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담한 아이디어” 백악관, 재건 강조하며 파장 축소 나서
핵심 고위직도 몰랐던 ‘깜짝 구상’ 관련 부처 논의도 전무
트럼프, 제재 높인 이란엔 “핵 평화협정 희망” 강온전략
네타냐후·미 국방장관 악수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오른쪽)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5일(현지시간) 워싱턴 펜타곤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자지구 장악’ 발언을 둘러싼 비판이 커지면서 백악관과 국무부 등이 파장 축소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 자체는 “대담한 아이디어”(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라고 옹호하면서도 미군 파병 등 미국의 직접적인 개입에는 거리를 두는 식이다. 국제법 위반 및 제국주의적 행태라는 논란을 불러일으킨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국무부 장관과 핵심 참모들조차 기자회견을 보고서야 처음 알았을 정도로 전격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에도 “전쟁이 끝나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미국에 넘길 것”이라는 주장을 거듭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5일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가자지구 재건 및 사람들의 임시 이주를 약속했다”며 “그곳은 철거 현장”이라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 투입 가능성까지 시사한 것을 두고는 “가자지구에 파병할 계획이 없으며, 미국 납세자들이 재건 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적대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닌 매우 관대한 제안”이라며 “(불발탄과) 잔해를 치워서 사람들이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재건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도 공화당 상원의원들과 비공개 오찬을 하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 병력의 지상 배치도, 미국의 달러 지출도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이들의 해명은 트럼프 대통령 구상의 목적이 어디까지나 ‘재건’이며, 미국의 자금 지출·병력 파병 등 ‘전략적 의무’를 지는 상황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기간 소유”하고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제3국으로 ‘영구 이주’시키겠다고 분명히 말했다는 점에서 파문을 잠재우기에는 미흡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실제로 행복하고 안전하며 자유로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며 “군인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구상은 핵심 당국자들조차 사전에 알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CNN은 국무장관임에도 중동 관련 임무가 상당히 축소된 루비오가 TV를 통해 기자회견을 보고 이 내용을 알았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소식통 말을 인용해 “구상의 타당성을 검토하려는 기초적인 계획조차 없었다”면서 “대통령 머릿속에 있는 생각을 넘어서는 것은 없었다”고 전했다. 국무부나 국방부 등 관련 부처 내 논의도 전혀 없었다고 한다.

한편 지난 4일 이란에 ‘최대 압박’을 가하는 안보 각서에 서명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5일 이란과 ‘핵 평화 협정’을 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이스라엘과 협력해 이란을 산산조각 낼 것이라는 보도는 매우 과장된 것”이라며 “나는 이란이 평화적으로 성장하고 번영할 수 있는 확인 가능한 핵 평화 협정을 훨씬 선호한다”고 말했다.

이란의 대리세력인 하마스와 헤즈볼라의 약화, 시리아 독재정권 붕괴 등으로 입지가 약화된 이란이 우라늄 농축도를 끌어올리고 있는 점을 고려해 강온 전략으로 이란을 압박, 최대한의 양보를 얻어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45 윤정부의 ‘대국민 스캠?’···대왕고래 실패에 테마주 급락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44 2인 1조 '마음 맞는' 직원과 근무 때만 폭행… 삐뚤어진 동료의식이 피해 키웠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43 [단독] “계엄옹호 안건 상정하고”…유엔에 ‘셀프칭찬’ 보낸 인권위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42 아내에 '알몸 드레스' 입힌 유명 래퍼…돌연 "자폐증 진단" 고백, 왜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41 [속보]충주 지진 규모 4.2→3.1···전국민 새벽잠 깨운 기상청 재난문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40 “부하를 믿습니까?”…군 생활 38년 이진우 전 사령관은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9 ‘尹 수감’ 서울구치소 앞서 흉기 소란 40대男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8 트럼프, ‘반기독교 대응 TF’ 설치···“신을 되돌려 오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7 어제 퇴근길 이어 출근길도 곳곳에 '눈폭탄'…전국 종일 영하권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6 소름 돋는 실수‥10억 원 슈퍼카 한순간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5 연애 실종 시대에도 '결정사'는 승승장구…혼인도 맞춤형 시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4 파나마 대통령 “미국 ‘운하 무료 통항 합의’는 거짓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3 “더러워서 못 가겠네” 스크린골프 위생 관련 불만 다수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2 구준엽 "창자 끊어질 듯한 아픔…'아내 유산' 내몫은 장모님께"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1 세종시 ‘줍줍’ 무순위 청약에 56만명 몰려, 7일도 시세 차익 4억 예상 무순위 접수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30 네이버, 지난해 4분기 영업익 5420억 전년比 33.7% 증가… “검색·커머스 성장으로 연매출 10조 첫 달성”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29 [속보] 서울 지하철 9호선 선로 고장으로 열차 지연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28 [샷!] 사랑하는 '나'에게…달라진 밸런타인데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27 제주도에 ‘진도군 대설 교통통제’ 문자가…100㎞ 건넌 재난문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226 67년된 민법 전면개정 시동…'법정이율 변동제' 개정안 입법예고 new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