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이후 20개월 내리 흑자
미 정책 불확실성·중 물량 공세 등
수출 호조 지속엔 대외 환경 ‘험난’
미 정책 불확실성·중 물량 공세 등
수출 호조 지속엔 대외 환경 ‘험난’
반도체 수출 호조 등에 힘입어 지난해 12월 경상수지가 12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인 120억달러 이상의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990억달러에 달하며 역대 2위를 기록했다.
다만 고강도 관세 조치,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로 압박하는 ‘트럼프 리스크’와 함께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이 가시화되면서 올해 경상수지는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 경상수지는 123억7000만달러(약 18조원) 흑자로 집계됐다. 2023년 5월 이후 20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12월 기준 역대 최대 흑자 규모다.
12월 경상수지 흑자에 힘입어 지난해 누적 경상수지도 대규모 흑자를 냈다.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는 990억4000만달러(약 143조5000억원) 흑자로 집계돼, 2015년(1051억2000만달러)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큰 흑자를 달성했다. 328억2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한 전년과 비교하면 3배 이상으로 불어났고, 한은의 연간 예상치(900억달러)도 90억달러 상회했다.
수입보다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었다. 지난해 12월 서비스수지는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 등 영향으로 약 21억달러 적자를 냈지만, 상품수지는 수출(633억달러)이 전년 동월 대비 6.6% 확대되고 수입(528억7000만달러)은 4.2%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104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정보통신기기(37.0%)·반도체(30.6%) 수출이 크게 늘었다. 국가별로는 동남아(15.4%)·유럽연합(15.2%)·중국(8.6%)·일본(6.1%)·미국(5.5%)으로의 수출이 증가했다.
다만 ‘역대급’ 성과를 낸 지난해와 달리 올해 경상수지는 주춤할 것으로 예상된다. 범용 반도체 업황이 여전히 살아나지 않고 있는 데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 불확실성,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등이 현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1국장은 “인공지능(AI)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에서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를 강화하면 대중 수출의 절반 이상을 관여하는 국내 반도체 수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