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8일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자진출석하기 직전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와 대통령경호처에서 지급한 보안 휴대전화(비화폰)로 통화한 사실을 경찰이 파악했다. 이를 두고 김 전 장관의 ‘셀프’ 검찰 출석 및 검찰의 경호처 지휘부 구속영장 반려가 두 사람 간 통화와 관련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경찰에 따르면 이 비화폰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김 전 장관에게 지급하고, 김 전 장관이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기기다. 노 전 사령관은 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4일 비화폰을 김 전 장관에게 돌려줬지만, 김 전 장관은 같은 날 사의를 표명하면서도 비화폰을 경호처에 반납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이 차장검사와 검찰 출석 이틀 전 오후 통화를 했다. 김 전 장관은 이후 비화폰을 경호처에 반납한 뒤 검찰에 출석했다가 긴급 체포됐다.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차장검사도 통화 사실을 시인했다. 그는 “김 전 장관의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김 전 장관이 있는 곳이 군사 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집행이 어렵다”며 “수사팀에서 설득이 어렵다고 해서 제가 직접 통화해 설득해 보겠다고 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
김주원 기자
6일 경찰 등에 따르면 국가수사본부(국수본)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참고인 조사 등 수사 과정에서 이러한 내용을 알아냈다. 김 전 장관은 ‘계엄 비선’으로 지목된 민간인 신분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했던 비화폰으로 이 차장검사와 통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에 따르면 이 비화폰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이 김 전 장관에게 지급하고, 김 전 장관이 노 전 사령관에게 전달한 기기다. 노 전 사령관은 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4일 비화폰을 김 전 장관에게 돌려줬지만, 김 전 장관은 같은 날 사의를 표명하면서도 비화폰을 경호처에 반납하지 않았다. 김 전 장관은 이 차장검사와 검찰 출석 이틀 전 오후 통화를 했다. 김 전 장관은 이후 비화폰을 경호처에 반납한 뒤 검찰에 출석했다가 긴급 체포됐다.
이날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 차장검사도 통화 사실을 시인했다. 그는 “김 전 장관의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한데, 김 전 장관이 있는 곳이 군사 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집행이 어렵다”며 “수사팀에서 설득이 어렵다고 해서 제가 직접 통화해 설득해 보겠다고 한 과정이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