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육청 15곳 "AI 교과서 미선정 학교, 예산 없다"
강경숙 의원 "미선정 학교 차별 관련 대책 필요"
구독료 미확정에 '선정 안내' 공문도 늦어져 혼란
지난해 12월 17일 인천 연수구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4 인천디지털교육 페스티벌'에서 한 선생님이 인공지능(AI) 교과서를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공지능(AI) 교과서 의무 도입 1년 유예로 자율 선정 방침이 적용된 가운데, AI 교과서를 선정하지 않은 곳은 평년에 비해 지방교육재정교부금 할당이 덜 될 것으로 나타났다. AI 교과서 구독에 별도 예산이 추가된 것이 아니라, 기존 교부금에서 쓰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AI 교과서 미선정을 이유로 예산 차별을 받는 사태가 실현될 우려가 커졌다.

교육청 15곳 "AI 교과서 미선정 학교, 예산 지원 없어"



7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AI 교과서를 선정하지 않는 학교에도 선정 학교에 상응하는 예산을 지원할 것"이라고 답한 곳은 한 곳도 없었다. 교육청 15곳은 "예산 지원 예정이 없다"고, 2곳은 "검토 중"이라고 답했다.

정부는 AI 교과서 구독료 등 관련 지원을 별도 예산이 아닌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해당 교부금에 대한 예정 교부가 이뤄졌고 이달 중 AI 교과서 선정 의사를 밝힌 학교·학생 수 등을 기반으로 정하는 확정 교부 절차가 남아있다.

이에 AI 교과서를 선정하지 않는 곳은 예산 차별을 당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달 17일 AI 교과서 검증 청문회에서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은 "AI 교과서 지원 예산은 지방재정교부금의 일부이므로, AI 교과서 미선정 시 오히려 교부금 총액이 줄어든다"고 우려했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역시 "AI 교과서를 미선정한 곳이 예산을 더 적게 받는 등 손해가 생겨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당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관련 내용에 대해 협의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후 별도 대책은 따로 마련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지방재정교부금은 정부가 총액을 교부하면 각 교육청이 여건에 따라 편성하는 예산"이라며 "AI 교과서 미선정 학교에 대해선 그 결정을 존중하겠지만, 정부로선 관련 예산을 안 쓸 학교에까지 예산을 배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결국 교육현장에서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큰 AI 교과서 때문에, 채택하지 않은 학교는 교부금 차별을 받고, 채택한 학교도 구독료를 제외하면 평년에 비해 쓸 수 있는 교부금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I 교과서 비용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교육부와 발행사 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아 AI 교과서 구독료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AI 교과서 선정 학교와의 예산 격차 여부는 논의 단계인 지금으로선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전했다.

'AI 교과서 선정 안내' 공문 안 보낸 교육청도... "너무 급박하다"

지난해 12월 13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교육혁신 박람회’에서 초등학생들이 AI 교과서를 사용해 영어수업을 듣고 있다. 뉴시스


AI 교과서 자율 선정 진행도 더딘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시도교육청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4일까지 교육부로부터 'AI 교과서 자율 선정 안내 공문'을 받았다. 이 중 경남·충남은 7일이 돼서야 각 학교에 공문을 발송했고, 서울·전북은 아직 안 보낸 상태다. 공문 발송이 늦어진 한 교육청은 "학교 현장 혼란이 커 추가 설명이 필요하고, 방학 기간과 맞물려 공문 전달이 불가피하게 지연되고 있다"고 전했다.

AI 교과서 정책 추진이 급박한 데다 미선정 학교에 대한 대책도 미흡하단 지적이 이어졌다. 강 의원은 "개학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AI 교과서 선정 공문 전달부터 가격 결정까지 너무 촉박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이 와중에 미선정 학교에 대한 역차별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교육부는 AI 교과서 지원 예산이 지방재정교부금이라는 이유로 시도교육청에 떠밀 게 아니라 책임 있는 자세로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97 '옥중 정치' 尹과 결별 못하는 국힘‥'내란 옹호' 딱지 언제 떼나 랭크뉴스 2025.02.07
43996 윤상현·김민전 만난 윤 대통령‥"곡해 많아 헌재 가길 잘해" 랭크뉴스 2025.02.07
43995 8년 만에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한국 미션코드 ‘222·2·2’ [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2.07
43994 여인형-홍장원 통화 전 '명단' 이미 방첩사에 랭크뉴스 2025.02.07
43993 송대관 빈소에 태진아·박지원 등 추모행렬…“빨리 떠나 애석” 랭크뉴스 2025.02.07
43992 성과급 '연봉 50%' 전국민 부러워한 회사…'자사주 30주' 더 준다 랭크뉴스 2025.02.07
43991 故송대관 빈소에 추모 행렬…"훌륭한 가수, 빨리 떠나 애석"(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3990 서부지법 '검은복면' 등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3989 대통령과 정부가 쏟아낸 '장밋빛 전망'‥추진 내내 '논란' 랭크뉴스 2025.02.07
43988 SK하이닉스, 성과급 1500%에 ‘새출발 격려금’ 자사주 30주 추가 지급 랭크뉴스 2025.02.07
43987 李, '재명이네 마을'서 尹탄핵 집회 참여 독려…"내란 아직 안끝나" 랭크뉴스 2025.02.07
43986 ‘타지마할 관람·샤넬재킷’ 무혐의…檢 김정숙 여사 불기소 랭크뉴스 2025.02.07
43985 개인정보위 “보안 우려 지속”… 늘어나는 ‘反딥시크’ 랭크뉴스 2025.02.07
43984 고가 미술품 받고 PF대출금 유용 방조… 檢, LS증권 대표 기소 랭크뉴스 2025.02.07
43983 싸우다 고속도로 뛰어들어 숨진 여성…못 막은 '남친'은 유죄? 무죄? 랭크뉴스 2025.02.07
43982 시진핑, 우원식 국회의장 접견…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 시사 랭크뉴스 2025.02.07
43981 ‘비상계엄 연루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내정 랭크뉴스 2025.02.07
43980 '대왕고래 실패' 두고 "대국민 사기극" "한번에 성공 어려워" 랭크뉴스 2025.02.07
43979 산업장관 "대왕고래 옆 6개 유망구조에 가스 흘러갔을 가능성" 랭크뉴스 2025.02.07
43978 트럼프發 ‘인플레 공포’ 확산… 스태그플레이션 경고음도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