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동해 심해 유전 탐사(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사실상 실패로 결론나면서 취임 후 첫 국정 브리핑을 통해 ‘산유국’ 꿈을 부풀렸던 윤석열 정부의 무능이 인증됐다.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에 이어 대왕고래 프로젝트까지 거품이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친윤석열(친윤)계 내에서도 윤 대통령은 “무능한 군주”라는 평가가 나온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6차 변론에 출석해 모니터를 들여다보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한 국민의힘 의원은 7일 통화에서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난해) 대통령실로부터 들었다”며 “실패 유무보다 예상이 터무니 없이 틀리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지난해 6월3일 ‘깜짝’ 국정 브리핑을 통해 직접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최대 1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 발표 뒤 정부는 (당시) 삼성전자 시총의 5배로 2200조원에 달하는 경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1차 시추 결과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발표할 당시에도 여당 내에서 우려가 있었다. “대통령이 직접 발표할 일이 아니다”, “실현 가능성이 더 확인된 뒤에 발표해야 한다” 등이 대표적이다.

친윤계 내에서도 윤 대통령을 두고 “무능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대통령의 실패 사례가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처음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꼽히는 사례는 부산 엑스포 유치 실패다. 대통령실은 당시 부산 엑스포 유치 가능성을 높게 봤지만 실제 결과는 부진했다. 지난해 11월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173차 총회의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 부산은 2위로 총 165표 중 29표를 얻는 데 그쳤다. 119표로 1위를 획득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90표 차로 뒤졌다. 3위는 17표를 얻은 이탈리아 로마였으며 기권표는 없었다.

한 친윤계 관계자는 통화에서 “부산 엑스포 실패는 정말 뼈 아팠다”며 “당시에 윤 대통령은 부산 엑스포를 정말 유치할 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보수는 유능하다는 이미지가 강점 중에 하나였는데 (윤 대통령은 그러지 못했다.) 윤 대통령은 진심은 있지만 무능력한 군주”라며 “한동훈 (전) 대표를 믿고 인사 검증을 다 맡겨버리거나 의대 증원을 무작정 밀어부친 것도 윤 대통령의 한계를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국민의힘 관계자는 기자에게 “비상계엄 선포를 두고도 ‘내가 해도 더 잘하겠다’는 말들을 당원들이 할 정도”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전체의 실패’가 아니라며 정부 예산이 투입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번 잠정 결과는 대왕고래에 대한 단정적 결론이 아니며 나머지 6개 유망 구조에 대한 탐사 시추도 해 보아야 하기 때문에 동해 심해가스전 전체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첫 번째 탐사 시추에서 성공한 사례가 거의 없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이어 “메이저 석유 회사들은 동해 심해 가스전의 개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으며 투자에 관심이 많아 올 상반기 내에 기업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 예산 지원 없이 해외 투자유치 만으로 추가 탐사를 진행할 경우, 우리에게 불리한 조건으로 진행되어 국익에 손실이 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22 눈길 고속도로서 30여 대 추돌 ‘아수라장’…폭설·강풍 피해 속출 랭크뉴스 2025.02.07
48521 SK하이닉스, 성과급으로 '600만원 규모' 자사주 추가 지급…"PS 지급 기준도 협상" 랭크뉴스 2025.02.07
48520 심판정서 눈 질끈 감은 尹…이재명 되고 尹은 안되는 증인심문 [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2.07
48519 눈보라에 제주 항공편 300여편 결항… 2만여명 ‘발동동’ 랭크뉴스 2025.02.07
48518 시진핑, 우원식 국회의장에 "올해 경주APEC 참석 진지하게 고려"(종합2보) 랭크뉴스 2025.02.07
48517 檢 '1·2심 무죄' 이재용 대법원에 상고…재계 "삼성 발목 또 잡았다" 랭크뉴스 2025.02.07
48516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랭크뉴스 2025.02.07
48515 ‘대왕고래 실패’ 논란에…안덕근 산업부 장관 “다른 유망구조에 가스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07
48514 [단독] 수행장교는 '체포의 체'자에 결심‥이진우도 "변명같다" 랭크뉴스 2025.02.07
48513 눈길 미끄러지고 강풍에 떨어지고…전국 피해 속출 랭크뉴스 2025.02.07
48512 "공무원인 내가 잘린다고?"…1만명 중 '290명'만 남긴다는 트럼프·머스크 랭크뉴스 2025.02.07
48511 시진핑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 진지하게 고려” 랭크뉴스 2025.02.07
48510 "자체적으로 돈 만들어 하느님 나라를" 신도들에 신용카드 권유한 전광훈 랭크뉴스 2025.02.07
48509 [영상]브라질 상파울루 번화가에 소형 항공기 추락···버스와 충돌 랭크뉴스 2025.02.07
48508 “충주서 더 큰 규모 지진 가능성 작아”···전문가 위기평가 회의 랭크뉴스 2025.02.07
48507 허은아 '당원투표 효력정지' 가처분 기각… 개혁신당 대표직 상실 랭크뉴스 2025.02.07
48506 ‘방중’ 우원식-시진핑 면담…“시진핑, 한중 관계 안정 희망한다 말해” 랭크뉴스 2025.02.07
48505 심판정서 눈 질끈 감은 尹…이재명은 되고 尹은 안되는 증인심문 [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2.07
48504 경찰, '건조물 침입 혐의' 동덕여대 학생 10명 수사 랭크뉴스 2025.02.07
48503 대통령실 "대왕고래 프로젝트 전체의 실패 아냐"... 여야, 추가 시추 찬반 팽팽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