤 대통령과의) 거리 두기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접견 의원이 늘면서 당내 논란도 커지고 있다. 소장파로 분류되는 김상욱 의원은 “구치소에 가서 윤 대통령 목소리만 앵무새처럼 받아 스피커 역할을 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한 초선 의원은 “지난 대선 때 간신히 이겼다. 중도층 공략이 중요한데 접견을 가지 않는 게 맞는 것 같다”고 했다.

중도층에선 여전히 ‘정권 교체’ 여론이 높은데 당이 윤 대통령에 끌려간다는 우려도 크다. 지난 3~5일 조사해 전날 공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자신의 이념성향을 중도라고 밝힌 응답자의 58%가 ‘정권교체’를 선택했다. 정권재창출(31%) 보다 27%포인트 높은 수치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16 [속보] 美 "완전한 北비핵화 견지…한일과 긴밀 조율" 랭크뉴스 2025.02.07
44015 제주공항 결항에 2만 명 발 묶여…전남·전북지역 빙판길 교통사고 속출 랭크뉴스 2025.02.07
44014 '尹 옥중 인사' 논란에도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임명 강행 랭크뉴스 2025.02.07
44013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랭크뉴스 2025.02.07
44012 서부지법 난동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 랭크뉴스 2025.02.07
44011 IMF, 한국 성장률 2.0% 유지···“정치 불확실성·미 정책 변화로 하방 리스크 커” 랭크뉴스 2025.02.07
44010 ‘오리무중’ 의대 정원에 수험생 혼란…“사교육 부추겨” [의료대란]⑤ 랭크뉴스 2025.02.07
44009 충주 지진 규모 4.2→3.1…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7
44008 “대통령이 사기 친 것처럼 발표”…차관 질책한 권성동 랭크뉴스 2025.02.07
44007 시진핑, 한국 대접 달라졌다…우원식과 나란히 앉아 42분 회담 랭크뉴스 2025.02.07
44006 눈길 밀린 견인차에 사고 수습 운전자 1명 숨져‥고속도로 30여 추돌 사고도 랭크뉴스 2025.02.07
44005 8년 만의 ‘아시아 겨울 축제’… 동계AG, 하얼빈서 화려한 개막 랭크뉴스 2025.02.07
44004 여 “증언 달라져”…야 “윤 대통령 궤변” 랭크뉴스 2025.02.07
44003 이재명 “내란사태 아직 안 끝났다”…내일 광화문 집회 참석 독려 랭크뉴스 2025.02.07
44002 “경제성 부족”…‘대왕고래’ 운명은? 랭크뉴스 2025.02.07
44001 전두환 자택 환수 '불발'‥867억 원 미납 "추징금 채권 소멸" 랭크뉴스 2025.02.07
44000 "토할 것 같다" 수갑 풀어주자 도주하더니…창고서 잠든 그놈 랭크뉴스 2025.02.07
43999 SK하이닉스, '600만원 규모' 자사주 추가 지급…"PS 지급 기준도 협상" 랭크뉴스 2025.02.07
43998 서부지법 ‘검은 복면’ 등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 랭크뉴스 2025.02.07
43997 '옥중 정치' 尹과 결별 못하는 국힘‥'내란 옹호' 딱지 언제 떼나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