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①단가 높은 선진국 수출 시장 SNS로 공략
②원화 약세 효과 극대화한 생산·수출 전략
③밀양공장 신설해 물류·생산 부담 줄여

삼양식품이 지난해 영업이익률 20% 고지를 밟았다. 지난 5일 공시한 지난해 실적에 따르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7300억원, 영업이익은 3442억원을 기록했다. 직전 해보다 각각 45%, 133% 증가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19.9%를 기록했다. 2023년 12%에서 급상승했다. 20% 영업이익률은 식품업계에서 좀처럼 보기 드문 수치다. 지난해에도 주요 식품기업 가운데 삼양식품이 유일했다.

국내 식품업계는 오래전부터 내수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작은 시장을 두고 벌이는 경쟁이 치열해 이윤을 높게 붙이기 어렵다. 이 때문에 식품업계에서는 영업이익률 10%도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치로 여긴다.

소위 ‘3조 클럽’이라 불리는 국내 주요 식품기업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3~7%대다. 라면 업계 경쟁사 농심은 연평균 영업이익률이 5~6%대다.

삼양라운드스퀘어가 지난해 8월 덴마크 수도 코펜하겐에서 덴마크 시장 재진입을 기념하는 '불닭 스파이시 페리 파티'(Buldak Spicy Ferry Party)를 진행하고 있다. /삼양식품 제공

①단가 높은 선진국 수출 시장 SNS로 공략

삼양식품은 지난해 미주와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매출 구성을 보면 미주(29%)와 유럽(19%) 비중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들 시장은 소비 수준이 높고, 구매력도 강하다. 대신 그만큼 진입이 어렵다. 특히 삼양식품 주력 상품 ‘불닭볶음면’은 소비자 선호도가 분명히 갈린다.

삼양식품은 2016년 수출 초기부터 현지화에 집중했다. 유명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동시에 월마트·코스트코·타깃 같은 대형 유통망 위주로 입점했다.

특히 지난해 덴마크 수의식품청(DVFA)이 벌인 ‘불닭볶음면 리콜 사태’도 전 세계적인 홍보 효과로 이어졌다. 덴마크 식품 당국이 매운맛이 너무 강하다며 리콜을 요구했지만, 이 소식이 전 세계로 퍼지며 오히려 브랜드 인지도가 상승했다.

삼양식품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68%에서 2024년 77%로 9%포인트(P) 증가했다. 어느덧 네슬레(95%)나 크래프트하인즈(85%) 같은 세계적인 거대 식품기업에 근접했다.

그래픽=정서희

해외 시장에서 불닭볶음면은 국내보다 훨씬 비싸게 팔린다. 미국 월마트에서 불닭볶음면 1봉지 가격은 세금을 제외하고 1.5달러(약 2300원)이다. 유럽 프랑스에서는 1.7유로(약 2800원)를 받는다. 쿠팡을 기준으로 한 국내 판매 단가(ASP)는 이들의 절반에 못 미치는 1000~1100원 수준이다. 물류비와 마케팅 비용을 감안해도 해외에서 더 이익이 많이 남는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물량을 맞추기 어려울 정도로 해외 수요가 급증했다”며 “국가별로 불닭볶음면 맞춤형 이벤트를 벌이고, 브랜드 캠페인으로 현지에서 입지를 강화한 게 주요했다”고 했다.

②원화 약세 효과 극대화한 생산·수출 전략

지난해 연말 한때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1490원에 육박하는 등 원화 가치가 낮아졌다. 식품기업 대부분은 원재료를 해외에서 사 온다. 국내에서 만들어, 국내 소비자에게 파는 기업들은 환율이 상승하면 원가 부담이 커진다.

삼양식품도 라면 원료 상당 부분을 수입하거나, 수입 후 가공한 기업 제품을 사서 쓴다. 현지 생산 기지가 없어 국내에서 만들지만 열에 여덟을 수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은 경상남도 밀양 공장에서 만든다. 직원 임금과 제반 비용 등은 원화로 지불하고, 제품 수출 대금은 달러로 받는다. 가치가 떨어진 원화로 제품을 만들고, 가치가 높아진 달러로 물건 값을 받으면 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원재료는 보통 분기에서 반기마다 구매하기 때문에 환율이 계속 오르지 않으면 일시적인 비용만 감당하면 된다”며 “반면 해외에서 발생하는 매출은 결제할 때마다 환율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삼양식품 밀양공장 면 스프 투입 공정. /삼양식품 제공

③밀양공장 신설해 물류·생산 부담 줄여

삼양식품은 2022년 수출 전진기지로 밀양공장을 열었다. 세계적으로 불닭볶음면 인기가 치솟으면서 기존 익산·원주공장만으로 수출 물량을 감당하기 어려운 시점이었다.

삼양식품은 부산항을 통해 라면을 수출할 수 있도록 밀양을 선택했다. 밀양은 부산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내륙운송료 부담을 줄이기 좋다. 삼양식품에 따르면 밀양공장을 연 후 수출 내륙운송료가 이전보다 63% 줄었다.

삼양식품은 밀양공장 생산 자동화율을 90%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다. 인건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높여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결정이다. 오는 6월 문을 여는 밀양 제2공장 건설에는 총 1643억원을 투자했다. 삼양식품에 따르면 밀양 제2공장은 1공장보다 생산성을 30% 이상 높인 진화한 스마트팩토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매운맛 챌린지’를 중심으로 한 K-라면 수요가 여전한 가운데, 밀양 제2공장 가동으로 삼양식품이 생산 능력을 확충하면 당분간 성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삼양식품은 2022년 처음으로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 이후, 올해는 2조원 돌파가 확실시된다. 연매출 1조원에서 2조원까지 2년 만에 도달할 전망이다. 농심이 12년, 오뚜기는 10년이 필요했던 것과 비교해 훨씬 빠른 기록이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양식품 내년 연결 기준 매출은 2조172억원, 영업이익은 4246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밀양 2공장 증설분을 본격적으로 반영하는 시점에는 중남미와 유럽 지역 주요 시장 판매처 확장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83 ‘대설주의보’ 수도권 퇴근길 비상…내일 오전까지 최대 10㎝ 쌓인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82 前수방사령관 "나 같은 군인이 대통령에 반기 들면 그게 쿠데타"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81 8개월 전 “삼전 시총의 5배”… 이번엔 “파보니 경제성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80 “자수서 왜 냈나요” 김형두 재판관, 곽종근 전 사령관에 묻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9 박종준 "정부 요인, 대부분 비화폰 지급"‥최상목·한덕수 "나도 있어"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8 [단독] 이복현 매운맛에… 우리銀 대출 사고 징계 수위 높인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7 이재명 “진보는 진보, 보수는 보수 정책만 써야 한다는데 동의 안 해 ”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6 [단독] 내란 군 수뇌부, 설날 ‘떡값’ 550만원씩 받았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5 검찰, ‘부당합병 무죄’ 이재용 사건 상고심의위 심의 요청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4 [2보] 피치, 한국 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3 정부, 대왕고래 시추 1회만에 실패 인정 "경제성 확보 어렵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2 尹 "홍장원·곽종근 공작으로 탄핵공작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1 금연 더 늘어날까…담배 성분 공개 의무화, 흡연 피해 소송도 '영향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70 윤 대통령, 시간 더 주라며 ‘툭툭’…김현태 발언 뭐였기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9 [속보] 피치,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등급전망 '안정적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8 [단독] 졸지에 ‘사슴 고추 테러범’ 된 한국 청년…日서 퍼지는 ‘혐한’ 가짜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7 중부에 대설특보…도로 미끄럼 사고 유의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6 尹 "홍장원·곽종근 때문에 내란·탄핵 공작 시작"‥음모론 제기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5 시작부터 의문 가득했던 '대왕고래'...尹이 부풀린 기대감은 거품으로 끝났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964 尹 “홍장원·곽종근이 ‘탄핵 공작’ 시작… 의도 다분해” new 랭크뉴스 2025.02.06