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어떤 최소한의 조치마저도 (야당의 반대로) 좌절되는 상황에서, 국정을 책임지는 대통령 입장에서 국정 마비 또는 심각한 상황에 부닥쳐 있다고 판단하는 건 정상적이지 않겠습니까. 계엄을 통해 정상적으로 경제도 활성화하고, 국가 헌정 질서도 바로잡아야 하겠다는 판단에서 (계엄을) 하신 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동의하십니까?"

- 윤석열 대통령 변호인

어제(6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6차 변론 기일에는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이 증인으로 나왔습니다.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계엄을 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윤 대통령 측 신문에 박 수석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최종 판단은 헌법재판소에서 하지만, 제 의견은 이어지는 줄 탄핵이라든지 재정 부담이 많은 입법 문제, (야당의) 예산 단독 삭감이 다 종합적으로 작용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 "국가비상사태"라는 예산 감액…"토론은 없었다"

국회 측도 비슷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피청구인(윤 대통령)이 증인(박 수석)에게 '4.1조 감액된 예산안이 통과되면 어떻게 되는지 물어본 적 있나"라고 묻자, "감액 내용만 보고했다"고 답했습니다.

국회 측 변호인이 "이렇게 감액안이 나왔으니 향후 국정 운영은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보고했나"고 재차 묻자 "그런 건 없었다"고 했습니다.

그러자 국회 측은 "윤 대통령은 예산 감액이 국정 마비 원인, 혹은 국가비상사태라고 주장을 하는 건데, 경제 전문가이신 증인께서 그런 것들에 대한 평가를 안 했다면 결국 모든 평가는 윤 대통령이 단독으로 하셨다는 건지, 토론은 안 했는지" 지적했습니다.

박 수석은 "그런 부분은 제가 아닌 다른 사람이 보고했을지 모르지만, 저는 보고 하지 않았다"며 토론은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결론 났는데…“예산 삭감되면 국정 마비”

윤 대통령 측은 어제 변론 기일에서 민주당이 삭감을 주도한 예산안 항목들을 박 수석에게 하나하나 따져 물었습니다.

대통령이 추진하는 주요 정책들을 시행하는 데 꼭 필요한 예산을 야당이 감액했다는 논리였습니다.

그 가운데 동해 가스전 시추, 이른바 '대왕고래' 사업도 있었습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이후 진행한 지난해 12월 12일 담화에서 "야당이 관련 예산을 사실상 전액 (98%) 삭감했다"고 말한 사업이었습니다.

"야당의 관련 예산 삭감 사유는 '중장기 계획 및 타당성 평가 부족, 구체적 자료 제출 미흡' 등인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윤 대통령 변호인)

"유전 개발은 성공 가능성이 작아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기 어렵습니다. 또 기업 기밀이 많기 때문에 자료 제출이 어렵습니다." (박춘섭 수석)

박 수석은 "금세기 최고 유전이라는 가이아나 유전의 경우 당시 성공률이 16% 정도였는데, 대왕고래는 20% 정도 되기 때문에 시추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같은 날 산업통상자원부에서는 "시추 과정에서 가스 징후가 일부 발견되었으나, 경제성을 확보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는 전망을 내놨습니다.

변론 시작 한 시간 전쯤에 나온 입장이었습니다.

국회 측도 관련 질의를 했습니다.

"대왕고래 시추 사업 예산을 감액했다고 해서 국정이 마비된다고 평가할 수 있나요?" (국회 측 변호인)

"시추 예산이 없어지니 유전 개발에 어려움이 있지 않겠습니까. 석유 개발 쪽에서는 국정 마비가 되겠죠." (박춘섭 수석)

■ "경제 위기 때마다 군대 나와도 된다는 논리" 비판

박 수석은 두 시간 가까이 이어진 신문을 마치고 퇴장했습니다.

헌법재판소를 나오며 "헌재 결정에 맡긴다고 하셨는데, 비상계엄 관련해 어떤 의견이냐"고 묻는 취재진 질문에는 "나중에 (재판 내용이) 유튜브로 다 나오니까 그때 보십시오"라고 짧게 답했습니다.

김선택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비상계엄은 전쟁 또는 재난 상황에서 행정과 사법 기능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을 때 하는 것이지, 국회와는 관련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예산이 조금 어려워졌다고 해서 바로 군대를 끌어낸다는 건, 경제 위기가 있을 때마다 항상 군대가 나와도 된다는 논리"라고 비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08 나경원 ‘정부기관 딥시크 사용 금지법’ 발의 랭크뉴스 2025.02.07
48307 "젊은이들이 잘 모르는구만!" 기자들한테 화풀이했다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7
48306 '김병주TV'에 꽂힌 尹과 국힘? "감옥에서 망상만 늘었나" 랭크뉴스 2025.02.07
48305 주말에도 한파…호남·제주에 많은 눈 랭크뉴스 2025.02.07
48304 [속보] 국민의힘 “‘고 오요안나 방지법’ 추진…당정, MBC 특별감독 검토” 랭크뉴스 2025.02.07
48303 [기술이 돈이다] 5000억 치매 신약 수출한 연구소기업도 사무실 뺀다 랭크뉴스 2025.02.07
48302 '직원 성희롱' 혐의 조민호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직무정지 랭크뉴스 2025.02.07
48301 [속보] 당정 "故오요안나 사건, 고용부 특별감독 검토…방지법 발의" 랭크뉴스 2025.02.07
48300 '경제성 없다'는데… 與 "대왕고래, 용기 잃지 않고 실행해야" 역정 랭크뉴스 2025.02.07
48299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랭크뉴스 2025.02.07
48298 고민정, ‘비명’ 비판 유시민 직격 “민주당 망하는 길 오래전 시작” 랭크뉴스 2025.02.07
48297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랭크뉴스 2025.02.07
48296 배성재, SBS 김다영 아나운서와 5월 결혼…“가족 식사로 예식 대신” 랭크뉴스 2025.02.07
48295 "난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정말 그런지 봤더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7
48294 국민 트로트 가수 송대관 별세…향년 79세 랭크뉴스 2025.02.07
48293 [단독] "더는 못 버텨" 백강혁 같은 외상 전문의 46명 떠났다 랭크뉴스 2025.02.07
48292 '해뜰날' 부른 가수 송대관 별세...향년 79세 랭크뉴스 2025.02.07
48291 생후 25개월 딸에게 불닭소스 먹인 30대 부부…첫 재판서 “살해 의도 없었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2.07
48290 내란사태 2달…군 서열 ‘넘버 9’ 김선호 국방차관의 재발견 랭크뉴스 2025.02.07
48289 [단독] ‘비상경영’ SK에코플랜트, 폐플라스틱 회사 인수 2년 만에 100억 손해보고 매각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