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기를 배경으로 한 인공지능 딥시크 로고.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의 가성비 인공지능(AI) 딥시크가 사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데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이 최근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각 부처와 지자체에 보낸 데 이어 외교부와 국방부 산업부 과기부 경찰 등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KB금융지주 하나은행 카카오 LG유플러스 등 금융사와 민간기업들도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실제로 딥시크는 사용자 아이디와 인터넷 주소(IP), 위치 정보 등 필요한 사항만 수집하는 통상적인 AI와는 달리 키보드 입력 패턴과 리듬까지 수집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더구나 이렇게 모은 정보를 중국 내 서버로 옮겨 저장한다.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르면 모든 조직은 국가 정보 활동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 중국 정부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딥시크 사용자의 민감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는 얘기다. 딥시크의 1월 4주 차 국내 사용자 수는 120만 명도 넘었다.
딥시크 사용 제한 여부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문의에 대한 딥시크 측 답변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문제는 앞으로 이러한 논란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전자상거래 온라인쇼핑 앱의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반년 이상 지나서야 ‘이용자 연락처 정보에 접근하거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등에 접근하고 저장한다’는 약관 조항이 문제라고 판단, 뒤늦게 시정조치를 명했다. 업계에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우려도 크다.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주행 중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업체 서버로 보내는 '커넥티드카'이다. 차주의 동선과 취향,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영상과 행인들의 모습까지 중국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보 보호 및 보안 대책을 더 촘촘하게 마련해야 한다.
중국산 AI와 앱, 전기차가 개인정보 보안 문제에 취약하다는 사실은 우리 산업 입장에선 거꾸로 차별화를 통한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독자적 AI 개발과 경쟁력 제고를 통해 우리의 정보 데이터 주권을 지키는 게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