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독 치료 권위자 신영철 교수
“균형 잡힌 도파민은 건강한 삶 도와”
연합뉴스

‘도파민 중독’이라는 표현은 의학적으로 맞는 말일까.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중독’을 일으킬 수 있을까. 중독 치료 권위자인 서울 강북삼성병원의 신영철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지난 3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도파민에는 죄가 없다. 중독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과도한 SNS 콘텐츠 소비를 경계하는 표현인 도파민 중독을 지나친 자극 추구 사회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로 해석해야 한다는 게 신 교수의 생각이다.

신 교수에 따르면 ‘행복 호르몬’이라고도 불리는 도파민은 인간의 동기 강화를 위해 뇌의 ‘보상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어떤 행위를 할 때 도파민이 분비되면 즐거운 감정이 생기고, 이는 그 행위를 반복하고 싶은 동기로 이어진다는 뜻이다. 신 교수는 “균형 잡힌 도파민이 뇌의 적절한 부위에서 활동할 때 건강한 삶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SNS나 유튜브 콘텐츠를 즐기는 것도 그 행위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다. 신 교수는 외려 “고강도 노동에 지친 현대인이 큰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고 휴식할 수 있는 괜찮은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몰입이 도를 넘어서면 일상의 리듬이 깨지고 수면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는 불안, 우울, 집중력 저하 등의 후유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30초~1분 이내의 숏폼 콘텐츠(숏츠)는 중독성이 더욱 강하다. 짧고 강한 자극일수록 뇌에서 도파민 분비가 증가한다. 그리고 이런 즉각적인 보상은 더욱 쉽게 반복 행동을 일으킨다. 나아가 사고하는 힘이 약해질 수 있다. 신 교수는 “별 생각 없이 할 수 있는 일들은 뇌의 고위 기능을 담당하는 전전두엽피질이 아니라 하부 영역인 자동조정 시스템을 통해 습관적으로 이뤄진다”며 “이에 익숙해지면 고차원적인 일에 집중하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내성도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신 교수는 “인간의 뇌는 지속적으로 큰 자극을 받으면 작은 자극에는 반응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에는 소풍만 가도 아이들의 일상에서 큰 이벤트로 여겨졌다. 그러나 요즘은 디즈니랜드에 다녀온 아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며 “디즈니랜드가 부정적인 게 아니라 아이들이 더는 소풍에 감흥을 느끼지 못하는 사회가 안타까운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우리의 뇌는 점점 역치를 높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더 큰 자극을 주는 건 불가능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신 교수는 ‘도파민 디톡스’에 대해서도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쇼핑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평생 쇼핑을 금지할 수 없듯이 디톡스의 목적은 완전히 끊는 게 아니다. 다만 중독이 심각할 땐 잠시 동안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신 교수는 “내 삶과 균형을 이루도록 적절한 사용 방법을 훈련하는 게 진정한 의미의 디톡스”라며 “오프라인 세상도 즐겁다는 걸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62 국민의힘 “‘고 오요안나 방지법’ 추진…당정, MBC 특별감독 검토” 랭크뉴스 2025.02.07
43761 ‘트로트 4대 천왕’ 송대관, 심장마비로 별세… 향년 78세 랭크뉴스 2025.02.07
43760 민주당, 김경수 복당 승인···김 “대선출마? 앞선 얘기” 랭크뉴스 2025.02.07
43759 경찰, 234명 성착취 총책 '목사' 신상정보 내일 오전 9시 공개(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3758 나경원 ‘정부기관 딥시크 사용 금지법’ 발의 랭크뉴스 2025.02.07
43757 "젊은이들이 잘 모르는구만!" 기자들한테 화풀이했다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7
43756 '김병주TV'에 꽂힌 尹과 국힘? "감옥에서 망상만 늘었나" 랭크뉴스 2025.02.07
43755 주말에도 한파…호남·제주에 많은 눈 랭크뉴스 2025.02.07
43754 [속보] 국민의힘 “‘고 오요안나 방지법’ 추진…당정, MBC 특별감독 검토” 랭크뉴스 2025.02.07
43753 [기술이 돈이다] 5000억 치매 신약 수출한 연구소기업도 사무실 뺀다 랭크뉴스 2025.02.07
43752 '직원 성희롱' 혐의 조민호 남북하나재단 이사장 직무정지 랭크뉴스 2025.02.07
43751 [속보] 당정 "故오요안나 사건, 고용부 특별감독 검토…방지법 발의" 랭크뉴스 2025.02.07
43750 '경제성 없다'는데… 與 "대왕고래, 용기 잃지 않고 실행해야" 역정 랭크뉴스 2025.02.07
43749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랭크뉴스 2025.02.07
43748 고민정, ‘비명’ 비판 유시민 직격 “민주당 망하는 길 오래전 시작” 랭크뉴스 2025.02.07
43747 “대왕고래 아닌 대왕구라였다”… 국정 브리핑 1호의 몰락 랭크뉴스 2025.02.07
43746 배성재, SBS 김다영 아나운서와 5월 결혼…“가족 식사로 예식 대신” 랭크뉴스 2025.02.07
43745 "난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정말 그런지 봤더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2.07
43744 국민 트로트 가수 송대관 별세…향년 79세 랭크뉴스 2025.02.07
43743 [단독] "더는 못 버텨" 백강혁 같은 외상 전문의 46명 떠났다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