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세금 등 논란 이슈 철회 나서
트럼프도 “미군 필요 없어” 물러서
민주당 “반인륜적 인종 청소” 규탄
트럼프도 “미군 필요 없어” 물러서
민주당 “반인륜적 인종 청소” 규탄
피트 헤그세스(오른쪽) 미국 국방장관이 5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펜타곤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맞이하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가자지구 장악 구상과 관련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미군을 파병하고 싶지는 않다고 밝혔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자지구를 미국이 장악할 것”이라고 밝힌 뒤 전 세계에서 파문이 일자 백악관과 국무부가 수위 조절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을 새로운 인도주의적 조치로 옹호하면서 미군 파병 등 논란이 되는 이슈는 피해 가는 방식이다. 미군 파병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던 트럼프 본인도 “미군은 필요 없을 것”이라고 한 발 물러섰다.
트럼프는 6일(현지시간) 오전 트루스소셜에서 “전쟁이 마무리되면 가자지구는 이스라엘에 의해 미국으로 넘겨질 것”이라며 “미국은 전 세계의 훌륭한 개발 팀과 협력해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하고 장엄한 개발 중 하나가 될 건설을 천천히 신중하게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안팎의 우려를 의식한 듯 “미국 측 병사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며 그 지역은 안정이 지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전날 “(가자지구는) 불발탄과 잔해 때문에 지금은 사람들이 다시 돌아와도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곳이 없다”며 “(트럼프의 구상은) 재건 책임을 맡겠다는 매우 관대한 제안”이라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대통령은 가자지구 재건과 그곳에 있는 사람들의 임시 이주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곳은 철거 현장 같으며 수돗물도 없다”면서 “대통령은 그 주민들이 평화롭게 살기를 원하며 그는 대담한 새 계획을 통해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가 가자지구에 미군 투입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레빗 대변인은 “가자지구 지상에 군대를 투입한다는 것도, 미국의 세금을 쓰겠다는 걸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며 “그건 최고 협상가인 트럼프가 역내 파트너들과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도 공화당 상원의원들을 만나 “트럼프는 가자지구에 미군을 배치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미국 달러를 지출하는 것도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는 그동안 ‘미국 우선주의’를 주장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등 해외 분쟁에 개입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하지만 가자지구 장악과 개발은 미군과 미국 자본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백악관이 “세금을 쓰지 않는다”며 진화에 나선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리들이 트럼프의 제안 중 가장 충격적인 요소들을 일부 철회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팔레스타인 관련 행사 연설에서 “국제법의 근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형태의 인종 청소도 방지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구상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리야드 만수르 주유엔 팔레스타인 대사도 “우리는 가자지구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며 “가자지구를 포함해 조상의 땅에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쫓아낼 수 있는 힘은 이 세상에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 내에서도 반발이 쏟아졌다. 팀 케인 민주당 상원의원은 트럼프의 구상에 대해 “기이한 환상”이라며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앨 그린 민주당 하원의원은 “인종 청소는 반인륜적”이라며 트럼프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트럼프의 가자지구 발언이 국제개발처(USAID) 해체 등 논쟁적인 국내 현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딴 데로 돌리려는 시도라는 해석까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