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외모보다 스펙은 옛말…"2030 여성들 예전보다 남성 외모 더 많이 봐"
결혼 리스크보다 큰 '양육 리스크'…신간 '스물하나, 서른아홉'


영화 '연애에 빠진 로맨스'
[CJ ENM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청년들이 연애하지 않는다는 징후는 여럿이다. 영화관·주점 등 대표적인 데이트 코스 업종은 불황에 빠진 지 오래됐다. 저출산 문화 속에 실제 연애를 하는 대신 '나는 솔로'나 '솔로지옥'처럼 리얼리티 연애 예능 콘텐츠만 즐긴다는 탄식도 흘러나온다. 이런 시대에 아이러니하게도 결혼정보회사(이하 '결정사')는 승승장구하고 있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4년 11월을 기준 결혼상담소는 1천974개소로 5년 전인 2019년 11월 1천610개소보다 22.6% 늘었다. 일부 회사는 매출도 오르는 추세다. 결정사 듀오의 2023년 매출은 404억원으로 2019년 실적(287억원)보다 40.7% 신장했다.

연애 실종 시대에 결정사가 성행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신간 '스물하나, 서른아홉'에서 젊은 층의 '리스크 회피' 문화를 한 원인으로 꼽는다. 그는 "결혼 상대를 찾는 데 드는 여러 수고로움을 업체에 외주화하면 리스크를 줄이고 자기 수준에서 만날 수 있는 최선의 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한다.

'솔로지옥'
[넷플릭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이 같은 결혼의 외주화는 미래 남편상에 대한 여성들의 시각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2030을 중심으로 한 젊은 층 여성들은 예전보다 남성의 외모를 더 많이 본다고 한다.

"예전에는 외모에 대한 비중이 그렇게 높지 않고, 스펙 위주였다면 요즘 여성분들은 신랑감의 외모를 많이 봐요…그만큼 여성들도 완벽해졌기 때문이에요. 예전 여성분들은 스펙과 외모가 반비례하는 경우가 많았어요. 그런데 요즘은 저희도 놀랄 정도로 정비례인 분들이 많아요. 스펙도, 외모도 좋고 다재다능하고 완벽한 여성 회원분들이 실질적으로 많아졌어요."(결정사 매니저)

능력, 외모와 함께 성격검사(MBTI)도 만남의 중요한 조건이 되고 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2022년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이성을 만날 때 MBTI를 고려하는 사람은 24.7%로, 전년 대비 3배 늘었다.

[가연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이처럼 외주화를 통해 결혼에 대한 위험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기에 젊은 남녀들은 연애 없이 결혼으로 곧장 골인하곤 한다. 그러나 결혼과 관련된 부분에서 리스크가 줄어들지 않는 영역이 있다. 자녀를 낳고 기르는 일, 출산과 양육이다. 결혼은 이혼이라는 선택지가 있지만 양육은 그런 선택지가 없는 '외통수'다. 출산하는 순간 성인이 될 때까지 아이를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은 젊은 남녀 모두에게 크게 작용한다. 출산율이 지속해서 떨어지는 부분적인 이유다.

결혼정보사 가연이 25~39세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결혼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50%, 여성의 58.8%가 '결혼 페널티'가 있다고 답했다. 반면, '출산 페널티'가 있다고 답한 비율은 남성 77.2%, 여성 92.8%였다. 남녀를 불문하고 결혼보다 양육에 더 큰 불이익이 따른다고 여기는 것이다.

책 표지 이미지
[미래의창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신간 '스물하나, 서른아홉'은 이처럼 20~30대 여성들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변화를 포착했다. 이 책은 어린 시절부터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몸과 마음의 근육을 키우며 자기 경험·기술·성과를 외부로 알리는 커리어 브랜딩에 능숙하고, 재테크에 열과 성을 다하는 2030 여성들의 라이프 트렌드를 조명한다. 책은 김난도 교수와 전미영·최지혜 등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들이 함께 썼다.

미래의창. 232쪽.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10 ‘오리무중’ 의대 정원에 수험생 혼란…“사교육 부추겨” [의료대란]⑤ 랭크뉴스 2025.02.07
44009 충주 지진 규모 4.2→3.1…이유는? 랭크뉴스 2025.02.07
44008 “대통령이 사기 친 것처럼 발표”…차관 질책한 권성동 랭크뉴스 2025.02.07
44007 시진핑, 한국 대접 달라졌다…우원식과 나란히 앉아 42분 회담 랭크뉴스 2025.02.07
44006 눈길 밀린 견인차에 사고 수습 운전자 1명 숨져‥고속도로 30여 추돌 사고도 랭크뉴스 2025.02.07
44005 8년 만의 ‘아시아 겨울 축제’… 동계AG, 하얼빈서 화려한 개막 랭크뉴스 2025.02.07
44004 여 “증언 달라져”…야 “윤 대통령 궤변” 랭크뉴스 2025.02.07
44003 이재명 “내란사태 아직 안 끝났다”…내일 광화문 집회 참석 독려 랭크뉴스 2025.02.07
44002 “경제성 부족”…‘대왕고래’ 운명은? 랭크뉴스 2025.02.07
44001 전두환 자택 환수 '불발'‥867억 원 미납 "추징금 채권 소멸" 랭크뉴스 2025.02.07
44000 "토할 것 같다" 수갑 풀어주자 도주하더니…창고서 잠든 그놈 랭크뉴스 2025.02.07
43999 SK하이닉스, '600만원 규모' 자사주 추가 지급…"PS 지급 기준도 협상" 랭크뉴스 2025.02.07
43998 서부지법 ‘검은 복면’ 등 4명 추가 구속···“도망 염려” 랭크뉴스 2025.02.07
43997 '옥중 정치' 尹과 결별 못하는 국힘‥'내란 옹호' 딱지 언제 떼나 랭크뉴스 2025.02.07
43996 윤상현·김민전 만난 윤 대통령‥"곡해 많아 헌재 가길 잘해" 랭크뉴스 2025.02.07
43995 8년 만에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한국 미션코드 ‘222·2·2’ [현장 화보] 랭크뉴스 2025.02.07
43994 여인형-홍장원 통화 전 '명단' 이미 방첩사에 랭크뉴스 2025.02.07
43993 송대관 빈소에 태진아·박지원 등 추모행렬…“빨리 떠나 애석” 랭크뉴스 2025.02.07
43992 성과급 '연봉 50%' 전국민 부러워한 회사…'자사주 30주' 더 준다 랭크뉴스 2025.02.07
43991 故송대관 빈소에 추모 행렬…"훌륭한 가수, 빨리 떠나 애석"(종합)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