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GRT·피델릭스·플리토 등 전날 하락 마감
정부부처·공공기관·금융권·기업 '금지령'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PC에 '딥시크' 사이트가 차단된 화면. 연합뉴스

[서울경제]

정보유출과 개인 정보 보호 등 이유로 정부 부처와 증권가, 기업들이 딥시크 차단에 나서며 '수혜주'로 분류되던 국내 주식들이 줄줄이 급락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기능성 신소재 기업인 GRT는 코스닥 시장에서 8.82% 하락한 4650원에 마감했다.

GRT는 지난해 3월 중국 AI서버 제조 메이저 업체 낭조정보(Inspur·浪潮信息)와 9000만위안(약 179억 원) 규모의 수주계약을 체결한 업체다.

낭조정보는 중국 AI서버 시장 점유율 50%이상을 차지한 곳인데, 딥시크도 낭조정보 서버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피델릭스(-5.28%)와 플리토(-7.84%)도 상당폭 하락했다. 피델릭스는 국내에 상장한 중국 반도체 부품 기업이다. 플리토는 AI 언어 데이터 기업으로, 바이두와 텐센트 등 중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인 엠케이전자는 0.75% 오르며 그나마 보합세를 유지했다.

이날 딥시크 테마주들이 하락세를 겪은 데에는 국내에서 전방위적인 딥시크 '차단령'이 내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딥시크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가 5일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전날 대다수 경제·사회 부처가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공공기관과 금융권, 민간기업도 속속 금지령을 내리는 분위기다.

한편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27.48포인트(1.1%) 오른 2536.75에 거래를 마쳤다. 딥시크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충격이 가해지기 직전인 지난달 24일 종가(2,536.80) 수준을 회복하게 됐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75 오늘, 전국 곳곳 눈…강추위도 계속 [아침뉴스타임 날씨] 랭크뉴스 2025.02.07
48274 은행, 인력 줄여 경영효율 높였는데… 퇴직금 줄자 희망퇴직 ‘반토막’ 랭크뉴스 2025.02.07
48273 참여연대 “윤상현, 최악의 내란공범 국회의원” 랭크뉴스 2025.02.07
48272 권영세 "대왕고래 시추 더 해봐야"…MB 때 기억 꺼내든 이유 랭크뉴스 2025.02.07
48271 檢, ‘딥시크 접속’ 잠정 차단… 안전성 확인 때까지 랭크뉴스 2025.02.07
48270 “뜬금없는 입춘 맹추위” 지구 온난화·라니냐 때문 랭크뉴스 2025.02.07
48269 [속보] 대검, 안정성 확인 시까지 딥시크 접속 차단 랭크뉴스 2025.02.07
48268 10대 다수 성착취한 ‘자경단’ 총책, 신상공개된다 랭크뉴스 2025.02.07
48267 자유의 몸 된 이재용...삼성이 다시 뛴다 랭크뉴스 2025.02.07
48266 ‘대왕고래 경제성 논란’에 국힘 “7개 중 겨우 1개…계속 시추해야” 랭크뉴스 2025.02.07
48265 “미국 우선주의 위한 최적 상품 개발”…트럼프미디어 ETF 출시한다 랭크뉴스 2025.02.07
48264 유망구조 ‘대왕고래’ 시추 중단… 오징어·명태 등 6개 후보 남아 랭크뉴스 2025.02.07
48263 [속보] 與, 국정협의회 연기 요청...”반도체특별법 등 추가 실무협의 해야” 랭크뉴스 2025.02.07
48262 '치유 기적' 손 잡으려 몰린다…'검은 성모' 품은 천년 성지 랭크뉴스 2025.02.07
48261 권영세 "대왕고래, 시추 더 해봐야" 랭크뉴스 2025.02.07
48260 이재명 “국민의힘, 이번에는 연금개혁 ‘문워크’하지 말아야” 랭크뉴스 2025.02.07
48259 충주 규모 3.1 지진에 흔들림 신고 23건…피해 접수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8258 4억 톤 먼지 분출…소행성 베누가 불러올 지구 재앙 시나리오 랭크뉴스 2025.02.07
48257 서울 지하철 9호선 선로 장애로 열차 지연 랭크뉴스 2025.02.07
48256 군것질 겁난다…부라보콘·슈퍼콘도 빼빼로 이어 200원 ↑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