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2시35분쯤 발생한 충북 충주 규모 3.1 지진의 진앙. 기상청 제공
충북 충주에서 7일 오전 2시35분쯤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상청은 당초 이 지진의 규모를 4.2로 분석했다가 다시 3.1로 바로잡았다. 수도권과 충청, 강원, 경북 지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면서 많은 시민들의 단잠을 깨웠다. 그러나 대부분 지역의 재난문자는 기상청이 지진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한 탓에 발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상청은 7일 오전 2시35분34초쯤 충주시 북서쪽 22㎞ 지점(북위 37.14, 동경 127.76)에서 리히터 규모 4.2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이날 밝혔다. 그러면서 이 지진으로 인한 메르칼리 진도 등급을 충북과 강원 지역 5, 경기 지역 4, 경북과 대전, 서울, 세종, 인천, 충남 등은 3일 것으로 내다봤다. 메르칼리 진도 등급이 5면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진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인근 지역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며 안전에 주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나 기상청은 지진 발생 4분 후인 오전 2시39분쯤 지진의 규모를 3.1로 바로잡았다. 최초 추정한 규모 4.2는 이동 속도가 빠른 지진파인 P파만을 이용해 자동 추정한 것으로, 기상청은 보통 지진 발생 직후 수동 분석을 통해 오차를 바로잡고 있다.
그러나 이날 발생한 지진 규모의 오차는 1.1에 달했다. 보통 지진의 세기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리히터 규모는 로그스케일로, 규모가 1 커질 경우 지진이 가진 에너지는 31.6배가량 커진다. 이날 기상청이 자동 분석한 충주 지진의 규모와 수동 분석한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보통 기상청의 지진 발생 후 자동 분석과 수동 분석 규모 차이는 0.1~0.5 안팎이다.
기상청은 각 지역의 최대 메르칼리 진도 역시 충북 진도5, 강원 진도4, 경기 진도3으로 바로잡았다. 경북과 대전, 인천은 진도2로, 그 밖의 지역은 진도1로 측정됐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9㎞ 깊이에서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